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깨진 "비드저항??"(SMD저항) 교체 팁 ?

   조회 10514   추천 0    



( 제목의 "비트저항"을 bead "비드저항"으로 정정합니다.)



945칩셋의 메인보드MAINBOARD의 플래쉬롬 (Flash ROM) 근처에, 무엇인가에 찍혀서 충격으로 깨진 한개의 아주 작은 "비드저항" 한개를 DIY 납땜 땜질 솜씨로 교체하려고 합니다.

*********
이 비드저항(SMD저항)은 검은색의 제일 작은 비트저항 같습니다. 하드디스크 기판에 부터있는 똥색(모래색)의 비드저항(SMD저항)형태가 아닙니다. 검은색 유광의 비드저항(SMD저항)입니다.
보통은 작은 글자로 숫자가 적혀 있지만, 이것은 아예 숫자가 적혀있지 않습니다. 너무 작아서 그런지 까만색 표면에 어떠한 숫자도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1) 이런 표면에 아무런 숫자도 표시되지 않은 비드저항(SMD저항)은 단 한종류 뿐입니까?
   즉, 굳이 다른 장비로 찍어보지 않아도, "아 이것은 얼마짜리 비드 단 한종류 뿐이니 바로 그거다!" 이렇게 알 수 있는 것이냐는 질문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정확이 어떤 저항값을 가지는 비드저항(SMD저항)일까요? 혹시 아시는 분 없으신가요?  ( ^_^;;; )


2) 주변에 같은 종류의 비드저항(SMD저항)이 보이는데, 이 주변의 비드저항을 테스터기 같은 장비를 사용해서 반드시 찍어봐야 종류를 정확히 판별해 낼 수 있을까요?


3) 납땜 인두로 재주껏 하면 땜질이 가능은 하겠지요?



4) 가장 근본적인 질문으로 돌아가서, 이것이 "비드 저항"이 맞기는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다른 종류의 부품일까요?  ( ^_^;;; )




첨부한 사진은 스캐너로 스캔한 사진이라 해상도가 나쁘니 양해바랍니다.

(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이 깨져서 교체해야할 부분입니다. )




*********

옆에 땜으로 고정되어 있는 플래쉬롬의 다리부분 3군데도 무엇인가에 찍혀서 서로 쇼트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

달군 납땜기로 살짝 터치하여(지져서) 서로 살~짝 분리할 생각입니다.

=> 이렇게 서로 쇼트되어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분리하는 방법이나 팁도 기왕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 파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 )





------------------------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bid

bead

beads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2-05
사진으로는 판독 불능

혹시 용석님은 회사에서 저런 수리를 주로 하시나요?
     
영원한혁신 2012-05
....................................
....................................
박문형님 관심 고맙습니다.
....................................
....................................
....................................

위에 DIY라고 언급했듯이, 그저 개인적으로 취미정도의 활동입니다. ( 전자쪽/전산쪽/IT쪽과는 전혀 상관없는 업을 하고 있습니다. )

시간을 비교적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사정인지라 두서없이 질문을 올리고 있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만약, 이 작업을 업으로 하고 있다면, 이정도는 기본지식이어야 할텐데, 2CPU의 여러분들에게 조언을 구할 이유가 없겠지요! ^^;;;  )

( 저 소개내용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그저 컴퓨터조립경험이 286/386 시절부터여서 이렇게 틈틈이 취미생활이 되어 버렸습니다. 물론, 컴퓨터는 84년도에 사설학원에서 "8비트 애플 컴퓨터"부터 배우기는 배웠습니다. )


참고로, 위에 파란부분의 쇼트부분은, 안경용 일자드라이버와 종이철할 때사용하는 철핀으로 살살 재주껏 터치해서 뭉개진 미세한 납땜부분을 분리해내서 육안상으로는 해결된 듯 싶습니다.

( 비드저항(SMD저항)을 교체하게 되면, 제대로 부팅되고 플래쉬롬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절차는 물론 거쳐야 겠지요 )

......................................
......................................
......................................
......................................
......................................


*** 비드저항(SMD저항)에 관련한 질문들에 대해서도 많은 조언들을 부탁드립니다. ***

......................................
......................................
......................................
......................................
......................................
어니스트 2012-05
1, 종류는 모르겠습니다. 저항 입니다.
  용량은 대개 숫자가 써져 있습니다.
  값은 테스터 기로 재봐야 합니다.

2, 측증시 별도의 장비가 있는대 가장좋은것은 떼어내고 재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인두기로 가능합니다.

4, 네 저항 입니다. (기판에 보시면 인쇠된부분에 R로시작되면 저항입니다.)
     
영원한혁신 2012-05
이상돈님 조언 고맙습니다.

혹시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1만원대 테스터기"로 찍어본들 저항값을 알 수는 없겠지요? 이런 비드저항(SMD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별도장비가 있나요? 참고로 어떤 것인가요?

혹시 "아나로그 테스터기"로, 다른부분의 같은 종류의 멀쩡한 비드저항(SMD저항)을 잠시 분리해내서 측정하면 "저항값"을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어니스트 2012-05
저가중고급? 테스터기중에 저항측정이 가능한 장비도 있습니다.

치수가 약간 차이가 있으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AKs 2012-05
1. 거의 저항일 꺼라 보여집니다만, 다이오드 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떨어져 나간 저항이 없다면, 메인보드 회사에 질의하지 않는 한 저항값을 알아낼 방법이 없습니다.
  숫자가 쓰여지지 않았다고 해서 같은 저항값을 가지는 물품은 아니고, 크기가 작은 제품은 흔히 아무런 마킹이 없습니다.
2. 1과 마찬가지로.. 다른 저항이 옆에 있다고 해서, 떨어져 나간 저항이 같은 제품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3. 인두기로 녹여서 살짝 긁어주면 됩니다. 어지간하면 그냥 녹이는 것 만으로도 원래대로 됩니다만....
4. 저는 R자가 안보이는데요...
     
영원한혁신 2012-05
이진범님 조언 감사합니다.

다이오드라면 보통 다리 5개 달린 것이 다이오드로 보여지는데, 이 양쪽으로 2개만 납땜되는 비트다이오드라는 것도 있습니까?

납땜되는 부분이 2개뿐이라면 확실히 "비트저항"이 아닐까요?!

..................
..................
문제는 이 비트저항(?)일 지 모르는 부품의 실리콘부분이 깨져있습니다. 교체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불행하게도 그냥 살짝 녹여주는 것만으로는 해결이 안될 것 같습니다.
..................
..................
..................
..................
          
AKs 2012-05
다이오드는 다리가 2개지요...
그런데.. 945보드라면, 그냥 옥션에서 중고 구하셔도 2만원 밑으로 구하실 수 있으실 텐데
굳이 수리하실 것 까지야....
               
영원한혁신 2012-05
"비용"보다는, 그저 "수리해서 고쳐사용하는 쏠쏠한 재미"가 더 좋습니다.

직접 수리해서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는 그 순간은, 재미도 재미지만, 참 '보람'집니다. 덕분에 공부도 되고 경험도 쌓이고. ^^
김재태 2012-05
사진으로 봐서는 1005사이즈의 SMD자재 같은데요.
비드인지 저항인지는 판독이 안되네요.
1608사이즈이고 숫자나 다른 표기가 없으면 비드, 혹은 인덕터일 가능성이 높지만요.

통상 비드나 인덕터는 표면이 무광이고 저항은 유광이긴 하지만 뭐 100%는 아니니..
SMD저항의 경우 용량은 1608사이즈 이상만 기록합니다. 1005이하는 사이즈가 작아서
원래 아무런 표시가 없죠.

자재만 있다면 수리야 간단하지만... 중고 구입이 더 확실할 듯 합니다.
     
영원한혁신 2012-05
김재태님, 조언 고맙습니다.


혹시 1005 사이즈라 하시면, "길이 1mm / 폭 0.5mm"를 뜻하나요?

자(scale)를 대고 발솜씨로 측정해보니 대강 "길이 1mm / 폭 0.5mm" 로 보이고, "유광"입니다.


그렇다면 간단히 1005사이즈의 SMD저항 (비드저항 ?) (비트가 아니라 bead 비드가 올바른 표기법/명기법으로 생각되네요. 하나 또 배웠습니다.)

< 말씀하신 "SMD저항"을, "비드저항"이라고 불러도 오류가 아닌지 올바른지 모르겠군요 ?! ^^ >


다른 메인보드나 기판에서 숫자표시가 없는 유광의 1005사이즈의 비드저항(SMD저항)을 추출해서 여기에 교체/이식하면 잘 될까요?

( 고쳐서 사용하는, 직접 수리해서 고쳐보는 재미가 상당히 쏠쏠합니다. 보람도 있습니다. )

추가 조언 부탁드립니다.                                                                                              bid / bead / beads
김재태 2012-05
네 맞습니다.
통상적인 SMD용 칩 자재의 크기 규격이며 mm입니다.
(탄탈은 다른 사이즈를 사용합니다.
 J-1608, P-2012, A-3216, B-3528, C-6032, D-7343, D2-5846)

0402, 0603, 1005, 1608, 2012, 3216으로 보통 분류 됩니다.
일반적인 PCB들에서는 1005정도까지 사용되는것이 보통이고 광통신모듈이나 휴대폰등 초소형기기등에는 0603이나
0402도 사용 됩니다.

비드(BEAD)가 맞는 표현이며 저항과는 약간 다릅니다.(통상 비드저항이라는 표현은 사용합니다.)
역활은 쉽게 생각하면 '필터'의 개념 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 와 별도로 인덕터(Inductor)가 있는데 이것은 '코일'이라고 생각 하시면 쉽겠습니다.

하나의 제품에도 수십가지에서 많게는 수백가지의 저항이나 인덕터, 비드가 사용됩니다.
이 자재들은 육안으로는 분류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모양만 같다고 하여 같은 자재가 아니기에 다른 제품에서의 추출 및 사용은 어렵습니다.

가능한 경우는 동일한 보드의 같은 위치의 자재를 추출해서 사용 하시는 방법뿐 입니다.


- 다시 보니 위치상 비드나 인덕터가 있을 자리는 아니고 저항이나 콘덴서 자리 같은데 확실치는 않네요.)
     
영원한혁신 2012-05
아이고~1 김재태님 고맙습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위에 0.8mm는 0.5mm로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비드는 bid가 아니고 bead 맞습니다. 우리가 보통 접하는 여자분들이 목걸이 같은 것들을 만드는 "비드공예"(비즈공예) 할때 그 bead(혹은 beads)지요! ^^


!고맙습니다!  - 다음에도 훌륭한 조언/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어니스트 2012-05
ITE회사의 IO에는 위사진처럼 된부분은 저항이 들어 갑니다.

다른보드 확인하시면 됩니다.

보드의 디자인이 거의 비슷해서 다른보드의 제품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 단 저IO의 경우 죽는 경우가 엄청 많이 있습니다. 참고하새요. ***


QnA
제목Page 3683/5727
2015-12   1777384   백메가
2014-05   5252364   정은준1
2011-10   10112   머라카는데
2011-11   5757   황재필
2019-12   11355   양창권
2015-06   4502   siteop
2016-07   5930   차넷컴퓨터
2019-12   4515   양창권
2011-12   9589   에그
2018-10   6449   crogym
2011-12   6276   복일성
2015-06   10908   심우철
2018-10   3772   Psychophysi…
2015-06   5294   김준유
2018-10   4064   chobo
2011-12   6013   경박한시민
2014-03   5892   배고프고가…
2018-10   7790   편한세상
2021-03   5669   아조
2022-11   2013   강한구
2014-03   4490   회원K
2024-07   2048   Syzy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