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912 |
25 |
2015-12
179091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951 |
0 |
2014-05
5265951
1 정은준1
|
42427 |
ELM327 OBD2 to bluetooth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12) |
김제연 |
2018-11 |
4949 |
0 |
2018-11
4949
1 김제연
|
42426 |
HUMAX Quantum T7X 경우... (1) |
박문형 |
2022-12 |
1856 |
0 |
2022-12
1856
1 박문형
|
42425 |
weblogic 9.2.4 (mp4) 리눅스용 설치파일 구할 수 있을까요? (2) |
타이호 |
2017-08 |
3454 |
0 |
2017-08
3454
1 타이호
|
42424 |
오실로스코프+스펙트럼분석기 (8) |
뚜뚜김대원 |
2018-11 |
3856 |
0 |
2018-11
3856
1 뚜뚜김대원
|
42423 |
5v 전압좀 봐주십시오 (4) |
캡틴아메리카노 |
2018-11 |
4355 |
0 |
2018-11
4355
1 캡틴아메리카노
|
42422 |
(3com) 스위치에 설정된 값 - lacp 등등... 이 전원을 뺐다가 꽂으면 다 초기화되나… (1) |
김건우 |
2015-07 |
4412 |
0 |
2015-07
4412
1 김건우
|
42421 |
레거시 서버에서 가상화로 이전시 (3) |
윈도우10 |
2014-03 |
3796 |
0 |
2014-03
3796
1 윈도우10
|
42420 |
t7910 사용가능 cpu 문의 (3) |
2pcnhs |
2021-05 |
4101 |
0 |
2021-05
4101
1 2pcnhs
|
42419 |
hp z6 g4 사용할때랑 T7920 사용할때 차이가.. (7) |
리아레네트 |
2024-08 |
2044 |
0 |
2024-08
2044
1 리아레네트
|
42418 |
Z620 2cpu 모듈? 같은게 있는건가요? (13) |
푸르린 |
2023-01 |
2240 |
0 |
2023-01
2240
1 푸르린
|
42417 |
Dell 서버 제품군 악세사리 질문좀 하겠습니다. (1) |
홀릭0o0 |
2014-04 |
4054 |
0 |
2014-04
4054
1 홀릭0o0
|
42416 |
시놀로지 나스 설정 백업 및 재설치에 대해 여쭙니다 (5) |
조재형3 |
2023-01 |
1871 |
0 |
2023-01
1871
1 조재형3
|
42415 |
노트북 아답터 커넥터와 라인만 구할수 없을까요? (2) |
악땅 |
2016-08 |
4085 |
0 |
2016-08
4085
1 악땅
|
42414 |
adaptec 72405 갑자기 논리드라이버 인식안됩니다 (9) |
신관악산 |
2021-05 |
5087 |
0 |
2021-05
5087
1 신관악산
|
42413 |
슈마 X10DRI 마더보드(E-ATX) 에 맞는 케이스 추천 혹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6) |
angora79 |
2023-01 |
3197 |
0 |
2023-01
3197
1 angora79
|
42412 |
ATI의 서라운드뷰 설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3) |
박경호 |
2012-03 |
9181 |
0 |
2012-03
9181
1 박경호
|
42411 |
윈도우 라이센스 문의좀 드립니다 (2) |
인생여전 |
2015-08 |
4535 |
0 |
2015-08
4535
1 인생여전
|
42410 |
멀티탭에 공유기 전원선을 꼽다가 스파크가 나서 태워먹었는데.. (13) |
별에서온그녀 |
2018-12 |
5256 |
0 |
2018-12
5256
1 별에서온그녀
|
42409 |
삼성 갤럭시탭 10.1 30핀 데이터 케이블 어디서 구매 가능할까요?? (10) |
리카라바 |
2020-02 |
4552 |
0 |
2020-02
4552
1 리카라바
|
42408 |
가장 작은 FULL HD 패널의 크기는 몇인치 일까요? (4) |
MikroTik이진 |
2012-04 |
5941 |
0 |
2012-04
5941
1 MikroTik이진
|
메인차단기 내리시고 차단기 출력 라인을 쇼트시킨후에 각 후단 라인 저항 체크해보시면됩니다
그리고 에어콘의 경우 제품라벨에 표준전류량이 적혀있습니다(최대 최소 표준) 최대치에서 어느정도 여유를 두시고 사용하는것이지 너무 많은용량의 차단기를 물릴시에 과전류에대한 안정보장을 받으수없습니다
혹시모를 누전(불안한 배선상태)이 있을때 저항값 기준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전원 전부 OFF 하시고 전선을 따라가시는게 가장 정확한 방법이고,
다음으로는 전원을 OFF하시고 에어컨의 콘센트에 전선으로 숏트를 시키시고
각 차단기의 2차측에서 저항값을 측정하면 거의 0옴 근처가 나오는 차단기가 에어컨 라인입니다.
노파심에 전기를 전문으로 하시는 분에게 도움을 청하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진우님이 답볍을 먼저 달아 주셨네요 ^^
차단기 용량만 늘리거나 차단기를 제거하게되면 전선과열로 피복이 녹아내리고 합선 최악의 경우 화재로 이어집니다.
주택은 가장 왼쪽이 메인 차단기입니다.
그 다음부터가 분기회로인데 보통 주택의 경우 전등 1회로
전열 2회로 에어컨 1회로 스페어 1회로로 나눠져 있습니다.
먼저 확인하실 것은 배전함의 차단기가 몇개인지 확인하시고 평형이 크면 전등도 2회로로 가지만 스티커 붙이는걸 잊어버렸다라는걸 보면 시골 동네업자로 보이네요.
전열은 보통 좌우 회로로 구분합니다. 한쪽은 주방이 다 묶여 있을 겁니다.
간단하게 멀티탭을 콘센트에 꽂아두고 차단기를 내렸다 올렸다 하면 분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원은 연결 연결로 배선됩니다. 현장용어로 짬파짬파 되었다고들 합니다...
저도 현장에서 이런 방법으로 확인합니다.
그리고 에어컨 별도 전원이 없는 걸로 보입니다. 만약 배전함 차단기에 선이 두가닥이 물려있으면 콘센트 확인해서 스페어 차단기로 옮기시면 됩니다.
전기는 한순간입니다.
차단기 자꾸 떨어지는 걸 올리면 차단기 고장나서 위험해 집니다. 이 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