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땜납"이 녹기시작하는 온도?

   조회 19722   추천 0    




혹시 납땜할 때 사용하는 "땜납"이 녹기 시작하는 온도를 아시는 분 계신가요?


100도? 120도? 150도? 아니면 200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비오 2012-06
1. 순수 Pb(납) 융점 : 327도
2. 순수 Sn(주석) 융점 : 232도
3. Pb-61.9 wt%Sn 공정점 : 183도

금속에 열을 가해 용해되었을때 보통 잘 퍼지라고 공정조성을 맞추는 걸로 압니다만 정확한 융점은 제조된 합금조성(wt%)을 봐야 알 수 있습니다.
     
영원한혁신 2012-06
...

정찬회님! 아주 전문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혹시,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니면 학생들 실습용으로 사용되는,

메인보드 같은 기판에 사용되는, 아주 일반적인 "땜납"의 "융점"(녹는점)을 혹시 아시는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양창권 2012-06
보통 땜납들은 300~340도 사이에 녹을 겁니다.
정찬회님이 말씀하신 2, 3번 납들은 저온납이라고 해서 약간 고가에 팔리는 것이라서요. ^^;
AKs 2012-06
일반적인 땜납은 180도 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녹고, 무연납은 210~290도 사이에 녹습니다.
역시 조성비율에 따라 녹는 온도는 다르구요.. 요즘 RoHS 마크 달고 나온것들은 무연납이니 높은 온도에서 녹습니다.
근데, 실제 해 보면... 납땜된 부품의 온도가 130도 정도 올라가면... 납은 이미 흐물거리고 있더라능..
투시피유 2012-06
제가 디지털 인두기로 해봤는데요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의 납들은
상당히 고온에서 녹더군요
아마도 오래되서 그런지 몰라도 말입니다.

양창권님이 말씀하신 온도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박준용 2012-06
무연납의 경우 녹는 온도가 좀 높기도 하지만, 기판에 무연납으로 납땜되어 있는 부품 다리(핀)의 납땜부분을 인두로 가열하는 경우 부품 다리가 방열판 기능을 합니다(방열판까지는 아니더라도 결과적으로 부품 다리로 인해 가열해야 하는 면적이 넓어지는 셈이 됩니다). 그래서 무연납이 더 잘 안녹는 것이구요(이건 일반 납도 마찬가지입니다). 납 자체의 녹는 점이라면 조성비 등에 따라 달라지겠죠.
영원한혁신 2012-06
...

정찬회님! 양창권님! 이진범님! 최주희님! 박준용님!

답변 고맙습니다!

...
鮮于鈞 2012-06
사용중인 100℃ 이상 측정가능한 측정기가 궁금합니다.
     
영원한혁신 2012-06
...

"Reserved for further use."

...


QnA
제목Page 3674/5729
2015-12   1789567   백메가
2014-05   5264569   정은준1
02-06   706   영산회상
2023-03   1698   Mode
2012-10   5332   여주이상돈
2016-10   8571   슬러그
2015-11   3827   초보IT
2012-10   5722   정희섭
2014-07   12569   김건우
2009-09   5964   FreeBSD
2012-11   6706   우앙뿌앙
2014-07   4850   블루영상
2017-12   4263   미담
2021-09   2599   홀릭0o0
03-13   774   박문형
2012-11   6098   Larry
2016-11   5549   편한세상
2017-12   5034   iaress
2012-11   7891   유호준
2023-04   1876   cho609495
2023-04   3233   7755
2016-11   19574   암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