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형 3D 프린터 정보를 어디에서 얻을 수 있을까요?

   조회 7199   추천 0    

저가형이라 함은 예전에 잠깐 이곳에서 소개되었던 2~3백만원? 정도의 모델인데요.

게시판에 만들어보신다던 회원분도 계셨던 것 같고요.

 

혹시 이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나 잘 알고 계신 분이계시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예를 들어 완전한 디테일은 아니더라도 '뽀로로'캐릭터를 출력할 수 있는지...

아니면 이런 정도를 출력하려면 어느 정도의 비용을 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합니다.

 

물론 칼라는 색칠해야 하는 것이겠지요?^^

 

또한가지 캐드나 3D맥스류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아니면 혹시나 사방에서 찍은 사진으로 모델링이 가능한지(이건 제가 보기에대 좀 아니군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아름 2012-02
3차원 프린팅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1. 얇은 시트를 레이저로 절단해서 접합하는 방법  (자동임)
- 색상이 1가지만 가능
- 제작 시간이 많이 걸린다.

2. 광조형 수지를 이용한 방법
- 액체형 광조형 수지를 이용하여 UV레이저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만 굳혀서 성형하는 방법
- 색상이 1가지만 가능
- 제작 시간이 많이 걸린다.

3. 잉크젯 방식
- 수지가루를 뿌린 후 특수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를 하여 화학 반응으로 굳히는 방법
- 모든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 제작시간이 많이 걸린다.

4. 수지 와이어 방식
- 수지 와이어를 가열하여 성형하는 방법
- 장비에 따라 표현색상이 제한적이다.
- 제작시간이 많이 걸린다.


대략 위의 4가지 방식 제품이 있습니다.

모든 제품이 다 자동으로 동작을 합니다.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가 있어야 하구요.

3차원 모델을 윗면부터 슬라이스 하여 단면에 대한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면,
프린터가 전송된 형상만큼 성형 또는 절단, 프린팅 합니다.
그리고 제품성형 스테이지가 일정높이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다음 데이터를 기다립니다.
또 다음 높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면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합니다.

그러므로 프린터 장비만 있어서는 안되고,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도 필요합니다.

http://www.sysopt.co.kr/

위 사이트를 참조해 보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위의 사이트를 방문해봤고요. 전화도 했더랍니다.
가장 저렴한 장비가 3천 이더군요.

아마존에서 판매했던 아주 간단한 장비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런 부분에대한 정보는 없을까요? 혹시...
김태윤2 2012-02
http://store.makerbot.com/thing-o-matic-kit-mk7.html

아주 간단한 장비라면 이런쪽이 아니였던가 싶습니다.
아.. 네 태윤님... 맞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런데 이 제품에 대한 다른 정보?가 있을까요?
김태윤2 2012-02
http://irmus.tistory.com/91

제가 처음으로 저가형 3D 프린터 정보 찾아들어간 시작점입니다.

Youtube 관련동영상 쪽 돌면서 대략을 파악하고 완성도가 괜찮아(보이면서 저렴한) 것들은 타이틀로 다시 구글링..

저 제품이 국내에 소개된건 어른의 과학 비슷한 스타일로 국내 발간된 취미잡지에서 한번 언급한 정도인걸로 압니다

동영상만으로는 수지 와이어 방식이고 제가 보았을때는 3축 1색이였고 최신판은 3축 2색인듯 합니다.

결과물의 정밀도는 그렇게 기대할만큼은 아닌듯 합니다. 그냥 모양이 나온다 정도?
이장원 2012-02
Makerbot이 현재 나온 저가형 프린터 중에서는 가장 많이 팔린 기종이라 정보를 얻기가 좋습니다. 요즘 유럽에서 만든 Ultimaker도 빠른 속도 때문에 뜨고 있구요.

저는 Makerbot의 Replicator라는 신기종을 구매를 했습니다. 두가지 색으로 동시에 출력 가능합니다.

또는 http://cubify.com/ 라는 곳도 있습니다. 3D 프린터로 유명한 3D Systems에서 만든 것인데, 잉크젯 모델을 따라서 기기값은 저렴하게 하고 소모품 비용을 비싸게 만들었습니다.

모델링은 Autodesk 123D를 쓰시면 됩니다. 무료고 기능도 상당히 좋습니다. 또한 Autodesk에서 출력 서비스도 대행해줍니다.

한 두 개 출력하실 예정이면 국내 수입 업체에서 출력 서비스를 해주기 때문에 이용하시면 됩니다. 아직 3D 프린터를 가정에서 쓰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이장원 2012-02
국내 업체 중에 (주)캐리마라는 업체가 있습니다. 광조형방식으로 만드는 방식인데, 개인이 쓰기에는 가격이 너무 높습니다. 저가형이 3천 정도 됩니다. 소모품 비용도 비싸구요. 그러나, 출력 서비스를 제공하니 한번 접촉해보세요. 아크릴 계열 수지를 쓰는데, 굉장히 매끄럽게 나옵니다. 에폭시 수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Olorin 2012-02
공통점은 뭘해도 제작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군요.
     
이장원 2012-02
빠른 기종들은 시간당 20mm 정도는 쌓더군요.


QnA
제목Page 3733/5727
2014-05   5253601   정은준1
2015-12   1778563   백메가
2012-02   5823   스카이
2012-02   7223   양창권
2012-02   6114   NiteFlite9
2012-02   5308   신우섭
2012-02   5049   포우
2012-02   6378   MikroTik이진
2012-02   5750   오성기
2012-02   8557   Larry
2012-02   5228   오정균
2012-02   5475   장동건2014
2012-02   6313   김우성
2012-02   10473   김1정2욱
2012-02   5658   김건우
2012-02   6072   김건우
2012-02   6748   가빠로구나
2012-02   5217   방o효o문
2012-02   6103   안성현
2012-02   5952   2CPU최주희
2012-02   9333   황혼을향해
2012-02   12401   정은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