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선 선택과 네트워크 공유에 관한 질문.

전요셉   
   조회 6939   추천 0    

안녕하세요.

랜선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일단 사진과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하는데요.

 

 

 

Server의 위치는 7층 건물 옥상에 있고, 나머지 장비들은 전부 4층에 있습니다.

옥내 배선이 CAT.5 케이블인데다 4pair 가용이 힘들어 Gbps 링크가 불가한 관계로

옥상에 있는 Server에서 4층까지는 옥외로 랜선을 끌어오며,(약 60M)

이때 빨간선은 Gbps 공유를 목적으로, 검은선은 Gbps가 아니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여쭙고 싶은점은

 

1. 이때 빨간선의 선택이 CAT.5e와 CAT.6 케이블 중 어떤것이 나은 선택인지 궁금합니다.

(거리가 좀 있는경우 CAT.5e에 비해 CAT.6가 속도가 더 떨어진다는 말을 들은적 있습니다.[약 60M])

(전송시 최소한 500Mbps 이상은 나왔으면 합니다.)

 

2. 빨간선들을 공유기가 아닌 허브에 연결하고 윈도우 SMB로 공유할 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이슈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사용 OS는 [Server - Windows 2003]  [Desktop - Windows 7] 입니다.

큰 문제가 없다면 편의상 허브에 연결했으면 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한원준 2012-09
1.

CAT6 STP 이상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찾아보시면 주파수 대역이 카테고리 올라가면서 더 좋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Twisted_pair
이지영 2012-09
거리가 중요하고,
CAT6의 경우 직접 제작할 경우 노이즈가 많이 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geeksquad 2012-09
공유기와 허브는 다 기가비트 지원인가요 ? 아니면 기가비트 할필요 없을거 같구요

일단 공유기가 기가비트 지원해도 허브에서 공유기들어오는선이 100 메가 짜리면 전체 인터넷속도는 100메가로 나눠쓰니까요

허브 다이랙트라면 공인 아이피는 기기수만큼 받으실수 있나요 ? 아니라면 빼셔야 합니다. 아니면 게이트 웨이를 추가해서 서버에서 다시 분배하는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허브쓰시면 속도도 느립니다.

제생각에는 허브 빼시고 공유기가 그자리에 들어가시면 될거같습니다.

공인주소로 기본 포트가 다 열려있겠죠 방화벽을 따로 안 두시면요 .... 아물론 이부분은 isp 에서 주는 모뎀이설정에 따라 틀립니다.
     
전요셉 2012-09
1. 공유기와 허브는 다 기가비트 지원입니다. ^^;
2. 검은선은 Gbps 공유가 되지 않아도 상관없다는 의미였지 Gbps 지원이 안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3. 전체 인터넷 속도는 당연히 100Mbps이지만 위의 목적이 Gbps 인터넷이 아닌 내부 네트워크간의 Gbps 공유가 목적이기 때문에 관계없습니다.
4. 공인IP는 기기 연결하는 족족 전부 받을 수 있습니다.(12개가능 필요시 더 추가 가능)
5. 공인 IP는 필요하기때문에 허브를 뺄생각이 없습니다. 허브쓰면 느리다는 말은 무슨말씀인지 모르겠네요^^;
6. 유사 FTTH와 FTTH 2가지 회선을 사용중이고 위 그림에서 빨간선을 제외한 검은선은 지금도 구성해서 사용중인 네트워크입니다. 말씀하신 문제는 일어날 일이 없습니다. ^^;
          
geeksquad 2012-09
아 제가 지문을 제대로 안읽었네요.

게다가 여기가 2cpu 라는것도 깜빡했습니다. 10/ 100 더미허브 생각을 했네요

장비가 일단 기가빗이라면 당연히 기가빗으로 가야죠. 저라면 CAT6 로 일단 공사하고 4~7 층은 cat 5 도 같이 설치해서 두개 찍어보고나서 쓸거 같네요

혹시 중간에 한대더 가설하고 관리하실수 있다면 좋겠지만 관리가 힘들다면 그냥 cat5 로 가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cat 6 툴은 중국산 은 툴 망작이라고 하고요 ls 산전거는 중간은 간다고 하더라구요 앰프가 좋은데 비싸죠
박문형 2012-09
대략 개념은 검정선은 공인IP 증축하고 싶은 빨간선은 내부 IP

공유기에 검정선 연결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공인IP와 내부IP 완전 분리)

케이블은 카테고리6 가 좋습니다만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던지 주문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카테고리6 직접 만들면 카테고리5e 보다는 에러가 날 확률이 높습니다.

카테고리 6 찍는 전용툴도 꽤 비싸요. (AMP오리지날은 100만원급)
백남억 2012-09
카테고리가 올라갈수록 외부 노이즈에 대한 내성이 좋아집니다. (=속도 유지)
케이블링은 CAT6 으로 포설하시면 되겠는데.......
외부로 노출되는 배선 부분은 별도의 내후 처리가 필요합니다.
일반 UTP 케이블은 대 자외선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좀 쓰시다 보면 케이블이 자외선에 타버리는 광경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전기 자재 파는 가게 가시면 전선용 호스 있으니 그거 좀 사다 그 안에 넣어서 깔면 되실꺼구요~
아니면 실외용 대 자외선 처리된 검은색 CAT.6 STP 케이블이면 겐춘하실겁니다.
내/외부 망 분리는 얼추 된거 같아 보이는데... NAS가 조금 응? 스럽네요.
     
전요셉 2012-09
창틀에 구멍을 뚫어 랜선을 통과시켜야 하는 관계로 50~60M 완제 케이블을 사서 한쪽은 잘라내고 직접 찍을 예정입니다.
CAT.5e 케이블로 해야겠습니다.

기존 Server는 웹하드 및 웹서버 용도로 사용하는 서버고
NAS는 음악 및 동영상 스트리밍등의 홈서버 및 백업 용도로 사용 하려는 중입니다. ^^;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2-09
그나저나 요셉님은 그동안 잘 지내셨죠?
서버 증축 안하시나요?
     
전요셉 2012-09
그냥 저냥 지내고 있습니다 ^^;

가난한 관계로 서버 업그레이드는 힘드네요...
다만 HDD 용량은 꾸준히 증설중입니다.
LovelyJubbly 2012-09
옥외이면 가능하면 파이프 설치해서 그 안쪽으로 가는 게 좋고 그게 힘들면 무조건 STP로 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파이프가 힘들면 트레이라도 만들어서 태우는 게 좋습니다.

카테고리는 위에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높은 게 당연히 노이즈에도 강하고 좋지만 STP Cat.6면 무겁고
가공도 힘들고 비싸니 Cat.5e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QnA
제목Page 3641/5731
2015-12   1792692   백메가
2014-05   5267673   정은준1
2015-07   3785   DOSS
2016-08   4625  
2020-01   3918   케이프투자…
2016-08   6436   지수삼촌
2021-05   5739   김민수2
2016-08   3808   김강호
2024-09   1455   김말고
2012-03   5457   미수맨
2021-05   2370   엠브리오
2012-03   5523   곽순현
2015-08   4364   박성만
2017-09   3320   mt22
2021-05   2367   SSen
2014-04   9011   YJROOT
2018-12   3495   진신두
2015-08   4838   김건우
2018-12   2932   전진
2014-04   9531   리카라바
2017-09   8267   신은왜
2020-02   4617   나파이강승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