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서플라이' 자체의 와트수를 승급시키는 개조방법이 있을까요?

   조회 9273   추천 0    



옛날 파워서플라이들을 콘덴서나 트랜스나 기타 주요부품들을 몇가지만 납땜으로 교체해줌으로서 와트수를 승급시키는 개조방법이 있을까요?

어디선가 인터넷상의 어느 업체 중에서 파워서플라이의 와트수를 승급시키는 개조를 해주는 것을 본 것 같습니다.


250W를 350W나 400W로. 혹은 300W/350W를 500W로 승급 개조가 가능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1-11
개발자라면 가능하지만 소비자(End user)에서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박문형 2011-11
파워를 원천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업체에게 필요한 와트 수 및 파워사이즈 그리고 각 출력에 대한 A를 정의하고
개발비 및 약 10K정도로 물량을 구매 한다면 개발은 가능합니다. 개발후 모델명 정의 각 인증에 대한 인증서 발행
등등 돈드는게 한 두가지가 아닙니다.

한개 한개는 불가능입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박문형님! 여러가지로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질문의 요지는... 그냥 그런 업체(아마 고장/수리하는 업체가 파워의 승급개조를 했다고 올려 놓은 것)를 인터넷상에서 본 것 같다는 것이고,

단품을 업체에 맡겨서 개발/개조를 하겠다는 것은 아니고,

(만약 그런 고장수리업체가 파워승급개조도 해낸 것이 사실이라면,)  개인적인 납땜 실력을 가지고 "부품 몇가지만 교체해도 개조가 가능할까"를 질문했던 것입니다.
정희섭 2011-11
불가능 합니다.
캐퍼시터 인덕터 FET 하다못해 컨트롤 칩 까지 맞춤 설계하는겁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답변 고맙습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그런데, 일반 PC용 "파워서플라이"에 "콘트롤러 칩 Control Chip"까지 들어가나요?

분해해서 열어봤을 때, "콘트롤 칩"은 보지를 못했던 것 같습니다만 ???
          
정희섭 2011-11
http://www.pavouk.org/hw/en_atxps.html
->
http://www.ti.com/lit/ds/symlink/tl494.pdf
있습니다.

요즘같은 active pfc 파워는 아니고 그 이전의 파워인데도 있구요.
패시브 PFC 와는 다르게 Active PFC 타입의 SMPS는 고도의 계산으로 만들어낸거라 뭐 바꾼다고 용량이 늘어난다거나 하질 않습니다 (불안나면 다행)
그리고 SMPS 는 기본적으로 컨트롤러가 없으면 구성 자체가 안됩니다.
555 타이머 가지고 만들더라도 말입니다
못보셨다고 없는거 아닙니다.
어니스트 2011-11
1차측서부터 2차측까지 모두 교환 해야 합니다.

콘덴서도 추가 해야 되구요.

그값이면 새로 구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히로이찌 중에 되는 넘도 있는대 보장은 못합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답변 고맙습니다.

"1차측", "2차측"이라 함은 구체적으로 어떤 부품을 지칭하시는 것인지요?
          
어니스트 2011-11
1차측은 AC부분을 말합니다.
2차측은 DC로 변환된 부분부터 입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PC용 일반 "파워서플라이" 중에서 구형은 대부분이 채널이 하나(1)인 제품들이니,

채널이 2개 이상인 최근의 제품들보다는 채널이 1개짜리는 "와트승급개조"가 더 가능하지 않을까요 ?
          
어니스트 2011-11
아무래도 구형이 구조가 쉽게 되어 있습니다 만
그래도 부품을 개별로 구매를 하면 배보다 배꼽이 더커집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비용이 좀 들더라도, 직접 해당 부품들을 구해서 직접 개조를 해보고 싶습니다.
어니스트 2011-11
http://www.superpower.co.kr/Nicecart4/Shop/Cart/showitem_list.html?SubID=A124B168

개조및 수리 없체 입니다.

문의를 해보새요.
     
영원한혁신 2011-11
답변 고맙습니다.

여러가지로 이것 저것을 업체들에게 질문을 하고는 싶지만,

문의를 하더라도 자신들의 "기술/영업비밀(?)"을 공개하거나 일반인이나 특정 개인에게 친절히 설명해줄 리는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설계의 여유가 있다면 부품 교환만으로도 어느정도 출력을 올리는 건 가능하겠지만 굳이 옛날 파워를 그렇게 써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옛날 파워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라면 그 시스템에 특화된 설계를 가진 제품인 경우 등 어쩔 수 없는 이유가 있을 때나 유용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부품의 교체만으로 출력을 올리는 건 가능하지만 여유폭이 크지 않다는 것입니다. 3A짜리 FET를 5A짜리로 바꾼다면 허용가능한 전류량이 늘어나겠지만 PCB기판을 5A로 설계했다면 이미 한계성능이라는 것이죠. 이런 정보가 없이 그냥 부품을 교체하는 건 위험합니다. ATX파워야 설계가 비슷하니 업체에서도 어느정도 가늠은 하겠지만 주요 컴포넌트를 교체하는 개조 비용이라면 그냥 새것을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위칭 파워에서는 단순히 부품을 상위급으로 교체하면 끝나는 게 아닙니다.

개조는 개조일 뿐 그 어느 누구도 안정성은 보장하지 못합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답변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당연히 "안정성"은 보장을 못하겠지만, 마이너스5V(-5V)가 필요하니 일반구형PC용 파워서플라이를 재생해야 할 상황입니다. 이왕이면 하는김에 파워승급/와트승급도 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그리고, 공부차원에서 일정부분은 재미로 DIY로 직접 해보고 싶습니다. 그래서 자료를 모으고 찾고 있는데, 자료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더욱더 많은 조언과 경험담을 부탁드립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아래의 링크 내용을 보니, 삼성PC용 파워서플라이를 파워승급/와트승급개조하였다고 나오는 것 같습니다.

http://www.superpower.co.kr/Nicecart4/Shop/Cart/showitem.html?itemID=57&item_subidkey=A124B168

*개조가능 파워모델넘버 : ST-180DHS3 / PST-182DHF5 / PST-108DAM1

...기존출력 180W에서 개조작업후 380W로 출력상승...
     
영원한혁신 2011-11
구체적으로 어떻게 승급개조/파워개조를 했는지 그 "개조 방법"이 궁금할 따름입니다.
박문형 2011-11
제가 수퍼파워사 사장님을 압니다만 저런 경우에는 껍데기만 사용하고 안에 내용물은 전체 다
개발해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박문형 2011-11
-5V가 들어가는 파워는 FSP 서버파워 몇가지가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 필요하시는 파워의 와트수와 사이즈(PS/2,2U,1U,ETC)를 알면 혹시나 기성품을 찾을 수 있을지 모릅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필요한 것은 서버용 파워는 아니고, 일반 PC용 파워입니다. 고맙습니다.
어니스트 2011-11
출려만 -5V가 필요 하면 FET나 다이오드로 가능합니다.

입출력만 계산하시면 -5v는 추력가능합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계속되는 관심에 고맙습니다.

-5V는 단독 출력으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ISA 슬롯(SLOT, 버스 BUS)가 달린 메인보드(산업용이 아닌 일반PC용)용으로 필요한 파워의 출력입니다.


만약 계산법을 설명해주실 수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참고하겠습니다.

혹시 +5V나 +12V 입력으로 FET나 다이오드로 회로를 구성하는 것입니까?
김선규 2011-11
그 업체가 언급될 줄 알았습니다.
대기업 본체 등에 들어가는 파워를 승급했다고 생각하기 보다
일반 용량 큰 파워를 대기업 본체 사이즈에 맞게 호환성 개조를 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영원한혁신 2011-11
김선규님. 저의 이슈글에 대한 관심 고맙습니다.

저도 그 비슷한(?) 작업을 예전에 해본적이 있습니다.

작은 사이즈의 고장난 파워서플라이케이스에, '새 파워제품'의 '기판'을 (쇼트가 나지 않도록 하면서) 어떻게든 우겨넣는 작업 말이지요!


QnA
제목Page 3786/5732
2015-12   1794073   백메가
2014-05   5269006   정은준1
2012-03   8079   최동현
2015-08   3656   갈릭푸드
2020-02   3350   올빼미잠와
2017-09   3430   양창권
2018-12   2522   김훈1
2023-01   3441   일반유저
2016-09   4396  
2023-01   2213   isilentwind
2015-09   5297   너의남자
2009-02   9540   여주이상돈
2020-02   2690   dreamer74
2014-05   4815   가빠로구나
2023-02   2415   pumkin
2009-03   6727   민규
2019-01   3652   epage
2021-07   2925   임진욱
2024-11   944   ikaros7
2015-09   4361   라면먹고갈래
2024-12   1111   Noname1
2009-05   6308   심바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