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221 용 어뎁터 질문입니다.

케이2   
   조회 6101   추천 0    

안녕하세요. 가입하고 처음 쓰는 글이 질문이네요.

저는 구형 맥프로에 그래픽카트 여러개 달아서 쓰고 있습니다. 모니터는 T221이 두개 일반 22인치 1개 와콤 신티크 한개 해서 4개입니다. 이번에 32비트에서 64비트로 오에서 판올림 하면서 T221을 설정해야 하겠다 생각 했습니다.

제 생각은 크게 두가지 길이 있는것 같더군요.

 

1. 60핀 -> Duallink DVI어뎁터 2개 장착후 듀얼링크 DVI 2개 나오는 크래픽 카드로 2X1  아이피니티 하는 방법이 첫번째인데 어뎁터 가격이랑 좌표를 모르겠더군요. 한 미국인이 개당 $150 즉 2개에 $300이라고 하긴 하는데 이걸 구입할 가치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Duallink DVI 를 Single Link DVI 2개로 나누어 주는 케이블 제작에 대한 글을 보았는데 원글을 읽어도 뜻을 알기가 힘들어서 이 케이블 제작에 대한 글이 있는곳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하긴 이거 만드느니 그냥 300불 쓰는게 낫겠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2. 지금 쓰는 케이블 2개더 구입해서 DVI4개로 2X2 아이피니티 하는 방법이 있겠는데 저는 이 상태에서 포오트레이트 모드로 써야 합니다. 이 세팅으로도 잘 묶이겠죠. 이 경우 4개 모니터 지원하는 카드가 2개 거기에 일반 모니터 연결용 카드가 추가로 필요해 집니다.

 

둘중에 어떤길이 나을까요? 두 경우 모두 일단 묶어 놓으면 안정적일까요? 저는 케이블 갯수가 줄어드는 1번에 마음이 끌리는데 비용이 문제네요. 게다가 1번의 경우 그래픽 카드 2개로 T221 뿐남 아니라 다른 모니터도 연결이 가능한듯 해서요.

 

그래픽 카드의 경우 1번의 경우 2개의 듀얼링크 DVI를 지원하는 카트는 7770중에서 몇개가 있는데 모두 2슬롯입니다. 이 경우 그래픽 카드 두개라도 DP포트가 각각 하나씩 남으므로 맥프로에 설치해서 운용하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2번의 경우 5770중 일부모델이 DVI, HDMI, Mini DP 2개로 4개 출력을 지원하는데 그래픽 카드 하나당 4개인지라 일반 모니터용 그래픽카드 1개가 더 필요합니다. 그러면 맥프로에 정말 꽉꽉 채워서 겨우 들어가는데다가 모니터 하나당 DVI 케이블이 4개라 복잡해지고, 모니터 하나당 miniDP 액티브 젠더도 2개가 필요해져서 비용추가도 없지는 않습니다.

 

질문을 정리해 보면

1.  1번과 2번중 어떤게 나을까요? 비용차이는 20만원 정도인것 같습니다.

2.  7770이나 적당한 크기에 저전력 형으로 4화면 지원이나 2개의 듀얼 DVI 지원하는 1슬롯 그래픽 카드가 있을까요?

3. 1번에 필요한 어뎁터 구입처 좌표를 부탁합니다. 제가 알아본곳은 이베이를 통하지 않는 개인이라 구입이 꺼려 집니다.

4. 1번 어뎁터 역할을 하는 Dual-DVI to Single DVI Splitter Cable 제작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부탁합니다.

 

5. 이외에 해 보신 분들의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가령 해봤자 별거 없다 라든지 등등... 참 용도는 방사선 검사 판독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준호1 2012-09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합은 개인적으로 2번이 나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1번의 조합을 용이하게 하려면 EDIE Override를 지원하는 LFH60-듀얼링크DVI 변환 어댑터가 필요한데 일본의 야후옥션에서 이러한 제품을 파는 판매자가 있긴 합니다.(케이블에 EDID ROM을 박아서 만드는데 옵션을 붙이면 케이블 하나에 만엔은 들겠더군요.)

제 경우는 EDID Override를 지원하지 않는 단순 LFH60 to 듀얼링크 DVI 변환 케이블(이곳의 '현진'님께서 제작하신) 및 젠더(역시 이곳의 '김성현'님을 통하여 입수한) 등을 사용해 보았습니다만 제가 세팅을 잘 못하는 것인지... 윈7에서 Eyefinity세팅이 잘 이뤄지지 않더군요.

현재 시스템에 Radeon 5870을 사용합니다만 1920*2400해상도 화면 두개는 잘 나오는데, Eyefinity로 합쳐지는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물론 저와 유사한 조합에서 성공하신 분도 계십니다만, 변수가 많아 보이더군요.

2번의 조합은 1번의 조합에 비하여 케이블 수급도 쉽고(Matrox용 LFH60케이블과 DVI-D 케이블 두개면 제작가능) 그래픽카드의 각 출력단별 해상도 역시 1920*1200 수준은 무난하게 출력되니 1920*1200*4로 3840*2400 해상도 구현은 가능할듯 싶습니다. 다만 Eyefinity로 2X2로 묶을 수 있는가는 화면이 나오느냐와는 별개의 문제로 봐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대체로 화면 자체를 출력하는 것보다 화면을 묶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드러납니다... 호환성 문제도 발생하는듯 하고요. 어떤 분은 시스템에 같이 달려있던 그래픽카드를 하나 제거하니 그때부터 된다는 이야기도 있고...)
이준호1 2012-09
5.저도 어찌저찌 하여 48hz환경을 만들어본 적은 있습니다만...(주로 윈도우XP)
생각외로 24~25hz로 구성된 화면에 비하여 큰 차이점을 느끼지는 못했습니다.
(들인 수고와 비용에 비한다면... 좀 아깝다는 생각이 들 정도더군요.)

어차피 25hz에서도 일반적인 동영상 감상은 거의 무리가 없거니와, 게임도 fps류가 아니라면 딱히 불편하지도 않고,
제가 아는 분도 T221을 이용하여 영상판독용 워크스테이션을 구성하셨는데, 25hz도 쓸만하다 하시더군요...

그래서 저는 그냥 속편하게 25hz로 만족 중입니다.(계속 48~50hz 출력에 도전은 해보고 있지만...)

현재 구성한 시스템은 Radeon 5870 두개를 달아(CF구성) 그중 한대에 T221 3대를 모두 물려 각각 3840*2400*25hz로 돌리고(LFH60 to 듀얼링크 DVI 변환어댑터 및 액티브 DP젠더 이용) 별도의 그래픽카드를 추가해(Matrox M9120) 와콤 신티크, TV를 연결하는 식으로 세팅하였습니다.
케이2 2012-09
성의있는 답변 감사 드립니다. 이곳에서 이준호님 글 많이 참고 했습니다. 답글을 읽어 보니 3840*1600 25Hz도 괞찬겠다 싶네요. 그렇다면 저는 1번으로 갈 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2번으로 DVI입력 4개는 현재도 가능한데 싱글 케이블로는 12Hz 가 한계인지라 듀얼링크 케이블이 어차피 있어야 하고, 그렇다면 현진님 케이블이 현재 구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미국 판매자가 파는걸 구입하는 수 밨에 없지 싶네요. 참고로 미국 판매자 영상입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1WTc0cY9GxU&feature=g-all-u
     
ophtha 2012-09
하경원님이 말씀하신 어댑터를 제가 사용중입니다. 저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케이2 2012-09
종헌님 답글 감사합니다. 구입을 해야 하겠는데 판매자가 이베이는 안 한다네요. 사기꾼 같지는 않지만 살까말가 고민중입니다.


QnA
제목Page 3629/5728
2015-12   1782156   백메가
2014-05   5257355   정은준1
2013-04   14078   김대평
2013-04   11593   가빠로구나
2013-05   15603   Nikon
2014-10   5995   포카
2010-04   8775   cjsrbc
2014-10   7964   제주김재민
2023-07   1923   조아
2018-03   3739   삐돌이슬픔이
2013-05   6058   이지포토
2016-02   5317   이니스ii
2017-01   4535   호박고구마
2016-02   4505   이희주
2017-01   5359   여주농민76
2022-01   3012   아마데우쓰
2013-05   6208   회원K
2018-03   4027   윤스피드
2014-11   4315   한성호
2014-11   14090   황성진
2017-01   4525   밤기차
2022-01   2816   네이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