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676 |
25 |
2015-12
177767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695 |
0 |
2014-05
5252695
1 정은준1
|
39915 |
[ Dell T7610에서 iSCSI 사용 with i350 ] 불가능 (2) |
전설속의미… |
2015-07 |
5888 |
0 |
2015-07
5888
1 전설속의미…
|
39914 |
동작?대교 진입하면 양쪽에 매점? 아니면 전망대(뷰)같은 곳 / 동작대교에서 한강쪽 … (9) |
김건우 |
2017-08 |
4894 |
0 |
2017-08
4894
1 김건우
|
39913 |
라즈베리파이에 tvheadend 설치 삽질 중인데 마지막에 막힙니다 ㅜㅜ (7) |
인생여전 |
2016-08 |
7966 |
0 |
2016-08
7966
1 인생여전
|
39912 |
SAS 하드는 SMART가 없나요? (2) |
윈도우10 |
2015-08 |
4104 |
0 |
2015-08
4104
1 윈도우10
|
39911 |
Dell PERC H330 mini Raid 5 지원여부 (12) |
제온프로 |
2023-01 |
2357 |
0 |
2023-01
2357
1 제온프로
|
39910 |
저희 집 인터넷 단자함...어떻게 해야할까요.... (4) |
페선생 |
2018-12 |
3636 |
0 |
2018-12
3636
1 페선생
|
39909 |
안드로이드 연결용 ssd 파티션 종류는 어떤게 좋을까요? (1) |
pilsuni |
2020-01 |
2835 |
0 |
2020-01
2835
1 pilsuni
|
39908 |
NAS 데이터 수집(프로메테우스)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4) |
컴맹주니 |
2023-01 |
1534 |
0 |
2023-01
1534
1 컴맹주니
|
39907 |
hp xw6600 운영체제CD 구합니다. (1) |
맹물 |
2012-03 |
5871 |
0 |
2012-03
5871
1 맹물
|
39906 |
의원용 서버 컴퓨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9) |
미수맨 |
2012-04 |
7556 |
0 |
2012-04
7556
1 미수맨
|
39905 |
지난주까지 잘되던 구글시트(sending to chrome print)가 인쇄가 안되네요 |
삐돌이슬픔이 |
2021-05 |
2106 |
0 |
2021-05
2106
1 삐돌이슬픔이
|
39904 |
IBM X3550 서버 OS설치 관련 조언 구합니다. (11) |
안용국 |
2012-04 |
8591 |
0 |
2012-04
8591
1 안용국
|
39903 |
NAS 가이드에 들어가는 나사 구할수 있을까요? (5) |
임시현 |
2016-08 |
4374 |
0 |
2016-08
4374
1 임시현
|
39902 |
리눅스 오라클 12c 다운로드 받고싶은데 뭐가뭔질 모르겠습니다... 링크좀 부탁드립… (4) |
bangCH |
2021-05 |
3472 |
0 |
2021-05
3472
1 bangCH
|
39901 |
시리얼 통신에 대하여 질문 (19) |
ocarina |
2023-01 |
2314 |
0 |
2023-01
2314
1 ocarina
|
39900 |
맥 노트북과 x86 노트북 배터리 사용시 성능 (3) |
술이 |
2021-05 |
3011 |
0 |
2021-05
3011
1 술이
|
39899 |
이거 불법 채굴인가요? (13) |
inquisitive |
2021-06 |
2888 |
0 |
2021-06
2888
1 inquisitive
|
39898 |
hdd 스위치 바이패스 콘덴서 위치 (8) |
장동건2014 |
2012-04 |
9821 |
0 |
2012-04
9821
1 장동건2014
|
39897 |
클라우드 가상화 서버에 질문이 있습니다. (2) |
대륙의삽질 |
2016-09 |
3444 |
0 |
2016-09
3444
1 대륙의삽질
|
39896 |
775소켓 메인보드 추천해주세요. (1) |
AplPEC |
2015-08 |
4770 |
0 |
2015-08
4770
1 AplPEC
|
1. 얇은 시트를 레이저로 절단해서 접합하는 방법 (자동임)
- 색상이 1가지만 가능
- 제작 시간이 많이 걸린다.
2. 광조형 수지를 이용한 방법
- 액체형 광조형 수지를 이용하여 UV레이저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만 굳혀서 성형하는 방법
- 색상이 1가지만 가능
- 제작 시간이 많이 걸린다.
3. 잉크젯 방식
- 수지가루를 뿌린 후 특수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를 하여 화학 반응으로 굳히는 방법
- 모든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 제작시간이 많이 걸린다.
4. 수지 와이어 방식
- 수지 와이어를 가열하여 성형하는 방법
- 장비에 따라 표현색상이 제한적이다.
- 제작시간이 많이 걸린다.
대략 위의 4가지 방식 제품이 있습니다.
모든 제품이 다 자동으로 동작을 합니다.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가 있어야 하구요.
3차원 모델을 윗면부터 슬라이스 하여 단면에 대한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면,
프린터가 전송된 형상만큼 성형 또는 절단, 프린팅 합니다.
그리고 제품성형 스테이지가 일정높이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다음 데이터를 기다립니다.
또 다음 높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면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합니다.
그러므로 프린터 장비만 있어서는 안되고,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도 필요합니다.
http://www.sysopt.co.kr/
위 사이트를 참조해 보세요.
위의 사이트를 방문해봤고요. 전화도 했더랍니다.
가장 저렴한 장비가 3천 이더군요.
아마존에서 판매했던 아주 간단한 장비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런 부분에대한 정보는 없을까요? 혹시...
아주 간단한 장비라면 이런쪽이 아니였던가 싶습니다.
그런데 이 제품에 대한 다른 정보?가 있을까요?
제가 처음으로 저가형 3D 프린터 정보 찾아들어간 시작점입니다.
Youtube 관련동영상 쪽 돌면서 대략을 파악하고 완성도가 괜찮아(보이면서 저렴한) 것들은 타이틀로 다시 구글링..
저 제품이 국내에 소개된건 어른의 과학 비슷한 스타일로 국내 발간된 취미잡지에서 한번 언급한 정도인걸로 압니다
동영상만으로는 수지 와이어 방식이고 제가 보았을때는 3축 1색이였고 최신판은 3축 2색인듯 합니다.
결과물의 정밀도는 그렇게 기대할만큼은 아닌듯 합니다. 그냥 모양이 나온다 정도?
저는 Makerbot의 Replicator라는 신기종을 구매를 했습니다. 두가지 색으로 동시에 출력 가능합니다.
또는 http://cubify.com/ 라는 곳도 있습니다. 3D 프린터로 유명한 3D Systems에서 만든 것인데, 잉크젯 모델을 따라서 기기값은 저렴하게 하고 소모품 비용을 비싸게 만들었습니다.
모델링은 Autodesk 123D를 쓰시면 됩니다. 무료고 기능도 상당히 좋습니다. 또한 Autodesk에서 출력 서비스도 대행해줍니다.
한 두 개 출력하실 예정이면 국내 수입 업체에서 출력 서비스를 해주기 때문에 이용하시면 됩니다. 아직 3D 프린터를 가정에서 쓰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