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3919 |
25 |
2015-12
176391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8337 |
0 |
2014-05
5238337
1 정은준1
|
41374 |
Imdisk 사용 하시는분 있나요 ?? (7) |
싱어송라이터 |
2012-07 |
12228 |
0 |
2012-07
12228
1 싱어송라이터
|
41373 |
바이패스 모니터의 구분은 어떻게 하나요? 외형상으로는 구분이 안되나요? (2) |
김건우 |
2012-07 |
6877 |
0 |
2012-07
6877
1 김건우
|
41372 |
서버 2008R2에서 응용프로그램 권한 설정이 가능한가요 |
오홍식 |
2012-07 |
5166 |
0 |
2012-07
5166
1 오홍식
|
41371 |
아 자꾸 이상한 홈페이지가 짜꾸뜨네요.이거 어떻게 해야해결할수있나요 (3) |
최시영 |
2012-07 |
6287 |
0 |
2012-07
6287
1 최시영
|
41370 |
ARC 1220 중고로 구매하려구 하는데 (2) |
수현삼촌 |
2012-07 |
5406 |
0 |
2012-07
5406
1 수현삼촌
|
41369 |
컴퓨터가 안켜져요.. ㅠㅜ (5) |
주황별 |
2012-07 |
6356 |
0 |
2012-07
6356
1 주황별
|
41368 |
500g 이하의 노트북(의 형태를 가진 무언가) (1) |
서울I김동수 |
2012-07 |
5370 |
0 |
2012-07
5370
1 서울I김동수
|
41367 |
서버 보드에 꽂을 부품들 수배중입니다. (1) |
마이코코 |
2012-07 |
6013 |
0 |
2012-07
6013
1 마이코코
|
41366 |
mac mini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4) |
서현석 |
2012-07 |
6150 |
0 |
2012-07
6150
1 서현석
|
41365 |
BR10 SAS 카드 브라켓 문의. (3) |
전요셉 |
2012-07 |
5564 |
0 |
2012-07
5564
1 전요셉
|
41364 |
인텔 DH77EB 메인보드 + ARECA 1220 삽질 계속.(해결 완료) (3) |
엠브리오 |
2012-07 |
6402 |
0 |
2012-07
6402
1 엠브리오
|
41363 |
이상한 사이트 뜨는데요. 특수문자때문에 블락도 안되네요... |
김건우 |
2012-07 |
5849 |
0 |
2012-07
5849
1 김건우
|
41362 |
방금..컴 하다..발견한 버그인지 모르지만(램드라이브 관련) (3) |
싱어송라이터 |
2012-07 |
5621 |
0 |
2012-07
5621
1 싱어송라이터
|
41361 |
스토리지.. (4) |
우야노 |
2012-07 |
5688 |
0 |
2012-07
5688
1 우야노
|
41360 |
iscsi에서 읽기 속도가 안나오면 무엇을 확인해봐야 할까요? (9) |
설영수 |
2012-07 |
9340 |
0 |
2012-07
9340
1 설영수
|
41359 |
램 쿨러 알아 보고 있는데..요제품 어떨까요 ?? (8) |
싱어송라이터 |
2012-07 |
6488 |
0 |
2012-07
6488
1 싱어송라이터
|
41358 |
3D화면 어떤가요? 그저 그런가요? (3) |
김건우 |
2012-07 |
5429 |
0 |
2012-07
5429
1 김건우
|
41357 |
여러분들은 케이스 쿨러 사용시..바람 방향을 어떡게 놓고 쓰세요.. (5) |
싱어송라이터 |
2012-07 |
12152 |
0 |
2012-07
12152
1 싱어송라이터
|
41356 |
인텔 DH77EB 메인보드 + ARECA 1220 조합, 인식이 안되네요. (5) |
엠브리오 |
2012-07 |
6181 |
0 |
2012-07
6181
1 엠브리오
|
41355 |
레노버 노트북에 하드 추가 장착하기 (7) |
데이비드 |
2012-07 |
16064 |
0 |
2012-07
16064
1 데이비드
|
몇일 전에 도심의 가로수근처 바닥에서 아래 같은 시커먼 "사슴벌레"를 봤었는데 말입니다.
( 도심에서 본 것도 신기했지만, 실물은 십몇년만에(아니 거의 한 이십년만에?) 보는 것이라 정말 신기했었지요! )
물론, 수컷인지 암컷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불쌍해서 큰 나무가 있는 근처의 작은숲으로 곧바로 얼른 가져가서 나무에 붙여주었더니, 높은 곳까지 천천히 잘도 붙어서 기어올라가더군요.
확실히 어떤 종인지는 모릅니다.
http://www.k-insect.com/board/board/list.asp?tb=inno_27
김대원님, 혹시 "장수풍뎅이"도 아래 사이트 같은데서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요?!
http://www.k-insect.com/index1.asp
"장수풍뎅이"하고 "사슴벌레"는 다른 것이겠지요?
그런데, 장수풍뎅이 같은 곤충을 사육(?)하려면, 무엇을 먹여야 사육(?)할 수 있나요?
=> 과육?, 과일물?, 과일의 과즙?, 과일껍질?,
대형마트에서 파는 일반적인 백설탕에 물을 타서 만든 "설탕물"?,
나무의 송진?,송진액?(송진 젤리)?, 나무의 수액? ( 급 궁금해집니다! )
그리고, 장수풍뎅이나 사슴벌레도, 일반적인 흔한 작은 풍뎅이나 큰 바퀴벌레처럼 날라다닐 수도 있나요 ?????????
...
곤충도, 곤충계특유의 실로 다양한 병원성 세균(박테리아)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병"에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람에게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곤충계특정의 각종 병원성세균(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가,
곤충에게는 치명적인 질병(disease)을 일으키는 것이죠.
사육(?)시에 관리에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곤충사육(?)도 의외로 까다롭다고 알고 있어요.
...
이제 1년이 넘었군요...
장수풍뎅이는 한해 살이 벌레로 겨울동안 애벌레와 번데기를 거쳐 초여름에 성충으로 우화 후 짝짓기를 하고
곧 죽습니다..
특히 숫컷이 빨리 죽고, 암컷은 알을 낳은 후 가을이 오기전에 죽더군요...
하지만, 넓적 사슴벌레는 2년 정도 사는데, 겨울에는 낙엽이나 나무 구멍 속에서 암것도 먹지 않고 겨울잠을
자더군요...
수명이 다해서 죽은 것이니 넘 아쉬워 하지 마시길...
필요하시면 숫컷 한마리 드릴 수 있습니다.
3령 4마리 분양 받아 키웠는데
1마리 암컷에 3마리 숫컷이 태어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