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게이트 3T 하드 reallocated sector count 1576개.. 괜찮을까요?

trinetra   
   조회 29216   추천 0    

최근 시게이트 3T 하드 두개를 구입해 N40L 홈서버에 사용중인데요.
정확한 모델명은 ST3000DM001-9YN166 입니다.

사용하던 하드 스마트 정보를 보니 둘중 한놈이 reallocated sector count가 1576으로 나옵니다.
구입한지는 한달 정도 되었고요.. N40L은 홈서버라서 로딩이 별로 없습니다. 
토렌트 시딩을 하고 있긴 하지만 트래픽 통계 보면 많아 봐야 하루에 1GB 남짓 업로딩을 하고요.. 
아예 업로드 트래픽이 없는 날도 절반 가량 됩니다.
자료는 음악과 사진밖에 없어서 스트리밍 시 간간히 읽기작업 정도고요.

아무리 봐도 벌써 저렇게 될 환경은 아닌데 조만간 죽는 것 아닌지 불안하네요.
4년째 쓰고 있는 웬디 그린은 아직도 멀쩡한데..

스마트 정보만 가지고도 교환내지 A/S 가능한가요?
겉으로 봐서는 멀쩡하게 돌아가는데.. A/S를 해줄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A지니 2012-10
chkdsk 한번 돌려보셔요
펜딩 섹터에 대해 언급이 없으신것으로 보아
물리적인 배드는 아닌거같고 파티션에 문제가 있거나 논리적배드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논리적 배드가 생기는것도 파티션문제에 기인합니다
     
trinetra 2012-10
답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펜딩 섹터는 0 입니다.
chkdsk 돌려본 결과 몇군데 index 에러.. 그리고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데 allocate 되어 있는 공간을 발견했다.. 등등이 수정되었다고 나옵니다.
이후 SMART 정보는 변화 없고요.

파티션 문제나 논리적 배드라면 로우레벨포맷을 시도해 보는게 좋을까요?
AKA지니 2012-10
파티션은 그냥 chkdsk 의 /f 옵션으로 수정하시면 되구요 스마트의 정보는 바뀌지는 않습니다
reallocated sector count의 숫자는 단순히 섹터가 치환된 횟수를 말하는것이라 HDD를 파실려고 하는것이 아니라면 굳이 신경 쓰실필요는 없습니다 reallocated sector count 만가지고는 AS 거부될겁니다 만약 fix 되지 않는 배드가 있다면 이부분은 AS가 되는 부분입니다
gm data에서 만든 hdd scan 툴같은걸로 (논리)배드가 있나 검사해보시구요 있다면 hdd regenerator 같은 툴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hdd regenerator는 많이들 쓰시는 hiren's boot cd 에도 들어있습니다

하지만 chkdsk 이후 스마트에 카운팅이 더이상 없다는 의미는 이미 해당 문제가 수정되었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파티션의 문제로 reallocated sector count가 카운팅 된것이므로 굳이 따로 검사해보실필요는 없을것같습니다
그래도 해보셔야 되겠다면 위의 방법으로 해보시고 로루포맷을 좀... 3테라 로우포맷하시면 시간이 엄청납니다...
     
trinetra 2012-10
그렇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만 더 여쭈어보아도 될까요?
reallocated sector는 대부분 미디어 자체에 문제가 생겨
읽기/쓰기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 생긴다고 하던데요. weak해졌을때 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파티션의 문제로 카운팅 되는건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디스크 미디어 자체는 문제 없는데 다른 논리적인 문제로 reallocated sector가 생길수 있다는 것인지요..
          
AKA지니 2012-10
미디어 자체 문제로 생기기도 하지만 그 경우에는 다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reallocated sector 가 생깁니다 또한 느려진 구간에서는 배드마킹이 되는 경우도 생기구요 이경우 논리배드가 됩니다
파티션의 문제에 기인할때는 예를 들어 엔트리 불부가 깨지거나 잘못된 위치를 참조할경우 해당 섹터의 내용을 온전히 액세스할수가 없게됩니다 이때 미디어는 쓰여지거나 액세스되는 해당 섹터의 데이터를 다른 섹터로 치환해 버리는경우가 생깁니다 reallocated sector가 카운팅 되는것이죠 단순한겁니다
또다른 시나리오를 예를 들어보면 다수의 토렌트를 다운로드 와 업로드를 동시에 하고있다고 가정할꼐요
이때 미디어는 과부하가 걸릴텐데 그부하가 100%가 되어 더이상 진행이 안되어질때 버퍼오버런이 발생합니다
이경우 미디어는 현제히 느려진상태인데 이때 까딱 잘못되면 reallocated sector가 생기거나 배드마킹이 되는경우가 더러 생깁니다 매번 그런다는 것은 아니구 운이 없으면 그렇다는겁니다 일반 데탑용 미디어의 경우 scsi나 sas 처럼 ecc가 가능하지 않기에 과부하 상태에서 잘못된 데이터가 쓰여지더라도 이것을 검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차후 액세스 하게될때에 문제가 발생하게됩니다
               
trinetra 2012-10
네 그러면 조금 더 써보아야 겠네요. 카운트 수가 증가하면 A/S문의를 해봐야 겠습니다.
정진우님 덕분에 많이 배우고 갑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


QnA
제목Page 3615/5730
2014-05   5266090   정은준1
2015-12   1791022   백메가
2010-01   8590   뽀리는장사
2021-11   2753   죠슈아
2018-02   6567   이희주
2019-04   7899   박문형
2020-06   5023   오임
2010-02   8637   FreeBSD
2019-04   6367   차넷컴퓨터
2018-02   5428   김현린
2019-04   4131   김말고
2018-02   4754   민채
2023-06   2899   다봉이
2013-03   12726   marine83361
2016-01   4962   푸하히
2013-04   6984   insun
2014-10   9182   회원K
2016-01   3877   evoker
2018-02   4022   crogym
2016-12   5343   이하나
2010-03   8622   이종원
2013-04   16594   mon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