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배전함 확인 방법 조언 부탁드립니다.

권오준   
   조회 8743   추천 0    

몇년전 시골에 부모님이 집을 새로지었습니다.

전기문제 인데요. 잘 사용을 하다가 에어콘을 한대 설치하고 나서 에어콘 사용량이 많을때 누전차단기가 계속 다운이 되어 배전함을 확인한 결과 시골이다 보니 그런가 전기공사 하신 분이 배전함에 분선마다 선들이 어디 선인지 메모하는걸 잊어버리셨더군요.

 

에어콘쪽에 차단기 용량을 조금 올려 놓은 상태인데 이 방법이 좋은 것은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한쪽에 사용량이 많으니... 

 

시간 날때 가서 분선들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메가테스터기를 가지고 분선 찾는 방법에 있어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A지니 2012-11
굳이 메가테스터기가 필요하진 않은데요...
메인차단기 내리시고 차단기 출력 라인을 쇼트시킨후에 각 후단 라인 저항 체크해보시면됩니다
그리고 에어콘의 경우 제품라벨에 표준전류량이 적혀있습니다(최대 최소 표준) 최대치에서 어느정도 여유를 두시고 사용하는것이지 너무 많은용량의 차단기를 물릴시에 과전류에대한 안정보장을 받으수없습니다
     
권오준 2012-11
집구조를 대충 그려놓고 콘센트 위치나 조명+스위치 위치를 표시하고, 분전반의 출력선을 하나씩 연결하고 콘센트나 조명에서 저항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혹시모를 누전(불안한 배선상태)이 있을때 저항값 기준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이슬사랑75 2012-11
분기선은 그렇게 복잡하지 않을겁니다.
그냥 전원 전부 OFF 하시고 전선을 따라가시는게 가장 정확한 방법이고,
다음으로는 전원을 OFF하시고 에어컨의 콘센트에 전선으로 숏트를 시키시고
각 차단기의 2차측에서 저항값을 측정하면 거의 0옴 근처가 나오는 차단기가 에어컨 라인입니다.

노파심에 전기를 전문으로 하시는 분에게 도움을 청하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진우님이 답볍을 먼저 달아 주셨네요 ^^
     
권오준 2012-11
분선확인만 하고 문제 있는것은 전문가 도움을 받으려구요..고맙습니다.
한원준 2012-11
차단기 용량 선정은 배선에 따라서 입니다. 전력부족으로 차단기 내려가면 배선부터 바꿔야 하는게 정석입니다.

차단기 용량만 늘리거나 차단기를 제거하게되면 전선과열로 피복이 녹아내리고 합선 최악의 경우 화재로 이어집니다.
     
권오준 2012-11
저도 그문제가 걸려서 용량이 많은 것을 분선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에어콘+냉장고+전자레인지+커피포트 등이 같이 묶여 있다면 문제가 되니까요..감사합니다.
김준유 2012-11
표시가 없을때는 확인하는 법운 간단합니다.
주택은 가장 왼쪽이 메인 차단기입니다.
그 다음부터가 분기회로인데 보통 주택의 경우 전등 1회로
전열 2회로 에어컨 1회로 스페어 1회로로 나눠져 있습니다.
먼저 확인하실 것은 배전함의 차단기가 몇개인지 확인하시고 평형이 크면 전등도 2회로로 가지만 스티커 붙이는걸 잊어버렸다라는걸 보면 시골 동네업자로 보이네요.

전열은 보통 좌우 회로로 구분합니다. 한쪽은 주방이 다 묶여 있을 겁니다.

간단하게 멀티탭을 콘센트에 꽂아두고 차단기를 내렸다 올렸다 하면 분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원은 연결 연결로 배선됩니다. 현장용어로 짬파짬파 되었다고들 합니다...

저도 현장에서 이런 방법으로 확인합니다.

그리고 에어컨 별도 전원이 없는 걸로 보입니다. 만약 배전함 차단기에 선이 두가닥이 물려있으면 콘센트 확인해서 스페어 차단기로 옮기시면 됩니다.

전기는 한순간입니다.
차단기 자꾸 떨어지는 걸 올리면 차단기 고장나서 위험해 집니다. 이 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QnA
제목Page 3609/5730
2015-12   1790912   백메가
2014-05   5265951   정은준1
2018-11   4949   김제연
2022-12   1856   박문형
2017-08   3454   타이호
2018-11   3856   뚜뚜김대원
2018-11   4355   캡틴아메리카노
2015-07   4412   김건우
2014-03   3796   윈도우10
2021-05   4101   2pcnhs
2024-08   2044   리아레네트
2023-01   2240   푸르린
2014-04   4054   홀릭0o0
2023-01   1871   조재형3
2016-08   4085   악땅
2021-05   5087   신관악산
2023-01   3197   angora79
2012-03   9181   박경호
2015-08   4535   인생여전
2018-12   5256   별에서온그녀
2020-02   4552   리카라바
2012-04   5941   MikroTik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