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774 |
0 |
2014-05
524077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6283 |
25 |
2015-12
1766283
1 백메가
|
39865 |
컴퓨터가 많이 피곤해 합니다. (4) |
신우섭 |
2012-02 |
4899 |
0 |
2012-02
4899
1 신우섭
|
39864 |
LSI 9265-8i 핫스왑과.. 작은질문들.. |
Aniny |
2012-02 |
5663 |
0 |
2012-02
5663
1 Aniny
|
39863 |
일러스트 cs4 사용하는데 글픽카드 업이 도움이 될까요? (4) |
장동건2014 |
2012-02 |
5411 |
0 |
2012-02
5411
1 장동건2014
|
39862 |
온보드인데.. (3) |
원상현 |
2012-02 |
5342 |
0 |
2012-02
5342
1 원상현
|
39861 |
HP Elitebook 8460p 관련 문의 입니다. (1) |
GoodWolf |
2012-02 |
7974 |
0 |
2012-02
7974
1 GoodWolf
|
39860 |
혹시 이 카드에 대해 아시는 분 - Myricom 10G-PCIE-8A-R (2) |
박현수 |
2012-02 |
5786 |
0 |
2012-02
5786
1 박현수
|
39859 |
openVPN 과 SSTP 의 속도비교가 궁금합니다. (1) |
미수맨 |
2012-02 |
15438 |
0 |
2012-02
15438
1 미수맨
|
39858 |
기가바이트 Z68XP-UD3 랑 아답텍 5805 연결문제 (6) |
홍인성 |
2012-02 |
5860 |
0 |
2012-02
5860
1 홍인성
|
39857 |
DAP자격증...효력(가치)가 어느정도 일까요? (2) |
김건우 |
2012-02 |
27747 |
0 |
2012-02
27747
1 김건우
|
39856 |
AD보드 케이블 구입경로 좀 알고 싶습니다. (4) |
박상범 |
2012-02 |
6482 |
0 |
2012-02
6482
1 박상범
|
39855 |
이제 겨우 10년된 IBM xSerise 232에 Untangle은 무리일까요? |
미소찍사 |
2012-02 |
5241 |
0 |
2012-02
5241
1 미소찍사
|
39854 |
파일 서버 공유 문의 드립니다. (2) |
pranludi |
2012-02 |
5747 |
0 |
2012-02
5747
1 pranludi
|
39853 |
윈도우 다시 깔때... (1) |
이지포토 |
2012-02 |
6437 |
0 |
2012-02
6437
1 이지포토
|
39852 |
화면이 작게 나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아름다운노을 |
2012-02 |
7632 |
0 |
2012-02
7632
1 아름다운노을
|
39851 |
[질문] 가정에서 DIY로 쓸만한 "용접기" 추천/어드바이스 부탁합니다. (8) |
영원한혁신 |
2012-02 |
31968 |
0 |
2012-02
31968
1 영원한혁신
|
39850 |
윈도우 지수 (2) |
이지포토 |
2012-02 |
5461 |
0 |
2012-02
5461
1 이지포토
|
39849 |
intel vs amd 어느것을 쓸까요? (11) |
허대웅 |
2012-02 |
6545 |
0 |
2012-02
6545
1 허대웅
|
39848 |
1U 4bay short chassis 있을까요... (2) |
박남규 |
2012-02 |
5499 |
0 |
2012-02
5499
1 박남규
|
39847 |
네트워크로 다른 pc로 접속히 접속이 안됩니다(네트워크 리소스 부족 메시지뜸) (2) |
블루모션 |
2012-02 |
8668 |
0 |
2012-02
8668
1 블루모션
|
39846 |
하드 보관하는 박스 문의 (3) |
컴센스 |
2012-02 |
5171 |
0 |
2012-02
5171
1 컴센스
|
이렇게 생각하시면 쉬울듯합니다.
데이터를 블럭 방식으로 스커지 명령어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전송
NAS는 한 원격 스토리지 볼륨을 다수의 사용자가 IP를 통해 접속.
iSCSI는 드라이브 마운트인데, 물리적인 연결이 아니라 1:1 매치(원격 드라이브 마운트)
정도라고 생각하면 되지않을까요.
iSCSI =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를 연결할때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
NAS중에서 iSCSI를 지원하는 애들도 있습니다.
NAS = 파일기반 서비스 / 공유 프로토콜 : CIFS/NFS/AFP/HTTP... / 일반 인증,LDAP,ADS 적용 가능
ISCSI = 블럭기반 서비스 / 자체 인터넷 SCSI / 보안 CHAP
ISCSI를 쓰는 방식은 Initiator(Client) / Target(Server) 두가지가 필요하며, NAS스토리지에 주로 TARGET SW
가 올라갑니다. 쓰고자 하는 윈도우즈나 기타 OS에서 SW기반이나 NIC 기반의 Initiator를 설치하여
Import해서 쓰시면 됩니다.
끌어당긴 블럭 디바이스는 해당 OS에서 지원하는 파일시스템으로 포맷을 하시면 됩니다. NTFS, EXT2,EXT3.EXT4,JFS,XFS
등등 ..
여러 OS에 SAN처럼 공유 디바이스로 처리하시려면 SAN 공유 파일시스템에 지원하는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시면 됩니다. 리눅스 GFS,OCFS2로 포맷하시면 여러 시스템의 하나의 볼륨을 동시에 읽고,쓰기가 가능합니다.
ISCSI는 IBM 이스라엘 연구소에서 고안되어서 IETF 표준화를 거쳐서 누구나 표준 프로토콜을 가지고 SW는 만들수 있습니다.
윈도우즈에서 네트워크 파일 서비스는 볼륨마운트시, DB나 Critical 한 쪽은 지원을 정상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NAS 파일 기능보다는 ISCSI 블럭 장치를 끌어다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리눅스 같은 경우 저렴하게 SAN 을 대체해서
클러스터를 구축할때 용이합니다. 그리고 저장장치가 없는 임베디드형 디바이스에서 자체 저장장치를 원할경우
NFS보다는 ISCSI를 끌어다 쓰는 시스템도 있습니다.
얼마나 사용이 많은 지는 모르겠지만, 여전히 메인시스템보다는 백엔드 시스템 저장장치를 쓰여지는 추세가 아닌가 싶습니다.
FC- SAN 보다는 유연하고, 구축이 용이하고, 저렴하다는게 장점이긴 합니다.
일단 nas는 드라이브 단위로 인식됩니다. 물리적인 디스크로 쓸수도 있고 레이드로 묶어서 쓸수도 있습니다. 여러명이 동시에 연결되어 작업할수 있습니다. 전송이 파일 단위로 됩니다
iscsi는 물리적인 디스크나 레이드 디스크상에서 가상으로 디스크를 파일로 만드는겁니다. 전송이 블록단위로 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고합니다. 물리적인 디스크 안에서 용량이 허용하는한 여러개 만들수 있고 용량 늘리기가 편하기 때문에 서버 관리 측면에서 매우 좋다 합니다. 인터넷에서 어떤분은 거의 복음이라고 표현하셨더군요
제가 써보니까 보통 기가빗 랜카드 연결시 저의 경우 전송속도가 60메가 정도 나오고, iscsi 에서는 70-75정도 나왔습니다. 저는 한 100메가 나오지 않을까 했는데 뭐 그리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하드 연결하고 레이드 구성하고 iscsi까지 만드는거라 한단계를 더 거치는 귀찮음에 비해 별로 이득이 없는것 같아서 그냥 이전의 포맷으로 돌아갔습니다.
저도 이론으로만 알고있는 부분이지만..
적당히 상황을 만들어 보자면..
동일한 시스템 여러대에 운영체제를 설치할 경우..
iScsi 가 없을 경우 : 1대의 시스템을 설치한 후 하드 디스크 이미지를 떠서 각 시스템에 이미지를 복사한다.
iScsi 를 사용할 경우 : 1대의 시스템을 설치한후 iScsi 서버에서 파일 복사를 한다음 각각의 시스템에 연결한다.
일부의 기능만을 사용한 극히 단순한 예일겁니다..
이런 저런 기능들을 살펴보니 대형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엔 복음이라고 할만 하겠더군요.
iSCSI -> protocol
역시.. 짱입니다. 2CPU!!!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