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ay-RT를 고려한 시스템을 구상중입니다.(벤치마크 포함)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조회 9087   추천 0    

업계에 근무하시는 다른분들 처럼 H/W를 구입하고 테스트할수 입장이 아니라서 개인적으로 정보만 몇일째 모아봤습니다.

일단은 가장 중요한건 예산이겠죠... 예산만 많다면 당연히 워크스테이션을 구입하겠지만 집에서 겨납니다.. ^_^;;

그래도 궁금해서 서버용 CPU인 제온과 옵테론도 알아보고  쿼드로와 파이어지엘도 알아봤는데 

생각보다 효율이 떨어 지더라구요.. 

(원본 소스는 카오스그룹에 올라온 게시물이라고 알고있는데 찾아보니 없더군요.. 내가 잘 못찾는건지..)

싱글로만 봤을때 GTX590은 너무 비싸서 제외하고 580정도가 쿼드로4000 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중고 검색을 해보니 쿼드로4000은 70만원 정도라 구입가능하지만 그 금액이면 새제품 GTX580을 구입하는게 좋아 보여서 580으로 결정하려는 순간!!!

그런데 여기서 변수가 등장합니다 두둥!!

위에 리스트에도 제일 성능이 떨어지는것도 그렇고 원래 vray가 amd 그래픽 카드에  지원이 늦어진것도 그래서 

AMD 그래픽 카드는 관심도 없다가 이 기사를 봤습니다.  http://gigglehd.com/zbxe/7020797

아래 표 마지막쯤 보시면 GTX580과의 비교중에 OpenCL 벤치마크가 있는데 성능이 훨씬 뛰어나네요..

그래서 고민인건 지금 HD7970을 구입해서 test???를 해보느냐 아니면 Nvidia 다음 그래픽카드인 
케플러를 구입하느냐인데 언제나올지도, 성능도 모르는 케플러를 기다리느니 
지금 내 컴퓨터에 HD7970을 구입해서 쓰던가 아니면 다음 4월 이후에 나올 아이비 브릿지와 케플러로 구입할 예정입니다.

HD7970으로 Vray RT에서 어느정도 나올지가 정확히는 감이 안잡히네요 저 벤치마크 상태라면 높을것 같긴한데... 워낙 변수가 많다보니 이걸 샀다가 괜히 망하는거 아닌지 모르기 때문에 안전하게 4월 이후에 구입을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필드에서 여러가지 경험을 먼저 해보신 분들의 조언과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이라면 어느쪽을 선택하실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방한성 2012-02
안정성과 호환성도 중요하기 때문에 nvidia에 한표 던져요.
최시영 2012-02
무슨말인지 .
렌더링은 씨피유만 빵빵하면 돼는데 말이죠.
요즘은 그래픽카드가 조금 도와준다는 정도로만 알고있는데요
그렇다고해도 씨피유보다 많이 떨어지지 않나요.
그래서 제가 아는분은 중고 서버를 구해서 랙구성해서 돌리던데요.
     
닐니리맘보 2012-02
방한성님// 음.. 그렇죠.. 저도 amd꺼 드라이버 문제로 고생한적이 있어서 성능만 비슷하다면 nvidia가 좋을것 같네요..
최시영님// 제목에 써있지만 VrayRT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RT는 GPU렌더링이라 그래픽 카드가 중요하거든요.. 저도 RT아니면 최시영님 말대로 중고 서버도 고려할텐데 말이죠..
이현호01 2012-02
OpenCL 을 사용하신다면 ATI 를 사용하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ATI의 가장 큰 결점은 '드라이버' 인데, 이것도 요즘은 괜찮은것 같아요.
2010년만 하더라도 드라이버에 버그가 많아서 안되는 것들이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GPU 렌더링에 AMD는 모험입니다.

GPGPU 렌더러 도입한지 2년정도 되었네요 ^^
닐니리맘보 2012-02
이현호님 박창신님 의견 감사합니다.
주변에 ATI 쓰는 사람이 있다면 쉽게 확인할수 있는건데 주변에는 전부 Nvidia를 쓰네요 ^_^;;
베치마크를 보면 분명 ATI가 좋긴 하지만 여러분 말씀대로 AMD는 좀 꺼려지는게 사실이라 다음 nvidia까지 기다려 보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고윤철 2012-02
RT를 사용하시려면 SLI를 하시면 되는데 고가의 카드 하나를 원하시는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가요?
씬파일 용량에 따른 렌더링 제약 때문에 많은 그래픽카드 메모리가 필요해서 단일 고가의 카드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LI가 최선입니다 CPU하나 더 추가하는거랑은 차원이 다릅니다.


QnA
제목Page 3739/5731
2014-05   5268831   정은준1
2015-12   1793852   백메가
2017-11   12569   컴박
01-14   819   박문형
2019-02   5180   whitesands
2019-02   2614   나비z
2015-11   5731   장동건2014
02-06   891   마츄
2014-07   6311   제스퍼즈
2015-11   7099   배상0원
2016-10   4069   siteop
2020-04   3284   시골노인
2014-07   5401   윈도우10
2016-10   3729   미수맨
2021-09   2108   반성만
2015-11   4514   cclim
2016-10   4468   컴박
2021-09   3122   묵향ll김기준
2023-04   4453   audacity
2009-08   5901   오성기
2014-07   8492   김황중
2021-09   3470   flybb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