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6295 |
25 |
2015-12
176629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786 |
0 |
2014-05
5240786
1 정은준1
|
35165 |
마우스 로지텍 g3 를 대체할 만한 제품이 있을까요 (3) |
가빠로구나 |
2015-01 |
6539 |
0 |
2015-01
6539
1 가빠로구나
|
35164 |
ECC 램 호환과 업그레이드 질문 드립니다 도와주세요 (12) |
김형모 |
2012-12 |
6539 |
0 |
2012-12
6539
1 김형모
|
35163 |
메인보드/씨퓨 조합 문의 (4) |
필드테스터 |
2014-09 |
6539 |
0 |
2014-09
6539
1 필드테스터
|
35162 |
Ups가 원래 컴퓨터 5분밖에 못버티는건가요? (10) |
케리스 |
2016-10 |
6539 |
0 |
2016-10
6539
1 케리스
|
35161 |
2T x 2 + 3T x 4 지원하는 단일 컨트롤러... (4) |
우앙뿌앙 |
2011-06 |
6539 |
0 |
2011-06
6539
1 우앙뿌앙
|
35160 |
Creative SB X-Fi Xtreme Music 사운드카드가 pci-x슬롯에 작동될까요? (1) |
한인상 |
2007-11 |
6539 |
18 |
2007-11
6539
1 한인상
|
35159 |
레이드0으로 묶인 SAS하드를 SSD에 마이그레이션(?) 할순 없는지요? (4) |
박중석 |
2017-09 |
6539 |
0 |
2017-09
6539
1 박중석
|
35158 |
알리발 dsd 재생 가능한 dac과 24/192 입력 가능한 xmos usb 모듈 (6) |
쌍cpu |
2017-04 |
6539 |
0 |
2017-04
6539
1 쌍cpu
|
35157 |
델 T7910에 삼성램 DDR4 16GB PC4-17000 (2133MHz/REG ECC) 장착시 부팅불가 문제 (8) |
알파고 |
2018-06 |
6539 |
0 |
2018-06
6539
1 알파고
|
35156 |
슈마 sas 백플레인 가격? (5) |
윤영돈 |
2011-10 |
6540 |
0 |
2011-10
6540
1 윤영돈
|
35155 |
듀얼 관련 질문은 아닙니다만 .. |
홍동권 |
2005-03 |
6540 |
20 |
2005-03
6540
1 홍동권
|
35154 |
인터넷 공유기 사용중에 궁금한점 (5) |
정은준 |
2005-03 |
6540 |
19 |
2005-03
6540
1 정은준
|
35153 |
듀얼 머쉰 관련 질문 입니다. (3) |
이상석 |
2005-03 |
6540 |
6 |
2005-03
6540
1 이상석
|
35152 |
[질문]SCSI 하드가 잡히지 않을때, 어떻게 해야할까요?-수정 (8) |
류기중 |
2005-05 |
6540 |
3 |
2005-05
6540
1 류기중
|
35151 |
Intel C200의 정체를 알고 싶습니다. (3) |
승훈 |
2012-03 |
6540 |
0 |
2012-03
6540
1 승훈
|
35150 |
실수로 데이터를 잃었는데 Final Data 로 복구할 때 (1) |
이윤성 |
2006-02 |
6540 |
13 |
2006-02
6540
1 이윤성
|
35149 |
안녕하세요? 듀얼구성시 문제가.... (1) |
김창락 |
2005-02 |
6540 |
15 |
2005-02
6540
1 김창락
|
35148 |
AMD보드에서 하드의 AHCI는 어떻게 확인합니까? (3) |
병맛폰 |
2012-04 |
6540 |
0 |
2012-04
6540
1 병맛폰
|
35147 |
질문요.L1캐쉬하고 L2캐쉬가 쓰임이 다른지요? (11) |
이상철 |
2005-06 |
6540 |
10 |
2005-06
6540
1 이상철
|
35146 |
씨퓨위에 발르는 써멀그리스가 효과있는지요? (7) |
윤종완 |
2005-03 |
6540 |
8 |
2005-03
6540
1 윤종완
|
그 서버아이피를 라우터에 심어서 그 라우터의 사설대역이 192.168.10.0/24 대역이라 바로 101번으로 포워딩 하신단거아요?
그림으로 봐선 지금 라우터에 포워딩이 100번으로 되어있으니 101으로만 바꾸면 되는거 같은데요
서버실에 PC한대를 놓아서 고정IP를 부여 받고 다시 장비쪽으로 포트포워딩 하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요
적당한 공유기를 하나 구매하셔서 설정하시면 되는데,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1. 공유기의 DHCP를 해제
2. 공유기의 LAN IP는 네트웍관리자가 할ekd해 준 IP주소로 설정(장비의 IP와 같은네트웍이어야겠죠)
3. 장비의 게이트웨이는 공유기의 사설아이피주소로 변경(아마도 기존에는 라우터의 IP였었을듯..)
4. 공유기에서 필요한 포트의 포워딩 설정
NAT 환경에서나 포트포워딩을 사용하지 위 그림과 같이 라우터가 있으면 라우팅을 해주면 원격지와 사설구간간에 서브넷만 다른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이 되게 됩니다.
장비가 해외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형식이라면 별 문제가 없었을 텐데, 아마도 해외서버가 IP등을 통해 인증을 하는 모양이네요.
전산/네트웍 관리자는 정책만 내세울 뿐 전혀 유연성이 없으니 다른 꼼수(?)를 쓰시려는 것 같습니다.
이 상황이라면..
장비 ---- PC의 1번 랜카드 ----- PC ---- PC의 2번 랜카드 ----- 스위치
의 구성으로 하시면 되고, PC가 DHCP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말씀하신대로
리눅스PC(장비) - 허브 - 라우터(서버실) - 해외서버
로 구성하셔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