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버 커뮤니티 사이트 운영 용도로 하나 조립 맞출려고 합니다.
사무실에서 직접 돌릴꺼라 랙형은 시끄러워서 타워형으로 조립 예정입니다.
조립이 번거롭긴해도 재미도 있고, 이것저것 공부하는 중입니다.
단일서버니까 웹/DB/파일/이미지 서버가 하나로 운영되는 형태지요.
1. CPU 가격차이 문의
하단의 빨간선은 가성비가 좋은제품 / 파란선은 가성비가 나쁜 제품 입니다. 제가 직접 표시 한것입니다.
근데 성능차이가 크지 않은데 왜이렇게 가격차이가 큰거지요?
웹서버라서 cpu는 중요치는 않지만 그렇다고 굳이 가성비 나쁜 제품을 살 이유는 없을 것 같아서요.
사진출처 : http://www.cpubenchmark.net/high_end_cpus.html
2. 워크스테이션 전용 CPU
Xeon e3-1230 가 가성비가 좋은것 같군요. 성능이 I5-2500 샌디 보다 높고, 가격은 7만원 정도 더 비쌉니다.
근데 e3-1230 들어간 완제품 서버를 보면 서버보다 워크스테이션 제품이 더많이 보이는데
제온CPU도 워크스테이션 전용 / 서버 전용이 태생적으로 정해져서 나오나요??
그리고 Xeon e3-1230은 워크스테이션 전용이라면 다른 가성비 좋은 cpu는 뭐가좋을까여
3. CPU가 ECC/REG램 지원여부
cpu에 따라서 REG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건가요??
제온e3-1230은 1155소켓인데 , 1155소켓은 unbuffered ECC는 있지만 registered ECC(ECC/REG) 램이 가능한 메인보드는 찾을 수가 없네요.. 제가 찾질 못하는 걸까요??
혹시 보드 찾는 가면 제품명이나 URL좀 부탁드립니다.
또는 다른 가성비 좋은 CPU의 ECC/REG 가능한 보드는 뭐가 있을가요?? (100만원이하로)
4. 듀얼 CPU
e3-1230을 듀얼 cpu로 쓸 수 없는 것 같군요 . 1155소켓을 찾으면 듀얼로 쓸 수 있는 메인보드가 없군요
cpu 소켓에 따라 태생적으로 듀얼로 쓸 수 있는 소켓과, 싱글로만 써야하는 소켓이 정해져 있나봐요???
5. 듀얼랜 장점
메인보드 보면 듀얼랜이 달린 보드가 있던데, 듀얼랜을 달면 어떤 장점이 있죠??
랜카드 1개 고장났을때 대비할려고 하는 건가요?
커뮤니티 사이트 웹서버 운영 용도 입니다.
6. 파워선택
제품 파워선택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런것 쓰면 되나요???
7. 하드 인터페이스
약간 어려운 질문인데요..
구글링 하다 보니까, 하드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서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글을 하나 봤는데요.
처음 듣는 거라서, 궁금하군요.
SATA타입은 IO 발생시 CPU/RAM에 의존하는 반면
SAS나 PCI-E타입의 하드는 IO 발생시 자체 컨트롤러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CPU/RAM의 자원 활용을 극대화 하여, 하드 속도 향상 뿐만 아니라 전체적서버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사실인가여 ?
인텔웹사이트에서 해당 CPU별로 직접확인하시면 차이점을 발견하실수 있을거에요.
2번답변 : 제온은 서버용이나 웍용으로 따로 정해져 있진 않습니다.
통상 엔트리급 서버는 E3계열 CPU를 사용하고 미들급이상은 E5이상을 주로 사용하더군요.
그리고 웍스테이션은 CPU보다는 비디오카드에 특화된 개인용 컴퓨터로 이해하시는게 더 나을겁니다.
3번답변 : 1155보드용 CPU(E3계열)는 언버퍼드 ECC만 지원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4번답변 : 맞습니다. 태생적으로 듀얼구성이 가능한 제품은 정해져 있습니다.
웨스트미어 계열도 W로 시작하는건 싱글전용이고 E 나 X로 시작하는건 듀얼 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부분 역시 인텔웹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5번답변 : 티밍구성 또는 VPN 이나 VMWARE, HYPER-V 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6번답변 : 타워타입도 리던던시가 가능할런진 몰라도 서버의 파워는 리던던시가 가능한 파워로 2중화를 주로 구성합니다. 나머지 답변은 다른분이 해주실겁니다.^^;
워크스테이션은 비디오쪽에 특화된 거였군요... ㅎㅎ
ECC/REG가 가능한 소켓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어디서 볼 수 있을가요??
추가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이 질문에대한 답변은 애매모호 할수밖에없습니다
먼저 커뮤니티 사이트의 수준이 나와있지않으며 , 중요도가 나와있지않습니다..
그 사이트가 어느것에 특화된 사이트인지도 모르구요..
그리고 꽤 대형사이트가아닌 , 호스팅에서 벗어나 자체서버로 돌릴려는 수준에 대해서는
그냥 CPU 는 G620 이나 I3 2100 같은 CPU를 써도 아주출중하게 돌릴수있으며
듀얼CPU 까지 굳이 필요없습니다. 일반PC급이아니래도 샌디-E 버전쓰시면 네할렘/웨스트미어 이하의
제온급 좀 쓸어버리구요..메모리도 아주 출중하게 꼽을수있으니 ...
파워는 그정도파워를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FSP제품은 알아주니까요...
참고적으로 말씀드리면
제 개인블로그를 포함한 지인들 동호회분들 사이트 대신돌려드리고있는
서버가 제 개인적으로 한대있는데 , E5200 / G41 / MEM : 4GB / FSP 400W 파워 / 1TB 히타치하드
이런구성으로 현재 200일넘게 재부팅없이 돌아가고있으며
약 220개의 사이트+블로그+이미지서버+FTP파일서버 의 역활로 돌아가고있고 하루트래픽은 550~600GB에달합니다
그래도 CPU성능의 20%이내이고 메모리는 남아돕니다.
파일은 대충 650GB 정도 되는편입니다
아주 잘~돌아갑니다... 그리 큰 사이트는없지만 동접 50명정도기본유지하는 사이트도 들어와있어서
이래저래 피크치에는 동접 140명가까이 됩니다. 그래도 거의 1년가까이 말짱히 손안대고 잘돌아갑니다..
그리고 추가로 어떤 호스팅회사는 셈프론 프로세서로 거의 5년가까이 실 상용호스팅서비스를 하는곳도
있더군요 (좀충격).. 사이트는 대충 거기도 2-300개 돌아가고있다는데.... 전 지인들과 나누는 수준이지만
거긴 돈받고하는 상용인데.. 셈프론 팔레르모 2800 으로 돌리고있는모습에..깜짝..
서버는 60대되던데 거기서 제일좋은게 울프데일 E7000계열이더군요.. 좀 신형이다싶은게 E5200 ...
제온은 있지도않았습니다. 사실제온은 듀얼CPU 같은이점도 있지만
인텔에서 가격관리를 위해 만든 브랜드이기도 하죠... 비싸게 받아먹을수 있는
램은 삼성 8기가 1333Mhz 보다 더 좋은 서버용 램은 없는듯 하더라구요
하드는 인텔910 나오면 질를려고 폼잡고 있습니다.
가격이 200까지는 갈것으로 보이지만, 써보면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올것 같습니다.
e3 는 듀얼로 못꼽구 메모리도 ecc unbuffered 메모리만 되어요.
e7 제품은 다나와에서 검색해도 안나오네욤...
근데 듀얼로 쓸 수 있는 라인업과
ecc/reg 가능한 cpu들의 라인업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런 정보가 나와있는 표를 봤으면 하는데염 ㅎㅎ
cpu 스펙에서 Max CPU Configuration 이게 나오는데요. e3 시리즈는 1, e5 는 2, e7은 8 개로 나와요.
싱글 프로세서 지원하고 멀티 프로세서 지원으로 구분되서 나오고 그 구분이 저 스펙이라고 알고있네욤
제품 스펙보면 e3 e5 e7 시리즈 전부다... ecc 사용지원으로 되어 있구요. 일반 메모리는... 그렇게 안써봐서 잘 모르겠어요.
서버의 cpu 성능...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윗분들께서 말씀하신경우를 참조하시구요..
동일한 제로보드를 이용하더라도 i3 2120보다 1156 시스템에 DB 캐쉬로 SSD를 이용하니 체감속도가 훨씬 빠르더군요.
중요한건 사이트 용량, 동시접속자수, DB용량 등도 중요한 결정사항이 될거 같습니다.
추신> 독립서버의 길은 멀고도 험합니다. 시도때도 없이 보안취약성을 기반으로 털어대는 통에 미치겠습니다.
근데 주요 IDC 5군데정도 전화해서 보안관련 문의를 해본결과
대부분의 서버는 소프트웨어형 방화벽만 설치되어있고
별도의 보안장비는 없다고 하더라구요.
유료부가서비스로 약 5만원 추가 부담하는 분들만 방화벽존 이라는 유료보안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
실제로 이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고 하네여...
담당자가 말하길, IDC 들어온다고 해서 보안은 알아서 해결해주는게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웹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서버보안설정이 더 중요하다고 그러더라구요...^^
------
그리고 웹서버/디비/파일/이미지 통합되어 있어도 커뮤니티 사이트는 원래 cpu를 별로 안먹나 보군요...
서버 1대가 동접자 1천명까지 커버 가능할까요???
1156은 소켓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모델명인가요?? 소켓만 나오는 군요...
---
참고로 사이트는 asp/mssql 입니다.
속은 좀 쓰리지만.. ^^
주로 Reg ECC 및 ECC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PC용 일반 메모리에 비하여 메모리 용량의 확대 및 메모리상의 에러 정정 기능을 가집니다.
서버들이 몇달 혹은 몇년씩 계속 켜두고 서비스 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서버용 씨피유도 이에 상응되게 되어 있으며 피씨용보다 열에 잘 견딥니다.
그 외 서버용 보드들은 안정된 네트워크와 I/O 인터페이스를 가집니다.
.
다나와에서 서버용 부품 보고 있는데
부품이 잘 안나오는 것 같은데...
서버전용 부품들 판매하는 다른 전용 사이트가 또 있나요??
그리고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ECC/REG가 아니라 unbuffered ECC 램으로 사용해도 괜찮을가여
제온 e3-1230 은 unbuffered ECC 램만 가능해서요
ECC기능만 있는 램과 ECC/REG 램과는 오류차이가 어느정도 날까요?
한달에 한번씩 재부팅해주면 괜찮을까요??
http://ark.intel.com/ko/products/family/59138/intel-xeon-processor-e5-family/server
http://www.intel.com/content/www/kr/ko/processors/xeon/xeon-processor-e7-family/XeonE7Specifications.html
일단 제온E3는 싱글만 가능하고 E5는 듀얼 프로세서(dp), E7은 멀티 프로세서(mp = 4개 이상)용이구요.
위에 표에는 ECC/Reg 여부는 따로 안나와있지만 E5, E7은 전부 ECC/Reg 입니다.(언버퍼드 ECC도 사용 가능함.)
혼용은 아니고, ECC/Reg는 최대 512GB, ECC Un-Buffered는 최대 128GB 등의 보드에 따라 제한 조건이 있습니다.
E3는 ECC/Reg 사용 불가능.
일단 지원 보드나 메모리 등 세부 사항은 요기 한번 참고해보세요.
http://www.supermicro.com.tw/products/motherboard/
E5는 DP Xeon > Socket 2011, UP Xeon > Socket 2011(소켓 1개짜리)
E7은 MP Xeon > Socket 1567 ...입니다.
소중한 조언 주신 분들의 내용을 토대로 제가 자료를 계속 찾아보면서 생각한건데
1155소켓의 메인보드에 왜 REG 램 기능이 없는지 알것 같습니다.
REG는 다수의 램 이용시 슬롯거리차이에 의한 신호 왜곡을 방지하는 것인데,
1155소켓의 cpu들은 싱글로만 쓰는 cpu라서, 고부하 작업에 사용될일은 적으며
따라서 램또한 4개 이상 다수의 램을 구성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1155 소켓 메인보드에
ECC램만 가능하고 ECC/REG 램은 불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IO의 제어를 CPU가 담당하면 당연히 CPU의 리소스를 가져가니 별도의 컨트롤러를 이용해서 IO를 일으키는거죠.
근데 말씀하신 용도면에서는 IO의 차이보단 RAID 구성을 통한 데이터 손실에 더 주안점을 둬서 구성을 하셔야 합니다.
최소 레이드5이상을 지원하는 컨트롤러를 구입하셔서 말입니다.
내장된 레이드 기능보다 별도의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것이
안정성면에서 더 뛰어난가요??
웹서버냐.. 디비서버냐... 웍스테이션이냐 등등 사용되는 역할에 맞는 세부 벤치마크 자료를 참조하세요
혹시 용도에 따른 세부 벤치마크 자료는 어딜 가야 볼 수 있을가요...
가성비가 무엇입니까? 가격대 성능비를 의미한다면
기본 개념과 각 CPU의 특징부터 공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필요한 만큼 구축해서 쓰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