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용 개발서버에 관한 질문입니다.

   조회 6836   추천 0    

선배님들 질문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반PC(최근 구매)를 svn, 웹/db, 파일서버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도우서버OS 사용중, 레이드사용안함)
그러나 개발물이 쌓여가면서 약간의 불안함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서버를 중고로 놓고자 하는대요..
사무실에 IDC용 서버를 놓기에는 너무 시끄러울것같아서 대신 워크스테이션을 서버처럼 쓰고자 합니다.
장터매물을 보니 워크스테이션은 hp 계열로 조금씩 매물이 나오던데요..
이걸 사서 raid10 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os->raid 10, data -> raid 10 : os부분과 data부분을 따로 레이드)

과연 일반PC(최신형)대신에 중고워크스테이션을 두고 사용하는게 잘하는 짓인지 궁금해서요.. 
저와 같은 고민을 해보신 분이 계신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조일권 2012-12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 서버 가동 조건은 잘 모르겠지만 NAS + 최신 PC 사양 조합은 어떻세요?

NAS도 RAID 모델이 있으니 백업에 대한 포인트를 잡으신다면 NAS도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제로콜라 2012-12
고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약간 다르지만 집에서 개발용 서버 2개와 (비RAID) NAS 하나 (RAID5)를 사용중입니다.
저는 리눅스를 사용해서 nfs로 NAS와 서버를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기가빗이더넷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내줘서 데이터 소실의 우려를 잊고 삽니다. 그래도 일주일 혹은 한달씩은 다른곳에 다시 백업 받습니다.
     
제로콜라 2012-12
개발용 서버는 일반PC를 쓰시나요?
          
케이스는 PC케이스이고 보드는 서버보드를 사용합니다.
노리 2012-12
약간 다른 얘길수도 있으나
요즘 서버는 부팅을 제외한 구동 이후부터는 노트북보다 조용하답니다

단지
워크스테이션처럼 부하가 걸릴때만 온도 유지를 위한 팬이 깅력히? 구동될뿐 예전 서버랑은 아에 다르다고 볼수 있을듯하네요
단 벤더들의 경우는 그런데 조립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가격대 성능비를 찾는거라면 장터에 나오는 워크 괜찮다고 생각되고
최신컴터를 사실 예정이시라면
차라리 안정적인 요즘서버를 저는 추천드려요
     
제로콜라 2012-12
그렇군요.
예전에 조립서버만을 보아서인지 서버는 항상 시끄럽다고 생각했거든요.
감사합니다.
회원K 2012-12
     
제로콜라 2012-12
렉형 웍스도 있었네요.
처음 알았습니다.
곽순현 2012-12
개발서버로 사용하시면서 약간의 불편함이 무엇인지요?
특히나 최근에 PC를 구매하셨다면 더욱 궁금합니다.
     
제로콜라 2012-12
아직은 불편함은 없는대요..
5명정도가 같이 이용하는 개발서버라고 하니깐
주변에서 다들 비추하길래 지레 겁을 먹고 있습니다.
박문형 2012-12
저는 생각이 조금 다른데요.

레이드 몇개씩 묶어도 관리가 안되면 데이터가 유실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우선 개발피씨와 비슷한 사양의 컴퓨터 (혹은 조금 낮은)에 캐쉬가 있는 레이드카드(좀 비쌈)를 답니다.
필요한 용량의 하드디스크 (대략 저장할 공간의 두배 정도)를 두개 정도 JBOD로 셋팅합니다.

개발 서버및 백업 서버를 기가비트허브로 연결합니다.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로 인하여 백업서버는 화일 복사시 상당히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레이드 레벨 1이나 5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JBOD로 셋팅하면 디스크 1개가 고장나서 데이터를
잃어버리나 1이나 5로 셋팅시 고장이나면 데이터 전체를 잃어 버립니다.
     
제로콜라 2012-12
이런 방법도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이장원 2012-12
Git을 사용한다면 Github, Subversion을 사용한다면 Collab 서비스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사내에서 별도로 운용하는 것보다 낫습니다.
     
회원K 2012-12
github.com 유료 + windows client 쓰는데 아주 좋습니다.
가격대비 최고인 것 같아요.
          
제로콜라 2012-12
참고하겠습니다.
김상진 2012-12
관건은 과연 개발서버 성능과 용량을 어느정도로 잡을거냐?
가장 중요한 비용을 얼마정도 생각하냐겠죠

만일...
메모리용량을 좀 높게 생각하시거나(32기가 이상)
성능이 높아야 된다(이것저것 몽땅 띄워야 되고 속도도 빨라야되니 최소 8코어는 되어야 된다)
이렇다면...돈이 많이 들어가겠죠....
어짜피 저장장치야 RAID 컨트롤러에 HDD만 붙이면 되니 케이스와 파워만 받혀주면 별문제가 없으니....워크스테이션 선택항목에서 제외해도될듯하네요



그런데 저라면 그냥 새컴퓨터 하나 사서....적당한 RAID 컨트롤러+새하드를 붙이겠네요
더불어서 최소 하루에 1번이상 별도의 NAS나 백업서버로 백업을 받구요
거기에 초기 셋팅된걸 고스트나 TRUE IMAGE로 떠놓고, 복구할걸 고려해서 백업/복구까지 미리생각해놓죠...
아니면 VMWARE나 VIRTUAL BOX로 아예 APP/DB 서버들은 가상화를 해놓는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죠


어짜피 워크스테이션이라고 해봐야 일반 PC보다 안정성과 확장성(메모리,CPU같은)이 좀더 좋다는거지
고장이 없다는건 아니고, 중고라면 아무래도 사용한 시간이 있으니 새것보다는 고장날 확률이 높아지겠죠

더불어서 개발하다보면 개발서버의 H/W적인 장애보다는 사용자 장애(?)로 문제가 더많이 생기는거 같더군요
(사용자가 실수로 소스를 날리거나, DB 테이블을 날리거나, SVN을 예전버전으로 덮어버리거나, 공유폴더를 날리거나...등등)
     
제로콜라 2012-12
가상화라는 방법도 있군요.
제가 하드웨어쪽은 잘 모르는 편이라서요..
제일 먼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결제권자의 생각, 실 운용/관리자의 생각... 입니다.

자료 보호에 얼마나 투자를 할 것인가..
운용/관리에 얼마나 신경을 쓸 것인가..

최소한으로 잡자면 NAS에 각자 적당히 하는 것이겠고요.

중간정도로 잡자면 고용량 하드 두개 달아서 Raid0로 설정하거나 하나를 일일 백업하드로 운용하는 정도 되겠네요.

돈은 충분히 쓰겠지만 운용/관리자가 귀찮다면 벤더사 제품을..
적당한 돈과 운용/관리자가 노력을 한다면 슈마나 타이안같은 조립 제품 정도겠네요.

------------------------------

최신형 일반 PC... 라는 분류는 너무 포괄적입니다.
각 부품을 "일정 수준 이상의 제품으로 하는 조립 PC"라고 전제 한다면 저라면 구형 웍스대신 일반 PC를 선택하겠습니다.

다만...
OS는 Raid10 보다는 단일 디스크에 vhd 설치를 하거나 기본 OS에 Hyper-v나 VMWare같은 가상화를 해 놓는 것이 편합니다.
     
제로콜라 2012-12
"OS는 Raid10 보다는 단일 디스크에 vhd 설치를 하거나 기본 OS에 Hyper-v나 VMWare같은 가상화"
이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원한혁신 2012-12
...
댓글들 모두 정말 좋은 내용들이군요...  좋은 정보/팁TIP 입니다...
...
김상희 2012-12
글을 읽어보니 현 장비의 속도나 서비스의 문제보다 데이터 유실에 대한 불안감때문에 2cpu 분들께 조언을 구하시는 것 같습니다. 저는 2005년부터 이 부분에 대해서 고민을 한 것 같습니다. 실제 중간에 서버의 문제 혹은 팀원의 판단 미스로 데이터를 대규모로 잃어버린적도 있고 복구한적도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일한 프로젝트는 7년간 30명에서 300명 사이였습니다.)

제 생각에는 속도의 문제가 아니라면 사무실에서 쓸만한 조용한 서버를 중고로 하나 구매하시는것이 어떨까 합니다. 특히 RAID의 안정성 위주로 검색을 해보시면 좋을것 같구요, 다른 요소들은 딱히 문제될게 없을것 같습니다. (소규모시니까) 사실 좋은 사양의 PC들도 좋은 레이드카드만 달아주면 문제될게 없지만 불안감이 있으시다면 비용을 조금 더 사용하시는것도 좋죠.

만약 위 경우로 하신다면 현재 남아있는 PC는 백업용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아무리 서버가 좋은게 하나 있어도 생각지도 못할법한 문제들이 생깁니다. 새벽에 한 번 정도만 백업을 걸어놔도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데이터 유실되어 뼈절이게 느꼈습니다)

제가 몇 년간 본업 외에 이러한 일을 팀에서 하면서 느낀것은 (본업은 인티그레이션 엔지니어입니다) 하드웨어 구성의 문제보다 '문제가 났을때 어떻게 대처할것인가?' 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현 장비에 RAID 카드와 하드만 달거나 새로 장비를 하나 사시더라도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복구할건지는 리스트를 만들어서 한번 해보시고 운용하시면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예. RAID 5 구성했는데 이상이 생겼다면 이상은 어떻게 알아채나? 그러면 뭘 해줘야하나? 만약 메인보드가 문제가 있다면 이 때 RAID는 어떻게 되나? 백업은 어떻게 하고 리스토어는 어떻게 하나? 각 서비스 백업과 리스토어는?) 이러한 기준에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장비나 세팅을 구매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저라면 이렇게 할 것 같습니다. 한동안은 지금 사용하시는 장비로 그냥 쓰시면서 따로 장비를 하나 구매해서 위에 말씀드린 것들을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서 새 장비에 백업을 해보시구요, 이해가 다 가면 새 장비를 메인으로 하고 서비스와 데이터를 다 옮기구요. 그 다음에 옛날 장비를 백업장비로 사용하겠습니다. 쉬엄쉬엄 한 달 정도면 이 과정을 익히게 될 것 같은데요 팀원분들끼리 이 과정을 정리해놓으시면 나중에 긴급상황 (우려하시는 상황)이 생길때 상당히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제로콜라 2013-01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속도보다는 데이터의 안정적인 보관 및 테스트서버의 안정적인 유지(?)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김상희 2012-12
음... 그리고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개인적으로 VCS는 SVN보다 Git을 선호합니다. 다른 장단점을 떠나서 Git은 분산형이라 데이터 유실에 대한 걱정이 덜합니다. 시점의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매일 팀원들이 소스를 업데이트 한다면 팀원수 만큼의 백업본이 생기는거니까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팀원 전체의 컴퓨터가 한번에 고장나지 않는한 데이터는 비교적 안전합니다.

실제 회사에서 Git 호스팅 서버를 잘못 운용해서 하루 전 백업데이터를 운용중인 서버의 데이터에 엎어쓰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몇 백 명의 개발자가 올린 하루치 커밋들이 사라진거죠. 전형적인 인재입니다.) 이때 제가 복구를 했는데 서버 로그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에 업데이트 받은 사람 몇 명을 찾아서 서버에 해당 데이터를 올려주고 (git push) 사태가 종료되었죠. Git 같은 분산형이 아니라면 더 해결하기 어려웠을겁니다.

이러한 면에서 Git 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학습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좀 깁니다.)
     
제로콜라 2013-01
정말 많은 도움이 되는 말씀입니다.
제가 김상희님과 똑같은 고민과 과정을 밟을것 같습니다..


QnA
제목Page 3588/5730
2014-05   5266938   정은준1
2015-12   1791860   백메가
2019-06   3323   ArtsRommel
2020-09   5144   김황중
2015-01   11728   Geil
2016-03   6289   강한구
2019-07   2723   김동혁1
2013-08   6590   근원e
2013-08   10217   최수호입니다
2016-03   4539   앙몰리
2018-05   3830   우주고양이
2018-05   3842   행복하세
2010-11   7260   로그아웃
2016-03   4629   웃자웃자
2019-07   3992   메가날백
2023-11   3093   김효수
2013-09   5820   컴지기
2020-10   4809   GPGPU
2010-11   11006   방o효o문
2019-07   3222   휘벨로퍼
2016-03   4317   지존컴퓨터
2010-12   13667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