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567 |
25 |
2015-12
178956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569 |
0 |
2014-05
5264569
1 정은준1
|
41114 |
네이버 카페 사진 한꺼번에 다운로드 가능한가요? (4) |
영산회상 |
02-06 |
706 |
0 |
02-06
706
1 영산회상
|
41113 |
Usb 내구성을 비교한다면 (4) |
Mode |
2023-03 |
1698 |
0 |
2023-03
1698
1 Mode
|
41112 |
책 구매 문의 |
여주이상돈 |
2012-10 |
5332 |
0 |
2012-10
5332
1 여주이상돈
|
41111 |
젠서버로 3d게임 하기 버겁나요? (21) |
슬러그 |
2016-10 |
8571 |
0 |
2016-10
8571
1 슬러그
|
41110 |
모니터링 모니터 문의합니다. (1) |
초보IT |
2015-11 |
3827 |
0 |
2015-11
3827
1 초보IT
|
41109 |
전면에 아래부터 위까지 전부 5.25 베이인 케이스가 있을까요? (5) |
정희섭 |
2012-10 |
5722 |
0 |
2012-10
5722
1 정희섭
|
41108 |
HP-UX 11 탑재된 HP서버에서 DISK I/O의 병목체크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6) |
김건우 |
2014-07 |
12569 |
0 |
2014-07
12569
1 김건우
|
41107 |
옵테론 소켓 F의 규격(?) (4) |
FreeBSD |
2009-09 |
5964 |
0 |
2009-09
5964
1 FreeBSD
|
41106 |
ILO (HP) , IMM (IBM) 포트를 하트비트용으로 사용 가능한가요? (2) |
우앙뿌앙 |
2012-11 |
6706 |
0 |
2012-11
6706
1 우앙뿌앙
|
41105 |
서버실 (스토리지 룸)이 뚝뚝뚝 꺼지는 그런 영화장면이 있을까요?? (12) |
블루영상 |
2014-07 |
4850 |
0 |
2014-07
4850
1 블루영상
|
41104 |
KT 결합상품에 대한 질문입니다. (5) |
미담 |
2017-12 |
4263 |
0 |
2017-12
4263
1 미담
|
41103 |
랜케이블 리모트 없이 단선테스터 하는 장비가 있나요? (10) |
홀릭0o0 |
2021-09 |
2599 |
0 |
2021-09
2599
1 홀릭0o0
|
41102 |
국내에 들어와 있는 서버 제조사는 얼마나 되나요?? (9) |
박문형 |
03-13 |
774 |
0 |
03-13
774
1 박문형
|
41101 |
3.5 SAS vs. 2.5 SAS (2) |
Larry |
2012-11 |
6098 |
0 |
2012-11
6098
1 Larry
|
41100 |
배대재 배송대행 수수료 얼마나 내시는지요? (9) |
편한세상 |
2016-11 |
5549 |
0 |
2016-11
5549
1 편한세상
|
41099 |
HP microserver Gen8 하드 추가.. (3) |
iaress |
2017-12 |
5034 |
0 |
2017-12
5034
1 iaress
|
41098 |
노트북 내장 CD 연결되는 IDE 커넥터 핀맵? (5) |
유호준 |
2012-11 |
7891 |
0 |
2012-11
7891
1 유호준
|
41097 |
중고 SSD 대량 취급하시는분 계시거나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1) |
cho609495 |
2023-04 |
1876 |
0 |
2023-04
1876
1 cho609495
|
41096 |
sas 2008 it펌 관련 질문드립니다 (5) |
7755 |
2023-04 |
3233 |
0 |
2023-04
3233
1 7755
|
41095 |
광컨버터(싱글?멀티모드?) 구분 질문드립니다. (7) |
암꺼나 |
2016-11 |
19574 |
0 |
2016-11
19574
1 암꺼나
|
2. 순수 Sn(주석) 융점 : 232도
3. Pb-61.9 wt%Sn 공정점 : 183도
금속에 열을 가해 용해되었을때 보통 잘 퍼지라고 공정조성을 맞추는 걸로 압니다만 정확한 융점은 제조된 합금조성(wt%)을 봐야 알 수 있습니다.
정찬회님! 아주 전문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니면 학생들 실습용으로 사용되는,
메인보드 같은 기판에 사용되는, 아주 일반적인 "땜납"의 "융점"(녹는점)을 혹시 아시는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정찬회님이 말씀하신 2, 3번 납들은 저온납이라고 해서 약간 고가에 팔리는 것이라서요. ^^;
역시 조성비율에 따라 녹는 온도는 다르구요.. 요즘 RoHS 마크 달고 나온것들은 무연납이니 높은 온도에서 녹습니다.
근데, 실제 해 보면... 납땜된 부품의 온도가 130도 정도 올라가면... 납은 이미 흐물거리고 있더라능..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의 납들은
상당히 고온에서 녹더군요
아마도 오래되서 그런지 몰라도 말입니다.
양창권님이 말씀하신 온도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정찬회님! 양창권님! 이진범님! 최주희님! 박준용님!
답변 고맙습니다!
...
"Reserved for further u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