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938 |
0 |
2014-05
526693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860 |
25 |
2015-12
1791860
1 백메가
|
42856 |
강남 쪽에 주차 가능한 까페가 어디 있을까요? (5) |
ArtsRommel |
2019-06 |
3323 |
0 |
2019-06
3323
1 ArtsRommel
|
42855 |
Raid 10 디스크 복구 방법은? (13) |
김황중 |
2020-09 |
5144 |
0 |
2020-09
5144
1 김황중
|
42854 |
시스템엔지니어(SE)란 무엇일까요 (8) |
Geil |
2015-01 |
11728 |
0 |
2015-01
11728
1 Geil
|
42853 |
Z420에 해킨 설치중 마지막 설정부분에서 계속 멈추네요... (3) |
강한구 |
2016-03 |
6289 |
0 |
2016-03
6289
1 강한구
|
42852 |
mx 메일교환기 관련 문의 (2) |
김동혁1 |
2019-07 |
2723 |
0 |
2019-07
2723
1 김동혁1
|
42851 |
HP RAID 컨트롤러 일반 보드에 사용 가능 한가요? (3) |
근원e |
2013-08 |
6590 |
0 |
2013-08
6590
1 근원e
|
42850 |
윈도우7 설치시 질문입니다. (3) |
최수호입니다 |
2013-08 |
10217 |
0 |
2013-08
10217
1 최수호입니다
|
42849 |
개조제온 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p5k 1201) (1) |
앙몰리 |
2016-03 |
4539 |
0 |
2016-03
4539
1 앙몰리
|
42848 |
DDR4 ECC/REG 램 들어가는 저전력 서버는 뭐가 있을까요? (5) |
우주고양이 |
2018-05 |
3830 |
0 |
2018-05
3830
1 우주고양이
|
42847 |
미크로틱 요거사면 믹욱님720pcctv poe될까요? (7) |
행복하세 |
2018-05 |
3842 |
0 |
2018-05
3842
1 행복하세
|
42846 |
카메라용 메모리 벤치마크 자료 없을까요? (3) |
로그아웃 |
2010-11 |
7260 |
0 |
2010-11
7260
1 로그아웃
|
42845 |
아수스 p5e x38칩셋 제온이식 (5) |
웃자웃자 |
2016-03 |
4629 |
0 |
2016-03
4629
1 웃자웃자
|
42844 |
레이드 볼륨 쓰기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12) |
메가날백 |
2019-07 |
3992 |
0 |
2019-07
3992
1 메가날백
|
42843 |
챗gpt의 논문 요약 (7) |
김효수 |
2023-11 |
3093 |
0 |
2023-11
3093
1 김효수
|
42842 |
리눅스 스크립트 작성.. (2) |
컴지기 |
2013-09 |
5820 |
0 |
2013-09
5820
1 컴지기
|
42841 |
Pm961 크리스탈 임포 디스크 인식 불가.. (4) |
GPGPU |
2020-10 |
4809 |
0 |
2020-10
4809
1 GPGPU
|
42840 |
다나와에 대형 전문 조립업체들 말인대요 (12) |
방o효o문 |
2010-11 |
11006 |
0 |
2010-11
11006
1 방o효o문
|
42839 |
next-7004kvm 제품에 대한 질문 (1) |
휘벨로퍼 |
2019-07 |
3222 |
0 |
2019-07
3222
1 휘벨로퍼
|
42838 |
마이크론 메모리도 쓸만한가요? (9) |
지존컴퓨터 |
2016-03 |
4317 |
0 |
2016-03
4317
1 지존컴퓨터
|
42837 |
아파트 욕실 타일공사 저렴한곳? (7) |
김건우 |
2010-12 |
13667 |
0 |
2010-12
13667
1 김건우
|
NAS도 RAID 모델이 있으니 백업에 대한 포인트를 잡으신다면 NAS도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리눅스를 사용해서 nfs로 NAS와 서버를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기가빗이더넷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내줘서 데이터 소실의 우려를 잊고 삽니다. 그래도 일주일 혹은 한달씩은 다른곳에 다시 백업 받습니다.
요즘 서버는 부팅을 제외한 구동 이후부터는 노트북보다 조용하답니다
단지
워크스테이션처럼 부하가 걸릴때만 온도 유지를 위한 팬이 깅력히? 구동될뿐 예전 서버랑은 아에 다르다고 볼수 있을듯하네요
단 벤더들의 경우는 그런데 조립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가격대 성능비를 찾는거라면 장터에 나오는 워크 괜찮다고 생각되고
최신컴터를 사실 예정이시라면
차라리 안정적인 요즘서버를 저는 추천드려요
예전에 조립서버만을 보아서인지 서버는 항상 시끄럽다고 생각했거든요.
감사합니다.
한번 참조해보세요. 무난한 제품 입니다.
처음 알았습니다.
특히나 최근에 PC를 구매하셨다면 더욱 궁금합니다.
5명정도가 같이 이용하는 개발서버라고 하니깐
주변에서 다들 비추하길래 지레 겁을 먹고 있습니다.
레이드 몇개씩 묶어도 관리가 안되면 데이터가 유실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개발피씨와 비슷한 사양의 컴퓨터 (혹은 조금 낮은)에 캐쉬가 있는 레이드카드(좀 비쌈)를 답니다.
필요한 용량의 하드디스크 (대략 저장할 공간의 두배 정도)를 두개 정도 JBOD로 셋팅합니다.
개발 서버및 백업 서버를 기가비트허브로 연결합니다.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로 인하여 백업서버는 화일 복사시 상당히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레이드 레벨 1이나 5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JBOD로 셋팅하면 디스크 1개가 고장나서 데이터를
잃어버리나 1이나 5로 셋팅시 고장이나면 데이터 전체를 잃어 버립니다.
감사합니다.
가격대비 최고인 것 같아요.
가장 중요한 비용을 얼마정도 생각하냐겠죠
만일...
메모리용량을 좀 높게 생각하시거나(32기가 이상)
성능이 높아야 된다(이것저것 몽땅 띄워야 되고 속도도 빨라야되니 최소 8코어는 되어야 된다)
이렇다면...돈이 많이 들어가겠죠....
어짜피 저장장치야 RAID 컨트롤러에 HDD만 붙이면 되니 케이스와 파워만 받혀주면 별문제가 없으니....워크스테이션 선택항목에서 제외해도될듯하네요
그런데 저라면 그냥 새컴퓨터 하나 사서....적당한 RAID 컨트롤러+새하드를 붙이겠네요
더불어서 최소 하루에 1번이상 별도의 NAS나 백업서버로 백업을 받구요
거기에 초기 셋팅된걸 고스트나 TRUE IMAGE로 떠놓고, 복구할걸 고려해서 백업/복구까지 미리생각해놓죠...
아니면 VMWARE나 VIRTUAL BOX로 아예 APP/DB 서버들은 가상화를 해놓는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죠
어짜피 워크스테이션이라고 해봐야 일반 PC보다 안정성과 확장성(메모리,CPU같은)이 좀더 좋다는거지
고장이 없다는건 아니고, 중고라면 아무래도 사용한 시간이 있으니 새것보다는 고장날 확률이 높아지겠죠
더불어서 개발하다보면 개발서버의 H/W적인 장애보다는 사용자 장애(?)로 문제가 더많이 생기는거 같더군요
(사용자가 실수로 소스를 날리거나, DB 테이블을 날리거나, SVN을 예전버전으로 덮어버리거나, 공유폴더를 날리거나...등등)
제가 하드웨어쪽은 잘 모르는 편이라서요..
결제권자의 생각, 실 운용/관리자의 생각... 입니다.
자료 보호에 얼마나 투자를 할 것인가..
운용/관리에 얼마나 신경을 쓸 것인가..
최소한으로 잡자면 NAS에 각자 적당히 하는 것이겠고요.
중간정도로 잡자면 고용량 하드 두개 달아서 Raid0로 설정하거나 하나를 일일 백업하드로 운용하는 정도 되겠네요.
돈은 충분히 쓰겠지만 운용/관리자가 귀찮다면 벤더사 제품을..
적당한 돈과 운용/관리자가 노력을 한다면 슈마나 타이안같은 조립 제품 정도겠네요.
------------------------------
최신형 일반 PC... 라는 분류는 너무 포괄적입니다.
각 부품을 "일정 수준 이상의 제품으로 하는 조립 PC"라고 전제 한다면 저라면 구형 웍스대신 일반 PC를 선택하겠습니다.
다만...
OS는 Raid10 보다는 단일 디스크에 vhd 설치를 하거나 기본 OS에 Hyper-v나 VMWare같은 가상화를 해 놓는 것이 편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들 모두 정말 좋은 내용들이군요... 좋은 정보/팁TIP 입니다...
...
제 생각에는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면 사무실에서 쓸만한 조용한 서버를 중고로 하나 구매하시는것이 어떨까 합니다. 특히 RAID의 안정성 위주로 검색을 해보시면 좋을것 같구요, 다른 요소들은 딱히 문제될게 없을것 같습니다. (소규모시니까) 사실 좋은 사양의 PC들도 좋은 레이드카드만 달아주면 문제될게 없지만 불안감이 있으시다면 비용을 조금 더 사용하시는것도 좋죠.
만약 위 경우로 하신다면 현재 남아있는 PC는 백업용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아무리 서버가 좋은게 하나 있어도 생각지도 못할법한 문제들이 생깁니다. 새벽에 한 번 정도만 백업을 걸어놔도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데이터 유실되어 뼈절이게 느꼈습니다)
제가 몇 년간 본업 외에 이러한 일을 팀에서 하면서 느낀것은 (본업은 인티그레이션 엔지니어입니다) 하드웨어 구성의 문제보다 '문제가 났을때 어떻게 대처할것인가?' 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현 장비에 RAID 카드와 하드만 달거나 새로 장비를 하나 사시더라도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복구할건지는 리스트를 만들어서 한번 해보시고 운용하시면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예. RAID 5 구성했는데 이상이 생겼다면 이상은 어떻게 알아채나? 그러면 뭘 해줘야하나? 만약 메인보드가 문제가 있다면 이 때 RAID는 어떻게 되나? 백업은 어떻게 하고 리스토어는 어떻게 하나? 각 서비스 백업과 리스토어는?) 이러한 기준에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장비나 세팅을 구매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저라면 이렇게 할 것 같습니다. 한동안은 지금 사용하시는 장비로 그냥 쓰시면서 따로 장비를 하나 구매해서 위에 말씀드린 것들을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서 새 장비에 백업을 해보시구요, 이해가 다 가면 새 장비를 메인으로 하고 서비스와 데이터를 다 옮기구요. 그 다음에 옛날 장비를 백업장비로 사용하겠습니다. 쉬엄쉬엄 한 달 정도면 이 과정을 익히게 될 것 같은데요 팀원분들끼리 이 과정을 정리해놓으시면 나중에 긴급상황 (우려하시는 상황)이 생길때 상당히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속도보다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보관 및 테스트서버의 안정적인 유지(?)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실제 회사에서 Git 호스팅 서버를 잘못 운용해서 하루 전 백업데이터를 운용중인 서버의 데이터에 엎어쓰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몇 백 명의 개발자가 올린 하루치 커밋들이 사라진거죠. 전형적인 인재입니다.) 이때 제가 복구를 했는데 서버 로그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에 업데이트 받은 사람 몇 명을 찾아서 서버에 해당 데이터를 올려주고 (git push) 사태가 종료되었죠. Git 같은 분산형이 아니라면 더 해결하기 어려웠을겁니다.
이러한 면에서 Git 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학습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좀 깁니다.)
제가 김상희님과 똑같은 고민과 과정을 밟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