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문제 글이 보이길래...

   조회 6069   추천 0    

저도 입타임 제품을 사용학 있는데 본체는 그닺 뜨겁지도 않았고 다운이 된적도 없었습니다.

뭐 아직은 험하게 쓰지않아서 그런지도 모르겠는데 아답타가 문제라는 글을보고 아답타도 한번 만져봐야겠군요.

 

예전에 78xx 라는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자작을 많이 했는데 이게 임피던스가 높아서 하이엔드 오디오쪽에는 디스크리크리트화한 전원을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입타임에 이런 아날로그 레귤레이터를 이용해주면 거의 호화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시중에 판매하는 아날로그 아답타[시리즈패스 레귤레이터?]는 다이오드 이후에 콘덴서, 이후에 바로 부하로 연결되는 극히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어서 여기에 정전압까지 해주면 어떨까합니다.

아날로그 전원장치는 효율은 낮지만 노이즈에도 강하다고 알고있구요.
구조적으로 간단해서 고장도 적지않을까 생각합니다.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마이코코 2012-05
이거 학교 다닐 때 많이 보던 그림인데... 지금 보니 모가 몬지....
박문형 2012-05
파워가 좋아야 전자/전기 제품이 오래가는 것은 잘 알겠는데
요즘 아답타가 너무 싸져서 아날로그 아답타가 아마도 더 비쌀 것 같습니다.
아날로그 아답터도 싼 거 사면 웅웅거리고 출력에도 험이 있고 머 그렇지요.

전원 아답터는 무조건 전기전자쪽 인증을 받아야 판매가 가능한데 그 인증이 많은 제품이
좋다라고 생각합니다.
장동건2014 2012-05
아 자작을 해서 쓰면 어떨까 하는 의미의 글이었습니다.
자작의 이득을 살려서 트랜스도 큰용량으로 제대로감고 기존 아답타에 없는 정전압 장치도 달면 어떻겠냐는거죠
박문형 2012-05
네 알겠습니다.
부품이 타는 것은 전압이 너무 높거나 전류량을 감당하지 못하거나 방열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오디오에선 스위칭파워에 대한 선입견이 있어서 열이 엄청나도 리니어타입을 고집하지만 공유기는 아날로그 회로라고 할 것이 없어서 편하게 스위칭파워를 써도 됩니다. 그래서 코일을 쓰는 것이고요. 그런데 코일까지 탄 사진들을 보고 있노라면 참 어떻게 저렇게 설계를 했나 싶기도 합니다. 대부분 파워회로는 설계치의 70%까지 사용하는 것을 한계로 보고 설계를 하라고 하는데요. 단가를 줄이기 위해서 5V/1.5A회로에 정말 1.5A까지 허용되는 코일을 사용한게 아닌가 의심이 됩니다.

어쨌든 제대로 된 제품이라면 파워의 여유분이 있어야 합니다. 비단 파워뿐이겠습니까마는 원가절감이라는 부분이 바로 이런 여유분을 없애버리는 것이 대부분이라 요즘 제품들을 보면 좀 한심하기도 합니다. 제품이 고장날까 조심조심 사용해야 한다는...


파워회로는 자작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별도의 DC/DC부를 내장하고 있는 타입이라면 내부회로를 고치치 않는 한 답이 없습니다. 내장회로를 바이패스하고 직접 넣어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만요.
김상일 2012-05
12년쯤전에 많이 본 그림인데 지금은 도대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전공이 전자고 자격증도 있는데..지금은 그냥 학생들보다 못한거 같습니다.
장동건2014 2012-05
알겠습니다.
일단 더사용해보고 문제가 생길것 같으면 생각해봐야겠네요.
이정환 2012-05
SK인터넷 사용하고 있는데요 인터넷이 안되어 A/S를 부르니
아답터가 망가진 경우 이더라구요
용량이 넉넉하지 못한 아답터 문제는 비단 공유기만의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만드는 것보다 안전사 아답터 용량 넉넉한거 구입하는 걸 항상 생각하고 있는 1인 입니다
장동건2014 2012-05
조은거 발견하시면 정보좀 남겨주세용~
아답터, 파워 고장이 잦은 곳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것중 하나가 AC전원이 불안정하다는 것이였습니다.

저렴하게 지은 아파트에서는 냉장고 컴퓨래셔가 돌면 컴퓨터 리부팅되는 경우도 있었구요,

얼마전 오픈한 피씨방에서 카운터피씨가 불규칙적으로 재부팅된다고해서 점검갔더니, 에어콘 구동중 그렇더군요.

에어콘 구동시 193볼트까지 전압강하가 일어나면서 문제 발생되서 전기업자분을 모셔서 배전반 작업을 다시 했었습니다.

파워유니트쪽 불량이 많이 나시는 분들은 이런 경우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김준유 2012-05
대체적으로 배전반에서 분기를 이상하게 해 상분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듯 하네요.

LS나 대기업 제품의 차단기를 사용하면 시간이 지나면 정말 그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큰 건물에서 대기업 제품을 찾는 것은 이유가 있습니다.

만약 관리하지 않으면 그 큰 건물에서 전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난리나겠죠..
화재는 아니더라도 전기 단전되고 하면 아마 그 클레임은 ..... 미칠걸요.. 확인할 수 없는 피해 규모 산정해서 청구서 들이밀면..
장동건2014 2012-0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요즘 대한민국의 전기사정은 웬만한 선진국보다 낫다고 하던데 사각지대가 남아있나보군요.
아마도 요즘에 건축된 건물들에는 그런 문제가 별로 없을것 같습니다.
이렇게 말해도 아주 무더운 여름 같을때는 좀 조심스러울것 같네요.
요새는 에어컨 한대씩은 다들 돌리니..


QnA
제목Page 3688/5730
2014-05   5265521   정은준1
2015-12   1790513   백메가
2020-02   6121   Pionner2020
2015-08   4527   해바라기믿음
2016-09   6082   하루카
2018-12   2573   행복하세
2024-09   1781   gusoong
2015-08   4755   김건우
2020-02   3500   그모도
2024-09   1153   이승익
2023-01   1993   grzlr
2014-04   3949   미니TM
2016-09   4893   눈팅돌이
2012-05   11216   블루영상
2021-06   2809   르나풀스
2023-02   6590   굴렁쇠
2019-01   3832   나너우리
2023-02   2383   한효석
2017-10   3613   케이아스
2024-11   1536   고래1006
2009-03   6581   정진환
2012-06   5072   왕초보슈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