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에서 윈도우pc를 써야한다면

두리안   
   조회 7516   추천 0    

사무실에서 윈도우pc를 써야하는데요 ...
 
일반 브랜드사제품이 나을까요 ??
 
대당 50만원이내에서 맞춰줘야하는데..
 
일반브랜드 제품을 구매시 OS 라이센스 가 사무실에서 사용해도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라이센스에대한 개념이 조금 안잡히네요...
 
대부분 PC가 홈프리미엄 이던데 집에서만 사용이 가능한라이센스라는 말인가요 ?
 
그리고 윈도서버2008 라이센스는 구매를했는데요
 
순수미디어서버 기능문에 구매하였습니다
 
그런데 윈도라이센스 5CLT 이 클라이언트의개념이
 
윈도미디어서버 에 붙는 사람을 클라이언트로보는게아닌게 맞나요 ?
 
5명이면 답없거든요...
 
그리고 윈도미디어서버는 회선만따라 주고 서버만문제없다면 100명동접도 문제없을지궁금합니다.
 
제한은 따로 없는것이시죠 ?? 구매처에물어봐도 정확한대답을 안내놓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엘피 2013-01
소호 사업장이라면 홈프리미엄으로 크게 문제를 두지 않습니다만 소호 이상일 경우에 문제발생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애초에 가장 좋은 방법은 델에서 보스트로 저가형 모델을 구입하시는 것입니다. 부가세 포함 45~60만원대 금액에서 아이비브릿지 펜티엄/i3 수준의 CPU에 윈도우즈7 프로페셔널을 제공합니다.
영권 2013-01
홈프리미엄 과 프로페셔널의 차이는 기능상의 차이 일 뿐입니다.

물론 가격도 차이가 있지요

하지만 사용 장소에 구애받지는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홈프리미엄을 구매하셔도 관계 없다는 말이지요.

전 개인적으로 업무용  PC는 브랜드제품을 쓰는게 더 낫다고 보는 편입니다.

업무의 연속성 그게 전부 비용 아니겠습니까?
엘피 2013-01
서버 클라이언트 5명 동시접속이 맞습니다. 그러니 1000명을 붙이려면 1000명 라이센스만큼 지불해야 하는 것입니다.(동시접속 기준) 상업적인 용도라면 구매해야 함이 옳지만 사실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나중에 MS로부터 문제가 제기되면 그때 추가라이센스를 구매하셔도 되긴합니다.
     
우형재 2013-01
그럼 윈도 서버 에 붙는다는말씀이
저는 미디어서버 기능을 사용하는데 거기에 동시시청을하게되면

그게 5clt라는말씀이신가요 ? 그럼 그 이상되면 라이센스문제가 발생하겠네요..

그러면 죄송한데.. 현재 그 clt를 구매하지않더라도

윈도우서버2008 자체로는 5명이상 접속은 가능한것인가요 ?
          
AKs 2013-01
접속 자체는 하드웨어나 OS가 버티는 한도까지 가능합니다.
5Cal이라고 해서 그 이상 접속하면 접속이 안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벤트 로그에 라이센스 다썻다~~ 라고 한줄정도 남을 수 는 있습니다만, 이것도 쉽게 없앨 수 있습니다.
MS에서도 소규모 사업자는 정품구매해서 써 주기만 해도 거의 문제삼지 않습니다.
우형재 2013-01
감사합니다. 저도 브랜드pc가 괜찮다고 봅니다
머리도 안아플거같구요..근데 라이센스가 홈이 안될수도있다고해서요..

그냥 소규모학원하시는분입니다.. 가능하겠네요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3-01
100명 동접은 실제 서버 구축하고 돌려봐야 됩니다. (BMT)
어떤 크기의 화상을 어떤 방법으로 보내느냐에 따라 회선 트래픽이 많이 차이납니다.
만만한 일이 아니며 상당히 돈이 많이 드는 일입니다.
이지포토 2013-01
사무실에서 쓰실거면 그리고 님이 전산관리자였다면 벌금 안나오도록 잘 대비 하셔야 합니다.
전에 100명 규모의 회사에서 제가 전산관리자였을때 단속반떠서 벌금 1500만원 정도 얻어 맞았습니다.

경쟁업체 같은 규모의 회사는 3억원을 맞았다는 소문이..
걸리면 회사 문 닫아야 합니다.
라이센스 구매했던 내용, 메일로 주고 받은 내용, 사원들에게 구입외의 상용프로그램 설치를 금지하라고 노력했다는 증명(메일이면 메일 발송내역) 등 모두 다 제출해서 1500만원 맞았네요.

일본갔던 사장님왈: 잘했어~~
그런데 그러한 노력안했다면 전산관리자는 회사에서 퇴출당했을겁니다.
10년전 얘기네요.
개미늘보 2013-01
에전에 델컴퓨터를 구매하면서 OS 라이센스가 붙어서 나온적이 있습니다.
당시에는 전화 상담후에 구매가 이루어 졌습니다. 옵션 사항이 좀 있거든요.
당연히 회사에서 구매하였군요. 세금계산서도 발행하였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붙은 라이센스 태그는 홈 프리미엄이었습니다.
만약 이것이 인정이 된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델에서는 알고 있을 것이고....
그래서 역설적으로 문제가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비지니스버전의 OS를 사는 경우는 거의 없는 걸로 압니다. 있기는 하는 건가?
프로페셔널 버전을 사거나 엔터프라이즈 버전을 사거나 하죠.

전 문제가 되지 않는다에 한표입니다
AKs 2013-01
예전에는 사업장에서 홈버전 사용에 태클이 많이 있었습니다. 특히 노트북가지고 많이 딴지를 걸었지요..
7나오고 부터는 거의 인정하는 분위기라 크게 문제삼지 않습니다.
문제는 다른곳에 있는데요.. 서버버전의 Cal 개념을 좀 다르게 해석해서 밀어붙입니다.
MS도 그렇고, 오라클도 그런데..
전에는 [동시에 접속해 있는]이 기준이었다면, 지금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수]를 기준으로 잡습니다.
게다가, 전에는 미들웨어를 통해 접속하면 1Cal로 계산을 했는데, 요즘은 그것도 계산에 다 넣습니다.
예를 들어, 전에는 윈도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DB서버에 접속할 때.. 회사에 컴퓨터가 100대고, 동시접속하는 사람이 20명이라면 OS 20Cal과 DB 5Cal만 있으면 되었는데... 요즘은 OS와DB 모두 100Cal을 사든 아니면 CPU라이센스를 사라고 합니다.
실행비용 올라가서 미치겠습니다.
LovelyJubbly 2013-01
일반 적으로 홈라이센스는 집에서 쓰라고 만든거라 소호 사업자가 아닌 경우 라이센스 단속하면 계약 위반으로
걸립니다.

마소가 잘잘한 중소기업 컴퓨터를 일일이 단속하고 돌아다닐 정도로 한가하진 않지만
누군가 몇번 신고하면 찾아 갑니다.
보통 신고하는 사람들은 경쟁사이거나 회사의 전 직원이거나 하여튼 가깝던 사람 중 원한(?)을 가진 사람이 많이
합니다.
JK 2013-01
홈프리미엄이라도 회사에서 써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답변한 내용입니다.

http://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windows_7-windows_install/windows-7-home-premium%EC%9D%98/2b46f762-2e96-493c-9f47-c95c0a39df93?msgId=aac01939-949d-485b-b936-67bc4093758e
LovelyJubbly 2013-01
김진영님 답변 보고 찾아 보니 윈도우는 가능하고 오피스는 안되나 봅니다.

http://support.microsoft.com/gp/cp_cs_faq_master/ko#tab1
공팔이 2013-01
http://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ko/windowsserverko/thread/0a032c81-8fa1-4099-b014-11211e432d41

http://www.microsoft.com/korea/windows/windowsmedia/9series/server/version.aspx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D/0/6/D0693885-B1AB-441D-8A62-ED07B0033C4F/Windows_Server_2012_Licensing-Pricing_Datasheet.zip

저는 서버 라이센스가 유효한경우 웹서비스와 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CAL추가는 필요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관리를 위한 접근이나, AD서비스, 서버간 접근 등 기타 접근이 있을경우 기본CAL로는 부족할 수 있기에
잘 따져봐야 합니다.
우형재 2013-01
명쾌한답변들 정말 감사합니다.^^
조영민 2013-01
이번에 MS 실사에 대응하면서 얻은 결론은

Home 버전을 사업장에서 사용하여도 기본적으로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이전 버전의 윈도우 사용시
(7 Home 에디션 라이센스를 가지고 XP 홈 또는 프로 설치시)
라이센스 위반입니다.

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내부의 직원이 아닌 사용자가 윈도우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므로
EC(External Connector) 라이센스 구매하셔야 할 겁니다...


MS 라이센스가 절대 싼게 아니라는 걸 확실히 절감한 실사였습니다...


실사 결과는 이번에 몇 억단위로 뱉습니다...


QnA
제목Page 3575/5730
2014-05   5266381   정은준1
2015-12   1791299   백메가
2016-04   4520   Lucifer
2015-03   5110   이니스ii
2017-04   6772   Nikon
2016-05   7222   배병렬
2011-03   7214   김준유
2013-10   10310   행아범
2018-07   20214   어훕
2015-03   4696   이엘
2018-07   4345   Sikieiki
2015-03   4001   서울사람
2019-09   2582   준바이
2011-04   6348   데이비드
2022-06   9487   스무프
2011-04   12988   남성룡
2013-11   6941   song05
2011-05   6095   민병훈11
2011-05   10185   불무골
2015-03   11538   이문영
2016-05   4446   나파이강승훈
2017-04   7474   스플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