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공유기는 buffalo wzr-hp-g450h 유무선공유기
허브는 3com gigabit switch 5(3cgsu05)
랜카드는 인텔 expi9301ct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연결한 선들은 cat6로 아파트 내부 벽안은 cat5e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서버와 제 메인컴의 사이에서는 전송속도를 최대로 하고 싶습니다. 알아보니 점보프레임, 티밍, 광랜등의 방법이 있는 것 같은데요. 광랜은 불가능하고 점보프레임과 티밍은 가능할 것 같아서 문의 드립니다. 서버와 메인컴 사이에 공유기1대, 허브1대 있습니다
점보프레임 문의 드립니다
1. 1. 제 상황에서 점보프레임이 되도록 구성하면 전송속도에 향상이 있는지요. 벽 안쪽이 cat5e로 되어있습니다
2. 2. 점보프레임은 랜카드만 지원하면 되는지요. 기가빗 허브면 지원에 상관 없는지요. 아니면 3com허브도 지원하는 놈이 따로 있어 바꾸어야 하는지요
3. 3. 제 시스템에서는 버팔로 공유기가 점보프레임 지원을 안 합니다. 어차피 무선은 써야하니까
a. 버팔로를 무선 ap로 돌리고, 점보프레임을 지원하는 공유기 efm iptime t3004 유선공유기 http://blog.danawa.com/prod/?section_m=pc&prod_c=1438642&cate_c1=863&cate_c2=895&cate_c3=16024&cate_c4=0 로 바꾸던가
b. 아니면 3com 허브를 하나 더 구입해서 공유기자리에 허브를 놓고 버팔로 공유기를 여기에 연걸하는것으로 바꾸면 될것같은데요. 어느쪽이 퍼포먼스가 더 나올까요
티밍에 관해 문의 드립니다
1. 1. 티밍은 랜카드 두장 이상을 묶는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제 pci 인텔 랜카드와 보드내장 랜을 회사에 무관하게 같이 묶을수 있는지요
2. 2. 카드 한장에 랜포트2개이상이 달린것들도 이 랜포트 들을 팀으로 묶을수 있는지요
3. 3. 티밍은 직결에만 효과가 있는지요 아니면 중간에 허브나 공유기를 거쳐도 상관 없는지요
4. 4. 저의 시스템 상황에서 티밍이 효과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워낙 아는 것이 없어 질문이 난잡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2. 멀티포트 랜카드들은 보통 브로드컴 , 인텔 칩셋인데 이것들은 보통 티밍이 가능 합니다.
3. 같은경우는 직결 , 허브 , 공유기 유무를 떠나서 랜카드에서 나온 랜선이 가장 처음 들어가는 허브 에서 티밍 을 지원해야 됨니다.
(참고로 티밍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셔서 HDD 디스크 의 레이드0 이나 1 ) 식으로여..
일반적인 장애극복 용도 ..이름이 생각이... (랜선두가닥중 하나가 빠지거나 단선 되는 경우 에도 정상 작동 )
로는 깡통 허브에서는 전부다 지원 합니다.
(저도 실제로 사용하고있습니다.)
4. 일단 은 허브가 지원 해야 ......
1. 티밍의 경우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늘려주지만 전송 속도를 늘려주지는 않습니다.
서버A의 랜을 티밍으로 해서 1G*4 해서 4기가, 컴B를 티밍으로 해서 1G* 2 해서 2기가로 했을 때 A와 B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1G가 나옵니다.
서버A의 랜을 티밍으로 해서 1G*4 해서 4기가, 1G인 컴 B,C,D,E와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A는 4G, B,C,D,E는 각 1G가 나옵니다.
※ 이 내용은 제가 사용을 해 본것이 아닌 줏어들은 이론이니 틀릴 수도 있습니다. 확실한 것은 각각 티밍으로 2G로 묶은 컴 A,B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1G가 나왔습니다.
2. 점보 프레임을 사용한다고 획기적인 전송 속도의 향상을 기대하기는 힘듭니다.
소용량의 경우 체감할 수 있을만한 시간이 나오질 않고..
대용량의 경우 하드의 IO속도가 네트워크를 따라오질 못합니다..
기가비트로 연결했을 경우 초당 100MB정도의 데이터 전송이 나오는데..
1초에 완료될 것을 0.8초에 완료된다고 체감하기 힘들고..
그렇다고 수십초 이상이 소요될정도의 데이터라면 GB급의 데이터인데.. 단일 하드일 경우 그 정도의 읽기/쓰기 성능을 보여주질 못했었습니다.
2. 티밍은 라우팅 프로토콜에만 반응하며 IPX에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내부에서 CIFS/SMB로 파일 공유할때는 2Gbps 티밍을 해도 1NIC(1Gbps. 약 125MB/s)를 넘을수 없으나 iscsi 같은 서비스를 올리는 경우. 1개의 NIC가 가지는 125MB/S의 속도를 넘을수 있으며. 디스크 속도만 충분하다면 실제 묶은만큼의 속도가 나옵니다. 간혹 안된다고 하시는분은 라우팅 프로토콜에만 반응한다는걸 몰라서 그렇습니다.
3. 고속도로 차선이 4차선 -> 16차선으로 넓어진다고 해서 티코가 포르쉐로 변신하지는 않습니다. 즉. NIC 로 4Gbps 이상의 티밍을 만들었다고 해도 디스크 속도가 100Mbps 정도라면 의미가 없습니다. raid 등으로 디스크 대역을 높여야 합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윈도우 폴더 공유같은 IPX로는 티밍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대용량 디스크를 만들었다면 iSCSI같은 서비스를 올려 클라이언트에 디스크로 마운트 시키시기 바랍니다.
4. 점보프레임은 패킷을 4k. 9k. 12k 등으로 크게 묶어서 보내는것이기 때문에. 받는쪽과 중간 스위치 같은 장비가 모두 같은 크기 "이상"을 지원해야 합니다. NIC는 모두 12k를 지원하는데. 중간 스위치가 최대 9k만 지원한다면 실제 보낼수 있는패킷의 최대 사이즈는 9k입니다. 또한 받는쪽에서 점보프레임을 지원하지 않아 최대 1500까지만 지원한다면 중간에 다시 짤라서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과정에서 지연이나 먹통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5. 같은 브랜드라면 보드 내장유무는 상관이 없습니다. 칩이 뭔지가 중요하며. 인텔NIC의 경우. 데탑계열용 칩셋만 있을경우. 티밍이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하나라도 서버제품군이 있다면 데탑계열의 NIC도 서버쪽에서 티밍군으로 묶을수 있습니다. 즉 가지고 있는 NIC중 하나는 반드시 서버 제품군이어야만 합니다.(*인텔 기준)
6. iptime t3004 공유기. CN401C 같은 KT FTTH모뎀들과 호환성 문제가 있습니다. NAT가 2Gbps 스펙에 가격이 말도 안되게 저렴하여. 저도 테스트겸 하나 구매했었는데. 호환성문제가 있어서 창고에 처박혀 있습니다. 제조사에 여러번 문의했지만. 칩자체의 호환성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 불가 판정 받았습니다. 전자기기에서 값싸고 품질 좋은것은 없는거 같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텔 expi9301ct로 점보프레임 구성시에 중간에 3com gigabit switch 5(3cgsu05)를 사용해도 제 성능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엔트리 레벨 말고 상급기종을 새로 구입해야 하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