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대한 페이징 등 원초적인 질문..... 부탁드립니다...

   조회 5714   추천 0    

안녕하십니까?

 

내일이면 즐거운 주말이 돌아오는군요... ^^

 

오랫만에 들어와서 질문만 툭 던지고 가는 것 같아 죄송스럽지만..

 

궁금증이 생긴지라.. 제가 생각하고 있는게 맞는건지 의문이 생겨서 말입니다...^^

 

오늘 윈도우7 설치중 드는 의문점에서... 원초적인 이론상 질문을 하나 할까 합니다.

 

사람이 습관이란게 참 무섭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원리도 따지지 않고 그냥 그동안 해오던 걸로 쭉~~ 하고 있다는게 말이죠..

 

무슨 이야기냐면... 윈도우 페이징에 관한 내용입니다.

 

예전 메모리 부족하던 시절.. XP의 경우 예를 들자면...

 

페이징의 정석이 최소값은 메모리의 1.5배 최대값은 2배가 정석(?) 아니었습니까?

 

오늘 그걸 지금까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렇게 사용해왔다는거죠..

 

근데 가만 생각해 보면.. XP 야 32비트고 이론상 메모리 용량이 3.3기가 정도..

 

뭐 따지면 3기가... 그렇다면 요즘처럼 4기가 장착에 메모리 라면 페이징값 (가상 메모리값)이 의미가

 

없어진다는 말인데.. 제 생각이 맞는건가요?

 

2기가 장착 컴퓨터라면... 그껏 1기가 내지 아쉬우면 1.5기가 잡아줘도 충분한 소리인데..

 

어차피 리얼메모리든 가상메모리 포함이든 OS 자체에서 콘트롤 할 수 있는 메모리의 양은

 

3기가대 아닙니까? 이런 이론이 맞는건가요?

 

금일 8기가 메모리에 120GB SSD에 윈도우7 64비트를 설치하고 셋팅 마감 하려던중 무심코 HDD 용량을 보니

 

40기가 이상 HDD를 잡아먹더라구요...

 

OS에 어플리케이션 몇개 깔고.. 기껏 많아야 18기가대 였을텐데..

 

동일한 내용을 다른 320GB HDD에 복사후 2기가 메모리가 장착된 컴퓨터로 가니 23기가 먹히더라구요..

 

어라? 동일 셋팅값인데? 하던차.. 머리에 스치는게 페이징과 최대 절전모드..

 

OS 페이징값이 자동으로 되어 있던지라... 가상메모리 2기가 + 최대 절전모드 2기가...

 

그렇다면 최초에 120GB SSD 제품은 8기가 메모리 이니.. OS셋팅 + 가상 8기가 + 절전 8기가

 

거기에 복원시점 데이터 해서 40기가 이상 잡아먹었던것 입니다.

 

아차~!! 싶더군요.. 그렇다면 통상적인 (DB류나 3D류의 엔진이 아닌...) 환경하의 유저에게는

 

64비트라도 8기가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 싶습니다..

 

통상적인 유저들의 메모리 사용량이 3기가를 넘지 못하니...

 

이런 이론이라면 페이징 가상메모리 할당을 할 필요가 없어지는데 말이죠..

 

위에서 언급한 제 개인적인 이론이 맞는건지.. 고수님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참 사람이란게 습관이 무서운 것 같습니다..

 

컴퓨터 메모리 용량은 날로 높아지는데 생각은 예전이니 말이죠..

 

아.. 그리고 번외로 윈도우7의 복원시점 용량 할당은 어느정도가 적당한지요?

 

새로운 OS를 접하니.. 궁금한게 너무 많아서요...^^

 

마지막 질문중 한가지 더!! 조금 고 난위도 인것 같습니다.

 

SATA MODE 가 IDE 방식에서 셋팅한 OS를 AHCI 모드일 경우 블루스크린 띄우며 튕기는데..

 

둘다 인식하는 셋팅값을 만들 수 있을까요?

 

IDE 였던걸 AHCI로 변환이 가능한데.... 둘다는 아직 성공치 못했습니다.

 

2CPU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배창언 2012-12
요즘처럼 램가격이 낮아서 8GB는 기본으로 장착하는편인데
가상OS가아닌 일반적인 프로그램이나 게임으로는 충분하기 떄문에
가상메모리를 아에 끄는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간혹 사용되는 경우(없다고 메세지를 띄우거나 메모리덤프등)
200~300MB나 1~2GB정도 작게 설정하는게 요즘 추세이긴 합니다.

최대절전모드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SSD라 부팅도 빠르니
보통 사용안하는편이며

시스템복원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전체를 백업하는 편이라
용량절감을 위해 아에 끄고 사용하긴합니다.
다양한시점 다양한 파일을 백업할려면 크게 설정해야하는데
은근히 용량을 차지하는편이긴 합니다.
성투불패 2012-12
답글 감사합니다.

그럼 32비트 OS에 4기가 장착 컴퓨터의 경우 페이징이 이론상 필요한가요?

원리상은 어차피 콘트롤 이상값이니 무의미하니 사용하지 않음이 정답인데요..

그래도 작게나마 페이징이 필요한가요?
왕미할배 2012-12
2 GB 이상이면 이론상 필요 없습니다. 실제로는 가끔 요구하더군요.

ODD 로 디스크 구울 때 가끔 오류 나기 때문에 그냥 100 MB 정도 잡아주는 편입니다.
그냥 비디오 클립 하나 있는 셈 치고 지냅니다.
     
성투불패 2012-12
답글 감사합니다.

무의식적인 습관을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기회가 되었네요.

세상이 바뀌는 만큼 생각도 바뀌어야 하는데... 그게 참 쉽지 않더라구요.. ^^ 감사합니다.
어린왕자 2012-12
저는 4G 이상 사용하면서 부터(32, 64 bit모두)
페이징은 무조건 사용하지 않음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가 무거운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지금까지 문제시 된 적은 없습니다.
     
성투불패 2012-12
네.. 그렇군요.. 습관이 무서워요.. ^^
엘피 2012-12
포토샵등 메모리를 좀 먹는 프로그램의 경우 페이징을 안잡을 경우 크리티컬 에러가 많이 발생합니다.
자신의 주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QnA
제목Page 3585/5724
2014-05   5238740   정은준1
2015-12   1764166   백메가
2024-01   1716   김영기대전
2016-05   6459   보탕
2018-07   4211   김제연
2020-12   2803   백만스물하나
2011-04   8718   박남규
2013-11   10624   김기배1
2015-03   5828   영산회상
2018-07   3799   미나리나물
2022-06   1742   v천소유v
2011-04   7937   박종호
2018-07   6108   다온
2016-05   14078   yuno
2017-04   3663   AKMU
2024-02   3421   천번둥개
2011-05   6276   김현웅
2018-07   4419   네이쳐
2013-11   5640  
2015-04   3891   파리대왕
2021-01   2909   건약
2011-06   5753   1CPU지창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