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수치적인거 외에....

   조회 5393   추천 0    

요즘 이런 저런 SSD 구입하면서 실험 해보고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 PC용으로 개인 고객들 인지라..

 

제 의사 반 고객 의견 반... 뭐 반반으로(?) 다가 실험 아닌 실험 하고 있습니다.

 

물론 보드빨 외에 SSD 빨도 포함되겠지만..

 

아직까지 써본 가성비 로는 인텔 330 시리즈가 압권입니다.

 

삼성 830? 인가요? 그거는 입소문 대비 개인적으론 꽝! 인거 같습니다.

 

일반적인 수치적인 데이터 외에...

 

동일 보드/CPU 혹은 동급 보드/CPU 시에는 330 이 가장 좋았던 것 같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샌드포스 칩셋을 선호 하는것 같군요..

 

마벨도 사용해봤지만.. 가격대비해서 어? 어! 너무 기대가 컸나? 하는 정도구요..

 

저 가겨대의 제품으로는 마하 익스트림? 인가? 하는 제품이 있는데..

 

삼성 830 제품보다 더 만족도가 좋았구요..

 

근데.. 왜 상품평을 Q&A 란에.. 올리는지??

 

아! 제 2CPU 포인트가 200점 돌파해서 흥분했나 봅니다..^^;

 

우리가 항상 따지는게 수치적인 부분이지만..

 

수치적 부분 외에 체감적 부분의 만족도가 좋았다 하는 SSD 가

 

어떤게 있었는지.. 의견좀 나눌까 해서 이 란에 올려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ovelyJubbly 2012-09
쓰는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

컴퓨터 자주 부팅하는 일반사용자는 당연히 4k가 빠른 인텔이 좋게 느껴지고
컴퓨터 부팅을 한달에 한번 할까 말까하고 덩치큰 프로그램이나 게임 좋아 하는 게으른(본인!) 사람은
삼성께 좋을 것 같습니다.

뭐 SSD 고장나면 언제든지 바꾸면 되지 당장 쓰기 좋고 속도 빠르면 장땡이다라고 하면 OCZ도 좋습니다.
김제연 2012-09
수치적인 것을 빼고 .. 어떤것이 330이 가장 좋았던거 같으셨는지도 써주시면.. 더 좋을듯 합니다.
마벨은 어떤점이 안좋은지도 써주셨으면 좋겠구요 ..
     
성투불패 2012-09
소위 멍때린다는 표현 있죠? 렉이 아닌... 순간적인 멍때린다는 표현...
제일 심했던게.. OCZ 어질 시리즈... 워낙 유명하니...
마벨이 안좋았다기 보다는.. 마벨 제품군이 타 제품군 보다 조금은 높은? 가겨대 포진되어 있는데.
330과 비교시.. 확~ 그 가격 들일만 하다는 아니다 라는거죠..
안좋은게 아니라.. 가성비에서 조금 밀렸다 표현이..^^;
딸기베리 2012-09
저는 개인적으로 OCZ를 선호 합니다.
일단 제품 수급률이 좋아서 AS 가 빠릅니다.
그리고 센드포스 칩셋 쓴녀석들은 거기서 거기인데 비해 가격이 저렴 했습니다(초기128G 처음 나올당시)

삼성 830이 가격대비 제일 실망스러웠습니다.컨트롤러가 트리플코어인지 듀얼코어인지 제기능도 충실하지 못하는거 같고
구간병목현상이 많이 일어나 830이 제일 실망 스러웠습니다.

지금 나오는 마벨,삼성MCX,센드포스 등의 컨트롤러는 거기서 거기인듯 합니다.

근나마 인텔과 라이트온 SSD 는 벤치성능에선 제자리 인듯 하나 작은 파일들을 수십개 복사해보면 다른 SSD 보다 빠르더군요.

누가 추천해달라 하면 지금도 인텔 만 추천 합니다.
조금 비싸다 하면 OCZ 로 가라구~ 하구요~
삼성 SSD의 치명적인 단점은 액세스 LED 시그날을 주지 못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보통 핫스왑 베이나 외장 하드 케이스의 경우 엑세스 LED를 SATA 포트를 통해 시그날을 받아오는데, 삼성꺼는 그게 안됩니다.

470 사용할 때 기술팀에 해당사항을 장문의 글로 항의 메일을 보냈는데, 830에서도 그대로 출시했습니다.
이제호 2012-09
20여장에 달하는 SSD 사용하면서 결국 귀결되는 것이
플렉스터 / 라이트온 제품 이더군요.

실사용 - 마구 써도 느려짐이 가장 적습니다.
실제 여러 벤치에서도 이점을 가장 크게 부각시키고있구요...

인텔 330 제품은 더티 상태에서 속도가 상당히 쳐집니다.
링크는 520 입니다만, 330은 마이너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큰차이가 없습니다.
http://www.winfix.net/bbs/board.php?bo_table=ddforiview&wr_id=1335&sca=199-200&page=4
저 역시 체감했던 부분입니다.


국내에서 지금 현재 당장 구입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제품은
플렉 m3pro 128g 제품입니다.
벤치의 우위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사용까지 아울러 말입니다.
이 제품은 도시바 토글낸드 사용으로 내구성까지 뛰어나죠...

256 / 512 제품은 현재 국내에 없습니다. 아쉬운 부분인데
후속기가 곧 수입 예정입니다.

http://www.winfix.net/bbs/board.php?bo_table=ddforiview&wr_id=830&sca=199-200&page=5
장동건2014 2012-09
삼성이 이렇게 까이는것은 처음보네요.
이곳뿐만 아니라 어딜가도 요즘엔 거의 삼성것 권하는 분위기 이던데 의외네요.
여기서도 몇번봤지만 삼성제품은 콘트롤러가 자사제품이라 외부에서 공급받는 업체보다 유리할수 밖에 없다는 글도 얼마전에도 봤습니다.
어느쪽이 진실인지...
     
LovelyJubbly 2012-09
품질도 괜찮고 내구성도 뛰어나고 컨트롤러도 자체 전용컨트롤러라 뛰어날 수밖에 없지만

꼭 문제를 이야기하자면 일단 4k성능은 인텔보다 떨어져서 부팅이 좀 느리다는 것
요즘 저가 SSD가 하도 많아 가격대 성능비가 떨어 질수도 있다는 점
고성능을 추구하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성능도 그냥 무난하다는 점

그냥 쉽게 생각해서 삼성메모리를 좋아 거랑 삼성메모리 싫어하는 거라 같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엄청 많이 쓰고 안정성도 검증되었고 많은 서버제품군에 들어가지만 조금이라도 더 빠르거나
조금이라도 더 안정적인 제품을 쓰고 싶어 하는 분들도 있어서 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삼성의 최고의 제품을 최대한 빨리 개발하려고 하지만
판매는 무난한 제품을 많이 팔려고 합니다.
          
장동건2014 2012-09
감사합니다.
그러니까 대체적으로 무난하고 일반 유저들이 사용하기에 좋은 제품이라고 판단됩니다.
세부적인 항목에 대해 깊이 파고드는 유저들에겐 다른 대안이 있다고 이해하겠습니다.


QnA
제목Page 3636/5729
2015-12   1789770   백메가
2014-05   5264751   정은준1
2015-04   5325   미담
2011-07   7359   스카이
2017-05   3818   전직P연구원
2013-12   4489   미니TM
2015-04   4770   민성일
2018-08   3400   진신두
2013-12   6654   박완경
2017-05   3813   백만스물하나
2013-12   5666   김건우
2011-07   6919   차평석
2013-12   4319   세가새턴
2013-12   6533   송현우
2021-01   2911   2CPUI김세훈
2022-09   3757   죠슈아
2024-04   2621   galaxyfamily
2011-08   7217   방o효o문
2015-05   8815   SkyBase
2016-06   7074   loym109
2019-11   9822   kokoas
2017-06   6045   원시인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