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구성도 만들어봤는데.. 어떤게 효과적일지...

   조회 5990   추천 0    

일단 몇대의 PC가 있다는 가정입니다..
 
1번의 가정은 서버에서 PC1, 2, ... 등등의 개인적 폴더와 공용 폴더를 제공하고
 
PC의 개인적 폴더는 모두 서버에서 불러들이고 저장됩니다.
 
서버에 설정된 폴더의 내용이 갱신되면 2차 HDD에 백업하게 됩니다.
 
장점이라면 서버에서 모든 데이터를 관리 하니.. 관리의 용의성? 정도가 될듯 하구요....
 
단점은... 서버가 혹 사용 불능 상태라면 모든게 마비(?) 될수도 있겠죠..
 
2번의 가정은 개인 데이터는 각 PC 1.. 2.. 3... 에 넣어두고..
 
설정된 폴더의 내용이 갱신되면 서버에서 실시간 동기화 하여 2차 HDD에 백업하며
 
공용 폴도의 내용이 갱신되면 2차 HDD에 백업하는 방법..
 
장점이라면.. 기본 업무적 파일을 PC에서 소유하기에 서버가 죽더라도 어느정도 커버는 가능함
 
단점... 중복된 자료를 한번에 파악하기 어려움...
 
-----------------------------------------------------------------------------------------
 
오늘 오전까지 1번 내용으로만 생각하고 있다가
 
동기화 백업 프로그램을 검색하는중 버뜩 드는 생각이 2번의 방식이라...
 
어떤게 더 효과적인것 인지.. 경험자의 조언이 필요할듯 합니다..
 
마우스로 그렸으나 발로 그린것 처럼 나온 이미지도 첨부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딸기베리 2013-02
저는 비슷한 개념인지 모르겠으나
VHD 파일을 만들어 노트북과 데스크탑의 파일 을 Robocopy 로 증분 복사 하고 나서
VHD 만 다시 백업 시켜두고 있습니다.
VHD 를 날짜별로 생성하면 더 간단해질수도 있지 않을까요?
     
성투불패 2013-02
VHD 이용이라면.. 쉽게 말해 PC1..2...3.. 등의 각 PC의 데이터를 이미지를 백업본으로 만들어 두었다가 문제 발생시 그 PC는 이미지 복원으로 복구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음~~ 가장 안정적인 가설이긴 한데... 스토리지 값이 무서울듯 한데요...
박성만 2013-02
active directory 사용하셔서 dfs로 하시면 간단할 듯 한데요


QnA
제목Page 3485/5731
2015-12   1793578   백메가
2014-05   5268550   정은준1
2021-06   3981   쿠팡이
2024-09   1185   SugarCube
2021-06   3624   디셈버
2014-04   3958   무아
2016-09   5316   김건우
2023-02   4417   박문형
2021-06   2381   일개미lv1
2023-02   5330   LevinF
2009-02   5903   유금아
2014-04   4173   교정기공사
2023-02   1844   막울었어요
2021-06   2858   무쏘뿔처럼
2016-09   4647   guzzi
2009-03   5890   이창준
2016-09   4826   이상규
2009-03   9187   김현웅
2012-06   7634   이진수
2019-01   2884   jang
2021-07   5399   leesh2143
2012-06   6065   가빠로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