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들의 대화에 끼어들고 싶습니다......

   조회 5481   추천 0    

안녕하세요 가입한지 얼마 안되는 신삥회원입니다.

지금 쪼메난 컴터가게하고 있는데요......

여길 둘러보고 있자니......

당췌 알아들을 수 없는 단어들만........

서버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는 전제하에......

서버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서버 입문용 책이 있다면 추천해 주시면 좋을 것 같구요......

좋은 싸이트가 있다면 추천해 주셨으면 합니다.....

물론 학원을 다니거나 오프라인 강의를 듣거나 할 형편은 안됩니다.....

먹고살자니 업은 포기할 수 없어서.......

모르는 내용 투성이라.....알고 싶어도 뭘 어떻게 검색해야할지 모른다고 하면 적절한 표현이 될런지.......

프로그램언어라고 하면 copy,format,del 정도 밖에 모릅니다.....국민학교 6학년때 컴퓨터학원 한달 다녀본 것이 전부라서.......

윈도우나 일반 컴퓨터라면 어느정도 자신 있는데.....서버는 완전 넘사벽의 느낌만 드네요......

좋은 정보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2-05
여기에 많이 나오는 용어를 구글링해서 어떵 뜻인지 알면 될 듯합니다.
구명서 2012-05
저도 초보긴 하지만..어렸을때 컴퓨터에 알고싶어서 했던 방법이 기억나네요.

초등학생(국민학교였을때지만)때 친구/친척 컴퓨터 가진사람 없었고 그랬을때
정말 가지고 싶어서 컴퓨터 잡지책이랑 광고전단같은거 용어도 모르면서 달달외웠던 기억이 나네요.

서버쪽에 지식이 아예 없으시다면...

2cpu 회원님들이 자주 이야기하는 주제들(스토리지, cpu, 듀얼메인보드, 레이드카드(raid), 서버컴퓨터를
만드는 회사들의 제품들 ...등등) 이런거 좀 눈여겨보시면서 구글링같은거나..그런걸로 조금씩 조금씩 배워가시는게 좋지않을까 싶네요.

가장 간단하게 제품들 스펙같은거 참고하시면서 그런거에 대한 지식도 좀 쌓으시고..해도 좋을테구요.

솔직히 전문적으로 파고들려면 광범위한게 컴퓨터쪽도 만만치 않으니까요.

뭐 아니면 리눅스나 이런거 좀 재미로 배우신다거나, 개인용 홈서버 같은거...취미로 함 만드시면서..이래저래 공부하는 방법등 찾아보면야 많지요.

어떤일이든지 처음이 힘든것이지 조금 익숙해지시면...좀 낫지요.
스카이 2012-05
공부에 왕도는 없지않나요?
궁금한게 나올때마다 박문형님 말씀처럼 구글링 이 기장빠릅니다.
글구 pc 하드웨어를 알면 쉽게 습득가능할겁니다.
전제 조건은 별거없고 자주오시면됩니다.^^
케이스 2012-05
웹서핑이나 구글링도 좋지만 일단 기본적인 컨셉을 먼저 익히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인터넷의 문제가 다양하긴 한데 체계가 없으니 말이죠.

컴퓨터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한 책을 하나 사셔서 일독 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책은 서점 가셔서 아무데나 펼쳐보고 눈에 잘 들어오는 책을 고르시면 될 듯 하구요.

PC와 서버는 기본적으로는 같은 겁니다. 다만 어떤 목적에 맞게 어느 부분을 더 중요시하고 보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 것이죠.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품질관리나 성능 관련해서 자료를 좀 보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위의 구명서님 말씀대로 홈서버 하나 구축해 보시면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이규민 2012-05
음...읽으면서 배우는 중입니다..
저스티스 2012-05
많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홈서버 하나 구축해볼까.....하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역시 부딪혀야 배울 수 있으려나 봅니다.
깊게 파고 들면 데탑 메인보드만 가지고도 평생 공부할 양이 나올테니.......
영어실력이라도 좀 있으면 더 이해하기 쉬울꺼란 생각이 드네요.....중학교 이후론 공부란거 안해봐서.....
혹시나 저와 같은 고민을 가지고 계실분들이 있을것 같고......생겨날 것 같아서.....
정리하자면.....
1. 용어,제품스펙 구글링
2. 홈서버 구축
3. 컴퓨터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한 공부
이정도로 정리 될까요??
근데 홈서버 구축시 소프트웨어는 윈서버를 써보는 것이 나을까요? 그나마 깔짝댈 수 있을만한게 윈도우 서버제품인듯해서요.....
     
방효문 2012-05
쉽기는 윈도서버가 매우 쉽습니다.
하지만 좀더 난이도 있게 공부하시고 싶으시다면 CENTos 같은 대중적인 리눅스 배포 판본을 공부해보시는게
가장 좋을것입니다. 그런 물건들의 경우 심하게는 486에도 돌아가니까요
집에 PC부품들 제법 되시면 펜티엄 3하나 조립해놓고 호작질하시면 됩니다. 뭐가 거창한거가 필요하진 않아요
          
저스티스 2012-05
네 감사합니다. 리눅스란 놈 이름만 많이 들어봤지......
실상 겁나서 접근을 못하겠더라구요.......
나일 먹어서 그런건지.....결국 무한 삽질만이 답인데......
쉽게 손이 가질 않네요......
               
케이스 2012-05
요즘은 예전 처럼 무한삽질 안하셔도 됩니다. 인터넷에 웬만한 답은 다 나와있거나 메일이나 게시판에 문의하면 답을 줄 수 있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일단 오에스는 윈도부터 해서 유닉스쪽(리눅스, FressBSD, Solaris)으로 넓혀가시면 될듯합니다. X86기반 부터 해서 다른 플랫폼으로 확장해도 되겠죠. 업무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넓혀나가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성능과 픔질관련 해서 배워보시면 좋습니다,  위의 것들은 기술인데 성능과 품질관련된 것들은 응용에 관련된 분야라서 현실적인도움을 줄 수도 있고 목표를 잡을 수 있어 좋습니다.
               
한원준 2012-05
알고나면 윈도우 서버만큼 어려운거 없습니다.

리눅스 진입장벽이 되는건 언어장벽, 윈도우 쓰던 습관. 딱 이 2가지입니다.

우분투는 삽질할것도 없습니다. ^^;


QnA
제목Page 3686/5729
2014-05   5264257   정은준1
2015-12   1789201   백메가
2012-01   5948   병맛폰
2015-07   6366   가빠로구나
2020-01   2935   스와리두
2021-04   2775   FreeBSD
2018-11   5491   범범이
2012-02   5904   로그아웃
2016-08   12170   이천풍
2021-04   6509   AMD빌런
2021-04   3855   BMW330E
2021-04   5184   Deltakim
2016-08   7753   김민성
2020-01   2779   sdlfkjwer
2015-07   6018   박남규
2020-01   3456   슬루프
2014-03   5739   회원K
2024-08   1466   뚜뚜김대원
2012-03   7397   김정중
2023-01   3061   땅쟁이
2014-03   5306   가빠로구나
2018-12   6237   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