인텔 SSD 510 4개 RAID0로 묶으려고 하는데 RAID 콘트롤러가 필요할까요?

김율원   
   조회 11816   추천 0    

안녕하세요, 2CPU 초보 유저 입니다.
어찌하다 보니 인텔 510 모델이 4개가 생겼습니다. RAID0으로 최고의 성능으로 사용하고 싶은데
주변에서 얘기를 들어보니 RAID 콘트롤러가 따로 필요하다는 것 같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인텔 RS2BL040 모델을 따로 구입할까 하는데, 그 전에 도움을 좀 얻고자 합니다.
1. RAID0으로 묶어도 온보드와 실제 성능 차이가 있을까요? 듣기로는 RAID0 연산은
별 차이 없고 RAID5나 다른 모드로 묶어야 성능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구요,

2. RAID 콘트롤러에 CPU랑 캐시가 있는데 어떤 역할을 할까요? 데이터 이동 시
더 빠른 속도가 가능한지...

3. 메인보드는 P67 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역폭에서 RAID 콘트롤러를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겠죠?

4. 마지막으로 인텔 RS2BL040 구입해도 괜찮을까요?

관련해서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좀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검색을 해봐도 역시 어려운 분야네요...ㅜㅜ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s 2011-10
1. 온보드 RAID컨트롤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컨트롤러를 장착하는 이유중 대부분은 더 많은 디스크를 연결핫기 위해서 + 더 높은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입니다. 더불어 RAID-5이상에서 캐시, BBU의 유무가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지금 RAID-0로 묶으신다는 뜻은 그냥 최대 속도를 한번 체험해 보고자 하는 정도로만 해석이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돈을 써 가면서 컨트롤러를 구매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컨트롤러의 CPU는 RAID-0,1에서는 별반 하는 일이 없고(물론 놀고있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RAID-5 이상에서 패리티연산을 수행하는 역할이라 보셔도 무방합니다. 캐시는 캐시니 별도 설명 안드려도 될꺼구요..

3. 보드는 칩셋이 중요한게 아니라, 해당 보드에 컨트롤러를 끼울 슬롯이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어지간하면 됩니다.

4. 비추합니다.

--- RAID-0는 정말 임시데이터 저장 용도로 사용하실게 아니라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디스크 하나가 삐걱거리는 순간~~~~ 제명이 됐어요~~~] 라는 상황이 됩니다.

    SSD를 RAID로 묶는데 대해 찬반양론이 있습니다만, 저는 아직은 좀 무리가 있다.. 라는 쪽입니다.
김율원 2011-10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궁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추가 질문 몇가지 더 드릴게요!

1. 지금 RAID-0로 묶으신다는 뜻은 그냥 최대 속도를 한번 체험해 보고자 하는 정도로만 해석이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돈을 써 가면서 컨트롤러를 구매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이 말씀은 굳이 RAID0에선 온보드와 성능차이가 없으니 콘트롤러가 아닌 온보드로 사용해도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2. 추가적으로 온보드와 콘트롤러의 RAID 5 모드의 퍼포먼스도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까요?

우선 콘트롤러 구입은 보류해야겠습니다.
AKs 2011-10
RAID-0에서도 [캐시]의 유무가 속도를 좌우합니다. 대부분의 온보드 컨트롤러는 캐시가 없지요..
그래서, 둘 다 캐시가 없다면 속도가 별반 차이 없고, 캐시가 있다면 당연히 캐시 있는 쪽이 빠릅니다.(읽기든 쓰기든..)
앞서 말씀드린 대로 RAID-0에서도 애드온 컨트롤러를 쓰는 이유는 그쪽이 좀 더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RAID가 풀리는 경우도 좀 더 적기 때문입니다.

온보드에서 RAID-5를 지원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 0,1,10 정도만 지원을 하고.... 고가의 메인보드들에서 5를 지원합니다. RAID-5 이상에서는 특유의 패리티 연산 때문에 캐시의 유무가 쓰기 속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아울러 별도의 칩이 패리티 연산을 해 주는 것과 메인 CPU가 패리티 연산에 관여하는 것도 차이가 많게 됩니다..
뚜뚜 2011-10
ssd 인텔 510이면 6Gbps sata3 맞는데...
4개를 레이드0으로 하신다면
외장 컨트롤러 구입하셔야 하네요.
RS2BL040 는 포트가 하나밖에 없고(sata 4개)
RS2BL080 2포트 짜리(sata 8개) 입니다.

둘다 인텔제품이지만 가격이 비싸서
2cpu장터에 올라와 있는 m5015가 있습니다.
가격이 30만원대 입니다.
(저도 또한 구입했지요. 하지만 바이오스 부팅은 30~40초 걸립니다.)

가격이 부담스러우면
온보드 레이드컨트롤러에 이용하면 되는데
sata3단자가 2개밖에 없습니다.
AKs 2011-10
아.. 온보드에 SATA-3단자가.. 모자랄 가능성도 상당히 높군요...흑흑
생각을 못했다능..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SSD를 레이드-0로 묶었을때 득보다 실이 더 많다고 주장하는 1인 입니다.
김율원 2011-10
답변 감사합니다!  P67은 네이티브로 인텔 SATA3 포트가 2개 밖에 없네요!

그런데 위 레이드카드가 SATA3 6Gbps SSD 4개의 대역폭을 커버 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BBU라는 것이 전력 공급이 안될 때 캐시를 보호하는 보조 배터리 개념이죠?
위에 외장 콘트롤러 RS2BL040 이런 것들은 BBU가 포함되지 않는데 사용시 어떤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거 자꾸만 깊게 파고드네요. 배워가는 것이 많습니다.
뚜뚜 2011-10
BBU는 쉽게말하자면 데이타 보호용 ups인데요.
pc가 갑자기 나가거나 정전이 되면 컨틀로러자체에서 밧데리 역할처럼 데이타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BBU없어도 전기만 계속들어오면 문제없습니다.
혹시 정전이 나가면 데이타가 깨진 경우가 있겠지만 레이드 풀린적은 없습니다.
(저번 정전이 되서 데이타는 그대로이고 레이드 풀린 경우는 없습니다)

SSD 4개를 레이드0으로 하신다면 대역폭이 2Gbps 정도 됩니다.
8개까지 연결하면 4Gbps정도 됩니다.
AKs 2011-10
1. 4개 정도야 뭐... 대충 됩니다.
2. BBU가 없는 상태에서 WR-Wait 캐시를 켜 놓은 경우, 컴터가 비정상 종료된 경우(대부분 정전이죠) 캐시의 데이터가 안드로메다에 놀러갑니다. 쓰기 도중이었다면 데이터 깨지는 거지요..
마쉬맨 2011-10
M5015가 BBU가 포함되어 있는지라 그쪽을 알아보시는게 더 좋을거 같습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250달러짜리 신품 미개봉 M5015가 이베이에 돌아다녔는데.. 이제는 안보이는군요.
송재훈 2011-10
SSD 의 경우 솔직히 아직 완성된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가지 대비책에 의존해야 합니다.
TRIM 이라는 기능도 일반 HDD 와는 달리 SSD 고유의 특성때문에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고요.
그런데 일반 하드처럼 RAID 묶어서 쓰신다는 것은 TRIM 기능을 무시하고 쓰려는 의도인데
나중에 다소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단순히 순간 전송속도만 노리고 RAID 묶었다가는 나중에
데이터가 많이 쌓였을 때 TRIM 없이 SSD 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질텐데요.

RAID 상에서 제대로 TRIM 지원하는 경우가 없다고 알고 있는데 (아직까진)
TRIM 이라는 걸 너무 간과하시는게 아닐까 해서 노파심에 몇 자 적어보았습니다.
김율원 2011-10
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드립니다!
turtl 2011-10
쪽지 보냇습니다.
신우섭 2011-10
예전 자료라 벤치 자료가 없네요.

저라면 처분하고 Revo X3 단일사용하겠습니다.

그게 가장 속편합니다.

납푼한거 반품되서 12개 가지고 놀가다 처분 했습니다.

것두 초창기에...

ㅠㅠ


QnA
제목Page 5339/5723
2014-05   5230996   정은준1
2015-12   1757716   백메가
2015-04   11803   Win31
2016-09   11804   이천풍
2003-02   11804   김병철
2003-03   11804   고대준
2003-04   11805   윤동규
2003-02   11805   정성재
2012-09   11806   홍상훈
2003-05   11806   강성진
2003-03   11806   강전진
2003-10   11807   정준
2013-11   11807   song05
2003-04   11807   임하린
2003-01   11807   이승원
2003-05   11808   이경환
2003-09   11808   박준규
2003-01   11808   이병일
2003-03   11809   황원석
2003-05   11811   양승철
2003-01   11811   고대준
2003-01   11811   김경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