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e directory 문의 드립니다

박성만   
   조회 4801   추천 0    

 windows 서버에 들어가는 active directory 있잖아요

 

이게 한 번 써보니 너무 맘에 들어서요

 

DFS 이용해서 여러 컴의 디렉토리들을 묶어서 관리할 수도 있고

 

각각의 폴더들을 실시간 백업할 수도 있고 해서 정말 좋구나 하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파일서버를 nexenta를 쓰는 경우하고

 

windows 자체 iSCSI target 쓰는 경우하고 성능 차이가 많이 나는지요

 

아무래도 nexenta 쓰게 되면 저런 DFS 등의 advantage를 경험하기 힘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아님 windows 2008 R2가 아니더라도 세팅상에서 다 사용할 수 있는 건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영권 2012-08
DCPROMO...

AD에 대해선 아는게 이게 전부라, 도움을 못드리네요.

다만 MS가 정의하는 AD의 기준에서 말씀드리면

제가 이해한 바로는

MS가 인증하는 디렉토리 서비스 입니다.

가령, MS에서 제공하는 클러스터링 서비스 혹은 익스체인지 등을 돌리려면

당연이 AD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그렇죠, 서버단 이상의 MS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선 AD는 필수적 요소이지

큰 장점을 가진 장치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AD덕분에 장애발생도 종종 있긴 하구요

헌데 요새 서드파티들 어플리케이션을 보면

예를들어 더블테이크라던가 WM같은 경우는

AD가 없이도 클러스터링이나 HA등을 구성할수 있습니다.

즉, AD의 번거로움 없이도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돌리수 있다는데 장점이 있다고....

생각 됩니다.

AD 정말 좋은기능임에도 불구하고 불편한점이 꽤 많은 장치 입니다.

써놓고 보니 두서없네요.
AKs 2012-08
AD.... 아주 좋습니다.
근데, 트리구조로 층층이 이루어진 집단에서, 최소한 사용자가 몇백단위는 되어야 제대로 맛을 볼 수 있습니다. 달랑 서버 하나에 사용자 여러명이라면 절대 비추합니다.
특히 DFS는 아주 좋은 기능이라 저도 종종 사용했지만, 무식한 사용자 한명 만나면 데이터를 바로 안드로메다에 보낼 수 있습니다.


QnA
제목Page 3654/5729
2014-05   5264681   정은준1
2015-12   1789701   백메가
2015-06   8462   조병철
2022-11   1906   스쿱
2022-11   4206   다롱이
2021-03   5333   무쏘뿔처럼
2014-02   7070   윈도우10
2011-11   7244   안형곤
2024-06   2420   항공모함
2016-07   4637   제스퍼즈
2018-10   5473   앙끄
2021-03   4413   야옹이형
2014-03   3793   송상병
2022-11   2292   제로원소프트
2016-08   4563   문상진
2017-07   5176   김건우
2020-01   2795   행복찾기
2021-04   3217   hydetky
2015-07   3305   서울l승용
2020-01   3747   이지포토
2014-03   3782   inquisitive
2015-07   4412   COMB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