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992 |
0 |
2014-05
526799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993 |
25 |
2015-12
1792993
1 백메가
|
43151 |
마닉A/S 9100B 케이스에 대해서. (4) |
홍현철 |
2005-09 |
6019 |
27 |
2005-09
6019
1 홍현철
|
43150 |
[TX100 S3] sas 하드 사용하시는분들 계시나요? (2) |
강영식 |
2013-07 |
6019 |
0 |
2013-07
6019
1 강영식
|
43149 |
e5450과 라나450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14) |
배움을구하… |
2016-07 |
6019 |
0 |
2016-07
6019
1 배움을구하…
|
43148 |
안랩 장비 트러스트가드dpx 6000 임대 혹은 구입하려고 합니다. (4) |
블루러브 |
2014-08 |
6019 |
0 |
2014-08
6019
1 블루러브
|
43147 |
김치냉장고에 대해서 잘 아시는분? (1) |
홍현철 |
2007-12 |
6019 |
36 |
2007-12
6019
1 홍현철
|
43146 |
윈도우즈2000 서버환경에서의 한글입력기 (1) |
박찬혁 |
2006-03 |
6019 |
5 |
2006-03
6019
1 박찬혁
|
43145 |
윈도우 서버 2016은 그래픽 드라이버 지원이 안되나요? (3) |
Tulsa |
2018-06 |
6019 |
0 |
2018-06
6019
1 Tulsa
|
43144 |
모바일 cpu 4코어 리소스모니터링이 2코어로 표시되는게 맞나요? (5) |
마이코코 |
2013-03 |
6019 |
0 |
2013-03
6019
1 마이코코
|
43143 |
hiddenFax.... |
윤호용 |
2005-08 |
6019 |
69 |
2005-08
6019
1 윤호용
|
43142 |
"Critical Process Died" 이게 무슨 에러일까요? (1) |
인디고 |
2018-07 |
6019 |
0 |
2018-07
6019
1 인디고
|
43141 |
폭스콘 G31MX 개조 바이오스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2) |
하히휘헤 |
2015-03 |
6019 |
0 |
2015-03
6019
1 하히휘헤
|
43140 |
아이비 브릿지 H67 사용 관련 질문 2가지... (2) |
안형곤 |
2012-05 |
6019 |
0 |
2012-05
6019
1 안형곤
|
43139 |
부엌의 할로겐 램프 등이 나갔는데... (8) |
NeOpLE |
2017-03 |
6019 |
0 |
2017-03
6019
1 NeOpLE
|
43138 |
듀얼로의 입문.. 너무 기초적인 질문입니다. (3) |
김선명 |
2006-04 |
6019 |
2 |
2006-04
6019
1 김선명
|
43137 |
혹시? 일본 IBM NetVista M41(6844) BIOS화면.. (5) |
이현중 |
2012-01 |
6019 |
0 |
2012-01
6019
1 이현중
|
43136 |
고스트 네트워크로 백업시에 말이죠. (1) |
손견권 |
2008-12 |
6019 |
7 |
2008-12
6019
1 손견권
|
43135 |
Dell monitor 구매 관련 문의, (15) |
비비BB |
2020-06 |
6019 |
0 |
2020-06
6019
1 비비BB
|
43134 |
UEFI 설치하면.. (6) |
여주농민76 |
2017-02 |
6019 |
0 |
2017-02
6019
1 여주농민76
|
43133 |
콘덴서의 역할? 종류....그리고 혹시 삼화 콘덴서? 회사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미국… (3) |
서동국 |
2017-01 |
6019 |
0 |
2017-01
6019
1 서동국
|
43132 |
하드디스크 더 운용하는대 (9) |
방효문 |
2005-06 |
6020 |
12 |
2005-06
6020
1 방효문
|
보통 일반적인 레이드 카드는 저런 형태의 레이드 볼륨을 묶을 수 없습니다.
공유기는 어느 회사 제품을 사용하셨나요?
트래픽이 클때는 기업용 공유기를 생각해보세요.
www.mikrotik.co.kr 에 문의하여 보세요.
HW레이드를 묶은 다음에 OS상에서 묶어볼까 생각도 했었습니다.
공유기는 현재 IPTime을 쓰고 있습니다. 기가비트공유기와 허브로 사용중입니다.
OS에서 RAID는 비추하며, 지금과 같은 구성이라면 적극 말리고 싶습니다. 문제가 생겨서 복원을 시도할 때에도 다른 사람들 다 하는 평이한 구성이라야 답을 쉽게 얻을 수 있지(사실 별 답도 없습니다만..) 저런 구성은 답도 없습니다.
2번은 평이한 구성입니다만, RAID 0라는 부분이 문제가 됩니다. 회사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데이터가 안들어갈 수 없으니 0는 절대 사용치 마시기 바랍니다.
특별히 대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디스크 두개를 RAID 1으로 하시고, 별도 백업디스크 하나 두셔서 스케쥴 백업 하시는게 훨씬 이롭습니다. 대용량이 필요하면 RAID 5로 가셔야지요...
파일서버의 환경은 제시하신대로 하면 됩니다. 파일서버에 랜카드 3개는 단점이 아니라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근데 컴터가 몇대길래 네트웍이 엉망이 되신다는 거지요??
레이드 세팅에 관해서는 참고하겠습니다. 덧붙여서 하나 더 질문드리자면 4개의 HDD가 있다면
RAID 5와 RAID 10중에는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할까요?
그리고 파일서버에 랜카드가 많은게 장점이 될 것이라고는 생각못했습니다.
여건상 예전에 쓰던 보드(그래도 인텔 775소켓으로 세팅중입니다.)를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구축하는것이라서 레이드 카드를 비롯한 여러개의 카드가 꽂히는게 단점이 될거라는 생각이 설핏 들었습니다.
복구 직전까지의 네트워크 구성은 168.10대역의 공유기에 스위칭 허브 4개가 물려 있었고 허브마다 갯수는 다르지만 컴퓨터 댓수는 총 50대 정도에 VOIP전화기가 30대 가량 물려 있었습니다.
공유기가 ipTime Q504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네트워크 트래픽이 엄청나게 뛰는 경우가 생겨 핑테스트를 해봤더니 10.1 로 보낸 핑이 3,000ms 주변에서 자꾸 왔다갔다 하더군요. 결국 외부 핑은 타임아웃이 뜨는 상황.
공유기도 바꿔보고, 피씨들도 OS재설치를 해가면서 확인해봤지만 특별히 변하는게 없어서
어디선가 루핑이 도는건가 싶어 랜선을 전부 검사해 루핑을 하나 제거했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또 튀었습니다.
그래서 공유기를 추가로 세팅해보니 안정화가 됐길래 일단은 그냥 저냥 쓰고 있습니다.
레이드 카드는 보통 8체널이 기본입니다.
하드 4개로 한개의 큰 볼륨을 생각하면 레이드 5입니다.
그러나 레이드 5는 쓰기가 레이드 10보다는 느립니다.
그리고 빠르게 하려면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여야 합니다.
(가격이 문제가 될 것입니다.)
그외에 같은 스토리지를 2대 만들어서 한대를 백업으로 사용하세요.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가 카피만 되어 있어도 우선 복구는 가능하니까요.
하나는 영상 편집용으로, 하나는 데이터 보관용으로 구성할까 계획중입니다.
박문형님 조언을 참고해서 서버 자체를 2개로 나누고 서버당 1TB로 구성해서
차후에 확장 할 준비를 하는 것도 고려중입니다.
대략 예상해 본다면 내부 네트워크상에서 트래픽이 발생한다면 일단 좋은 스위치를 두시는것이 먼저일듯 싶습니다.
2.현재 주고 받는 파일사이즈가 크다고 하셨으니 당연히 구성하는 파일 서버는 IO가 상당히 빨라야 합니다.
컴퓨터 끼리 1대1로 주고 받는 환경에서 한쪽(파일서버)으로 데이터가 집중이 되면 오히려 현재보다 더 상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3. 먼저 내부 트래픽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스위치 상에서 각 포트별로 발생하는 트래픽을 모니터링 하신 다음에
네트워크 단의 병목현상을 제거하시는것이 먼저고 그 다음이 스토리지구성일 듯 합니다.
10대의 PC간에는 기가비트 공유기와 기가비트 허브, Cat6.케이블을 설치해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기가비트 공유기는 L2에 바로 물려 있고, 라이브 스트리밍 PC 또한 기가비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2. 파일 서버에는 기가비트 랜카드를 별도로 설치해서 10대 PC간에는 기가비트 전송을, 기타 PC들 간에는 100Mbps 전송을 생각중입니다.
파일 서버가 L2에 바로 연결되고, 해당 랜카드에 저희가 할당받은 고정아이피를 입력하면 내부/외부에서 항상 사용가능한 서버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준비중입니다.
3. 내부 트래픽을 일정 부분 해소 했습니다. 다만 간간히 뜨는 리퀘스트 타임아웃 탓에 인터넷이 1~5초정도 딜레이 되는 현상이 짧으면 1시간, 길면 몇시간 만에 한번 정도 뜹니다. 일단은 예전보다 많이 나아진 터라 계속 쓰고는 있습니다. 행여나 불발탄처럼 언제 또 터질지 몰라 조금 걱정은 됩니다.
그래서 하나 더 여쭙고 싶습니다. 공유기의 경우에는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서 트래픽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스위칭 허브의 경우에도 그런 것이 가능한 건가요?? 현재 넷기어와 아이피 타임의 허브를 사용중입니다.
그것만 가능하다면 아마 네트워크를 빠르게 안정화 시킬 수 있을것 같아서 말입니다.
VLAN으로 쪼개는게 제일 좋습니다만.... 돈이 들어가야 하니 Pass...
지금의 문제는 공유기가 백본 스위치 역할을 하고 있는 구성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네트웍 전체의 트래픽을 싸구려 공유기 한대가 모두 감당을 해야 되니 제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것이지요..
쓸만한 스위치(매니지먼트면 좋겠지만...) 하나를 중간에 두시고, 아래로 현재 사용하는 스위치 들을 두시는게 맞는 구성입니다. 새로 사실 필요까지는 없고 현재 있는것 중에서 제일 성능좋은걸 고르세요.
즉..
인터넷----공유기----백본스위치----스위치1
|
----스위치2
|
----스위치3
의 구성으로 변경하시면 별 무리없이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현재 사용중인신 공유기(Q504)는 가정용이므로 기업용으로 바꾸시면 편안해지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그런데 지금 쓰고있는 스위칭허브와 백본 스위치는 다른 용도인 건가요??
처리용량이 커야 하고 작으면 L2를 커지면 L3나 L4스윗치까지 사용합니다.
트래픽 양을 알려면 메니지먼트가 되는 허브를 구해야 합니다.
넷기어 게임방전용 GS724T-300을 추천합니다.
100매가라도 관계가 없다면 중고 HP허브가 있습니다.
HP Procurve 4000M 100매가 포트 꽉 채운 것이나 100매가 꽉 채우고 기가 포트 하나 달린 것 구하시면
편할 것입니다.
중고시세가 약 20만원 가량입니다. 다나와 중고장터 찾아보세요.
L3 스윗치라 세팅이 복잡하지만 셋팅 다지우고 디폴트로 사용하면 될 것입니다.
공유기는 국내 IPTIME밖에 없겠지만 가정용인지라 2년 정도 쓰면 죽습니다.
기업용 공유기는 가격이 상당한데요 그나마 Mikrotik 이 이거저거 라이센스 따져보면
저렴합니다.
문제는 Mikrotik는 네트워크에서는 거의 만능이나 그만큼 메뉴가 어렵습니다.
Mikrotik X86용 라이센스 구매해서 PC에 설치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노가다 짓 좀 마니해야 합니다.)
재일 밑의 것이 HP허브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hardware_2011&wr_id=2155&page=3
미크로틱 라우터 만들겠다고 만들어 본 장난감
지금 쓸때가 없어서 셋팅후 잠자는 중
그런데 아무래도 저희 여건이 여건이다 보니 제품들 가격이 대부분 후덜덜 하네요.
담당자와 한번 이야기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만... 아무래도 지금은 괜찮으니 넘어가자 할 분위기긴 합니다.
Mikrotik을 네이버에 잠시 검색해보니 라우팅OS라는 것이네요.
일반적인 공유기가 아이피 할당해 주듯이 OS를 설치한 서버같은 것이 아이피를 할당해주는 용도인 것인가요?
그렇다면 현재 저희가 사용중인 여러대의 공유기를 이 라우터 한대로 통합해서 쓸수도 있는 건가요?
지금처럼 아이피 대역폭을 나눠 사용하는 경우라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제가 듣기로는 기가비트 파일전송을 위해선 허브 뿐만 아니라
라우터도 기가비트를 지원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말 그런가요?
단순히 PC대 PC간의 파일 공유가 목적인데도 그런지 궁금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기가비트 공유기가 어느 정도 기본입니다.
L3 스읫치 기능이 라우팅이라고 하지요.
물론 미크로틱에는 기가비트 라우터가 가정용 기업용 다 있습니다.
재일 성능 좋은 놈이 IDC 백본용으로 5G 정도는 버티리라 생각됩니다.
미크로틱 제조사 홈피는
www.mikroti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