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에 있는 컴포지트 (컴포넌트 아님!!!) 에 대해서...

김건우   
   조회 8872   추천 0    

제가 이제껏 구형 모니터를 통해서

 

- 외장 TV 또는 pc용 TV를 통해서 av단지(컴포지트-흔히 외부단자로 표현되는)에

 

- Video(VCR) 또는 옛날 TV에 꽂아서 하는 손오공에서 나온 게임기등을 활용해왔는데요...

 

이번에 TN패널이고, 광시야각이 아니라는 아픔이 있지만

 

컴포지트 / 컴포넌트 / hdmi 2개 / d-sub / 광출력 / 3D되는

 

엘지 dm2780-px를 구매했습니다.

 

3d, pc연결등으로 인한 정상여부와 화질을 다 무시하고 오로지

 

av-컴포지트를 먼저 테스트했는데...

 

색깔 - 뿌옇게, 색깔도 탈색된거같이 나오고

 

그림 - (아무리 컴포지트 연결게임기라하더라도) 그림 테두리 모자이크처럼 계단형 라인

 

글씨 - 강제로 늘려놔서 역시 손오공이라는 글자가 슨으공 ..으로 보이는 현상!!!

 

 

당장 AS센터 전화했습니다.

 

그랬더니...고해상도 모델이고 화면이 커지니까 확대되어서 그렇다네요

 

말도 안되는 소리같아서...(왜냐면) 15인치 LCD에서 정상표시되고, 17인치 CRT에서 정상표시되고

 

20인치 TV에서 정상표시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인데

 

유독 27인치로 커졌다는 이유로 화면(그림, 글씨)이 확대되어 깨져보인다든지

 

색깔이 희뿌옇고 탈색되는것은 너무 밝게 세팅이 되어서 그렇다.. 라는 말을 하여..

 

이해도 안되고 해서 기사를 불렀으나...

 

웃으며 들어와서 한참 설명 및 이전에 자기가 TV as한것까지 예를 들어 얘기했으나

 

결론은 기기에 문제가 없고, 위에서 적은거처럼 고해상도 모델에(사실 그다지 고해상도도 아님:1920*1080인데

 

2천대 해상도의 모니터도 많은데 고해상도라고 강조하는 ... 그것도 대기업의 as기사답지 않은 모습으로)

 

화면이 확대되기때문이다라는 말만 하네요. 더우기 기기 이상이 아니므로 교체 안된다!!!! 는 것도 강조

 

또한 고객만족도 10점만점에 10점을 얘기해달라고 강조!!!!

 

제가 이해 또는 받아 들일 수 없는것은

 

pc도 부팅화면이 있는데 화면이 크다고 해서 부팅화면시 글자등이 깨지는 게 아니라 거기 해상도에 맞게

 

보여지는데  av단자도  표현할 수 있는 해상도가 아무리 제한되어있다하더라도

 

도스 및 pc부팅화면처럼 화면이 커졌다고 확대되어 깨지는게 아니라 그냥 27인치 상태에서의

 

640*480화면을 보여주면 되는건데 알아서 확대되어서 깨져보인다든지, 밝기조정때문에 그렇다든지

 

하는 그런 as설명 처리는 조삼모사, 주먹구구식으로 밖에 이해가 안되더군요.

 

제가 잘못생각하고 있나요?

 

AV는 정말 as센터 및 as기사가 말한거처럼 일반적이지 않고 환경에 영향을 받는것인지...

 

이럴줄 알았으면 괜히 엘지표 비싼거 샀다는 생각밖에는 안드네요 더우기 광시야각이 아니라서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밑에서 올려다 보면 시커멓게 보이는 이 제품을 말이죠...

 

휴....

 

 

조언부탁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CD 패널을 사용하는 모니터  최대해상도가 기본해상도입니다.

때문에 컴포지트로 전송되는 최대 해상도인 480i를 AD보드에서 받아서
LCD에 출력을 할때에는 패널의 기본해상도인 1080p로 출력을 하기에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출력하면서 계단형태로 보이는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더구나 패널 인치가 2배 커지면 실제 화면은 4배 커지기에
이전의 모니터에서는 인식하지 못했던 계단이미지가 더 커보이게 되었죠..

그리고 윈도우 부팅 같은 경우에는 AD보드에서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처리하는 것이 아닌 PC에서
저해상도 이미지 외각부에 데이터를 추가해 고해상도로 보내는 것입니다.

하여튼
컴포지트 480i 해상도를 덜 깨지게 보시는 방법은
이전 사용하실 때 처럼 PC에 캡처보드나 컴포지트 입력이 가능한 TV수신카드를 장착해 PC를 켜시고
해당 카드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셔서 출력하는 방법뿐입니다.

이 경우
AD보드보다 업스케일링 성능이 뛰어난 카드및 PC자원을 사용하기에 전체화면으로 출력시에도
글자가 께지는 현상도 줄어들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모니터에서 PIP기능이 있으시면
PIP기능에서 컴포넌트 입력을 보여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전체 패널의 일부분에 화면출력을 하는 기능이기에
작은 패널에서 480i 컴포넌트화면을 보는것과 같기에 계단현상이 줄어 가독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오홍식 2012-08
기억하기로 컴포지트는 각 색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DAC후 주사선 단위로 보내고
수신측은 픽셀 위치에 맞게 알아서 분할해 사용할겁니다.

따라서 일반 VGA급 해상도의 출력을 별도의 과정 없이 27인치에 늘려 출력이라면
모아레등의 화면 왜곡은 어쩔수 없을겁니다.

만일 말씀하시는 27인치에 640 x 480이라는 표현이 큰 화면에 해당 크기에 해당하는 픽셀만 구동을 의미하신다면
신호는 물론이고 H-Sink, V-Sink, Blank Time 모두를 건드려 27인치중 해당 위치만 이미지를 표시한다던지

내장된 어떠한 데이터 처리과정을 거쳐서 출력 데이터를 덮는등의 기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박동권 2012-08
김용민님 말씀처럼 하시는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USB 타입으로 컴포지트 입력받는 싼 것들 많습니다. 그런거 하나 구해서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화면크기는 어플에서 적당한 크기로 키우면 되고
진정한 복고의 브라운관 이팩트를 내어주는 소프트웨어 필터도 본 것 같은데 그런 핉터를 적용하면
좀더 원판의 화면 느낌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충 이런 알고리즘(또는 그 역방향)들이 들어간 필터인데 링크 그림들 처럼 소프트웨어적으로 선택해주는 것들이 있을 겁니다. ( http://slack.net/~ant/libs/ntsc.html )
백남억 2012-08
손톱만한 아이콘을 손바닥만하게 늘려놓고 화질구지 라 하는 상황이네요...
업스케일 컨버터중에 RCA 비디오 인풋 받아주는 물건이 있을껀데 그걸 찾아보시는것도 좋겠네요

http://bbs2-api.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hobby/310/read?articleId=13932772&objCate1=214&bbsId=G005&itemId=431&sortKey=depth&pageIndex=1

참조하시길~
     
김건우 2012-08
뭔가 오해를 하셨네요. 화면이 늘렸다고/ 늘려졌다고 또는 늘려진다고 생각되었던게 아니라...

컴포지트는 어차피 외부기기의 신호를 화면에 뿌려주는 경우이므로

화면에 꽉차게 나오지 않더라도(이게 늘려지지 않고), 있는그대로 뿌려주는 화면 - 그림 그대로가

나오길 바랬는데 ...

알고 보니 컴포지트는 큰화면으로 갈수록 그림자체가 늘려지고, 색상도 그렇게 된다는 것이

신기기가 과거기기에서도 되던게 다르게 나와서 황당하다는 것과

별도기기를 또 거기다 붙여야 그제서야 생각하는것과 유사하게 처리된다는게

아쉽다는 것이죠.


백남억님이 말씀하신거처럼 내가 그림 조그마한거 늘려놓고 이게 왜 이렇게 보이지?

화질이 구려졌지?

이러는게 아니었습니다.

그런상황이 아닙니다.
엘피 2012-08
집에 있는 37인치 LCD TV와 본가에 있는 42인치 LCD TV에서조차 컴포지트 입력은 잔뜩 깨집니다.
RCA케이블을 통한 컴포지트 연결은 아날로그 TV방식으로 주사를 하기 때문에 LCD에선 화질보장이 되지 않죠.

그리고 아마 고정종횡비 스케일링을 지원할지 안할지 모르는데 지원된다 하더라도 640X480 -> 1920X1080 이라면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거칠어 지기 마련입니다.
김석중 2012-08
제가 최대한 조언을 해드리자면...
색감이 왜곡되고 희뿌옇게 보이는건...
브라운관에서 쓰는 인터레이스 신호를 LCD에서 구현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일단 LCD 모니터는 프로그레시브 입력을 받아야 하는데, 컴포지트나 S단자는 인터레이스 방식입니다.
인터레이스는 한번에 화면을 뿌려주는게 아니라 짝수 홀수로 뿌려주죠.
고급 TV 모니터에는 AD보드에 인터레이스까지 처리해주는 고급 칩셋을 달아 놓기도 하지만 일반 보드에서는 바라기 어렵죠. 그냥 화면만 나오는 정도입니다.

어떤 분들은 비싼 업스케일러를 사라고 하시겠지만...

가장 저렴하고 확실하게 인터레이스 출력을 PC 모니터로 보는 방법은 DScaler이라는 TV 출력 프로그램을 쓰시면 됩니다.
DScaler를 쓰기 위해선 tv 수신카드나 영상 입력 카드가 필요합니다.
비싼거 말고 싼거 쓰셔도 상관없습니다. 단, 호환성만 고려하세요.

기본적으로 인터레이스 화질을 디인터레이스 하는 능력이 뛰어나구요.
김건우 님이 말씀하시는 색감 보정이나 감마 보정도 거의 완벽하게 됩니다.
특히 색감의 경우 dscaler에 내장되어 있는 Color Corrrect Filter를 쓰면 TV에서 보는것과 거의 유사한 색감이 자동으로 보정됩니다.

VHS나 비디오 게임기를 연결하신다면 왠만하면 컴포지트보다는 S단자가 낫습니다.
컴포지트나 S단자는 구형 TV 카드도 기본으로 입력을 지원합니다.
아니면 집에 그래픽카드가 vivo를 지원한다면 이걸 활용해서 쓰셔도 되구요.


QnA
제목Page 2587/5725
2015-12   1769527   백메가
2014-05   5244114   정은준1
2014-04   5049   최창현
2017-09   3647   대한민국
2015-09   6359   쌍cpu
2009-02   5361   김동주
2023-02   6868   김영기
2009-02   12406   오상훈
2009-03   5705   여주이상돈
2024-10   956   qualia
2012-05   5935   미수맨
2024-11   921   용새
2023-02   1907   무아
2023-02   2005   을지문덕
2023-02   1613   그린
2009-04   5259   허대웅
2012-07   20438   서현석
2019-01   3247   캡틴아메리카노
2023-02   2617   user
2024-12   1196   두발로
2016-10   4491   옆왕
2017-10   4865   킵고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