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인터넷선(CAT.5)을땜질로연장할경우노이즈발생이없이깨끗할까요?

   조회 17421   추천 0    



[질문] 유선100메가인터넷선/랜선(CAT.5)을 땜질로 연장할 경우, 노이즈발생이 없이 깨끗할까요?




외부단자에서 실내로 인입해들어오는 유선 100M인터넷인입선(CAT.5/카테고리.5)을 연장하기 위해서,
"땜질"로 연결할 경우, 노이즈발생이 늘거나 속도에 문제가 안생기고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랜선(LAN/CAT.5)도 마찬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왜 이런 질문을 하느냐 하면,,,,,,,,,,,,,,,,,,,,,,,,,,,,,,

예전에 젊은 인터넷기사에게 궁금해서 물어봤더니,

기사(유선인터넷 설치기사) 왈(曰), "현장에서는 납땜으로 연장을 할 수는 없으니,
그냥 선의 외피를 까고 구리선끼리 꼬아서 연결한 후, 절연테이프로만 발라주고 연장하는데,
그래도 아무 문제가 없다"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혹시 구리선끼리 꼬기만하면 장력에 의해 떨어지거나 분리되거나 끊어질수도 있으니,
( 물론 큰 장력이 그 인입선에 발생할 일은 잘 없겠지만은... ^^ )

납땜으로 "땜질"을 해주면 어떨까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던 차에,,,




젊은 현장 기사의 말만 믿을 수는 없어서, 경험많은 2CPU의 여러분들에게도 조언을 구해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2-06
네트웍 하는 사람들 쪽에서는 금기시 할 이야기입니다.

랜서늘 재대로 찍었느냐, 랜선 품질이 어떻느냐에 따라서 속도가 상당히 많이 좌우가 되는데
그것을 전기식 공사인 땜질로 생각하시면 안되지요.
땜질로 끝난다면 왜 시장에 랜 커플러가 팔리는지 의문입니다.
박문형 2012-06
기가비트로 연결된 서버에서 같은 카테고리 6 케이블이라도 중국산, LS전선, AMP,루슨트 등등
케이블마다 데이터를 풀로 날려보면 차이가 많이 납니다.
보통 이름있는 제품(AMP등)은 중국산보다 1.5-2배 빠르게 전송된다고 봐도 됩니다.

문제는 가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LS선전 오리지날을 주문제작해 쓰는 것이 재일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김선규 2012-06
제대로 된 커플러를 쓰지않고 꼬아만 놓고 테이프 붙일 바에는 차라리 납땜해놓는게 낫습니다
대부분 커플러도 사실 내부에 납땜이 되어 있죠
     
김준유 2012-06
KT에서 꼬아 놓고 문제 없다고 해놓고 ... 엿 제대로 먹은 1인...
거래처에서 자꾸 안된다고 해서 처음 한번 가 보았더만... 헐... 한군데도 아닌 두군데를 손으로 꼬아서 연결해 두었더군요...

제멋대로 데이터 중간에 날라가고... 카드 매출도 안 맞고...난리였습니다.

그김에 갔다가.. 완전히 카운터 하부 선정리하는데 4시간 반 걸렸습니다.
김제연 2012-06
그냥 연결해주는 부품 사용해서 연결 하면 되지 않나요. 그리고 100M에서는 문제가 안될수 있지만 기가비트로 가게되면 문제가 커질꺼라고 봅니다.
이지영 2012-06
정신건강상 커플러를 추천드립니다.
노이즈는 당연히 생기구요.
UTP / FTP / STP가 왜 따로 있는지 생각해보시면 중간에 뭐가 끼면 노이즈가 생기는 문제에 대해 답이 되실듯합니다.
안형곤 2012-06
모든 와이어링 하네스에서 커넥터가 하나 추가될때마다 접촉저항이 발생됩니다.
구리를 이용할 경우 산화가 진행될 수록 더욱 노이즈는 증대되겟지요.

이를 위해서 조인트 커넥터에 코팅을 하거나 접촉저항을 줄일수 있는 금재료를 일부 사용하기도 합니다.

커플러 역시 커넥터의 일종으로 원선을 끌고오는것만 못한것은 분명합니다.

사용 용도에 따라 구별해서 쓰시면 될거 같습니다.

예를 들자면 전화선을 RJ-45로 이용하는 경우는 커플러로 별 문제가 없을지 모르겠지만, 고속 통신 등을 위한 용도라면.... 가급적 연결점을 만들지 않는것이 옳아보입니다.
     
사이버현 2012-06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라는 단어가 반갑네요..
제가 자동차 배선 만드는 회사에 있었습니다. ^^;;
          
안형곤 2012-06
어떤 회사에 계셨나요?
저는 지금도 자동차용 취미로... 익스텐션 하네스.. 만들고 있습니다. ^^

태성? 경신? 유라? 이정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AKs 2012-06
1. 노이즈는 당연히 늘어납니다. 속도도 떨어지지요.
2. 커플러를 쓰는 이유는 납땜하는것 선을 적게 풀어도 되기 때문이며, 작업시간도 적게 걸립니다.
3. 규격에서는 꼬인 부분을 2인치 이상 풀지 말라고 합니다. 이 말을 거꾸로 하면 2인치 까지는 풀어도 큰 차이가 없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달랑 2인치 가지고는 납땜으로 연결하기가 참 힘듭니다.
4. 제대로 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커플러 보다는 납땜이 더 품질이 좋습니다.(최소한 접촉저항으로 인한 트러블은 없지요) 문제는 제대로 하기가 힘들다는 거지요... 가닥가닥 살짝 풀어서, 납땜하고, 개별로 수축튜브 씌우고 다시 꼬아주고, 전체 다시 꼬아서 수축튜브 씌워 주면 됩니다. 솔찮히 귀찮습니다.
5. 현장에서 납땜을 못하는 이유는.. 랜 선은 피복이 약해서 가스토치로 작업이 힘듭니다. 조금만 실수하면 피복이 후루룩 타 버립니다.. 적당한 온도의 전기인두로 조져야 되는데...... 옥외에서 220V 끌어오기가 힘들죠..

이리저리 신경쓰지 말고 커플러 + 고무테잎 + 수축튜브 쓰세요..
LovelyJubbly 2012-06
앞서 많은 분들이 말씀하셨지만 노이즈는 당연히 늘어나고 속도도 당연히 떨어집니다.
하지만 일반가정이고 데이터를 계속 주고 받는 경우가 아니면 크게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계속 주고 받는 경우라면 조그만 노이즈 때문에 생기는 데이터 드랍때문에 재전송요구가
계속 늘어나서 시간이 지날수록 느려집니다.

저는 커플러 정말 싫어하는 사람 중 한명이고 가능하면 키스톤 잭도 사용하지 않는편인데 그나마 키스톤 잭은
메이커들이 꾸준히 많이 만들어 주는 편이라 그나마 품질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실내까지 선이 들어 올수 있다면 벽에 키스톤 설치 하는 것도 한방법이라 생각하고 AMP 많이 선호들 하시던데
개인적으로 써 본것 중에서 파나소닉 키스톤잭이 품질이 가장 좋았습니다.

하지만 항시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는 직접연결이 가장좋다고 생각합니다.
鮮于鈞 2012-06
직접 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D. I. Y.
     
영원한혁신 2012-06
...

"Reserved for further use."

...
이슬사랑75 2012-06
저도 납땜 쪽에 손을 들어 주고 싶읍니다.
저는 배선을 연결할때 커넥터나 터머널 연결하는 곳을 최대한 줄여서 작업합니다.
전기나 전자에서 접촉저항은 전부 손실입니다.
이손실을 줄이는 방법중 가장 좋은 방법은 중간에 연결하지 않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연결부의 접촉저항이 가장 적은 쪽으로 하는 것입니다.
즉 용접이나 납땜등이 있구요..
용접은 특수 장비가 있어야 하니 현실적으로 어렵고, 그나마 납땜이 가장 현실적이고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접촉저항이 증가하면 대전류에서는 치명적이며, 통신에서는 품질에 치명타입니다.
지금도 접촉저항을 줄이려고 고급커넥터에 금도금을 하는 것을 보면 이해 하실 겁니다.
(금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부식) 접촉저항은 전기 전도율이 좋은 은보다도 적읍니다.)
밧데리나 커넥터 제조쪽에서는 접촉저항을 줄이는게 기술이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꼬메 2012-06
커플러... 더 좋은건 스위치라도...
굴다리교 2012-06
현장 실무자(?) 입니다.

절대 금기시 되는 사항입니다.
그리고 납땜을 한다고 해도 그닥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둘다 "당장은" 문제가 없지만 경험상 나중에는 꼭 문제 생깁니다.
그나마 커플러가 낫습니다. 제일 좋은건 중간에 연장구간 자체가 없는게 가장 좋습니다.
     
영원한혁신 2012-06
...

박문형님! 김선규님! 김준유님! 김제연님!
이지영님! 안형곤님! 이현석님! 이진범님!
이승훈님! 오태화님! 조성현님! 송화식님! ...

조언 고맙습니다...

...


QnA
제목Page 3667/5723
2015-12   1760030   백메가
2014-05   5233616   정은준1
2012-06   87152   영원한혁신
2012-06   5400   병맛폰
2012-06   5462   승훈
2012-06   8904   마이코코
2012-06   5339   두리안
2012-06   4748   유호준
2012-06   6975   건약
2012-06   8675   봉삼이2
2012-06   5695   방o효o문
2012-06   6406   가빠로구나
2012-06   6999   전재현
2012-06   18095   영원한혁신
2012-06   5691   왕용필
2012-06   6344   방o효o문
2012-06   4798   김영기
2012-06   8279   버지니아
2012-06   7593   이진수
2012-06   5884   신성공
2012-06   4636   박문형
2012-06   6254   가빠로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