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757 |
25 |
2015-12
179375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752 |
0 |
2014-05
5268752
1 정은준1
|
43659 |
레트로파이에 마메롱 설치는 어느 위치에 하는지용? (7) |
쌍cpu |
2018-10 |
14447 |
0 |
2018-10
14447
1 쌍cpu
|
43658 |
usb 차단 해놓은거 잘 빼는 노하우??좀 부탁드립니다!! (35) |
Wnahd |
2022-10 |
2286 |
0 |
2022-10
2286
1 Wnahd
|
43657 |
IP 못찾는 문제.(라우팅 테이블 경로 문제같은데요...) (13) |
폴라리스 |
2015-06 |
5503 |
0 |
2015-06
5503
1 폴라리스
|
43656 |
집에서 이미지 서버 운영 해볼려고 합니다.. (3) |
서기 |
2014-02 |
21199 |
0 |
2014-02
21199
1 서기
|
43655 |
dell 의 모바일 웍스에 관하여 (2) |
미친곰 |
2016-07 |
4542 |
0 |
2016-07
4542
1 미친곰
|
43654 |
이부품들 이름을 찾고있습니다 (10) |
송현우 |
2014-02 |
7854 |
0 |
2014-02
7854
1 송현우
|
43653 |
윈도우 ReFS 볼륨 사용 용량, 여유 용량이 이상합니다. (2) |
네쓰트 |
2022-10 |
2013 |
0 |
2022-10
2013
1 네쓰트
|
43652 |
Z420 그래픽 카드 2개 장착 질문드립니다. (3) |
SkyBase |
2016-07 |
5153 |
0 |
2016-07
5153
1 SkyBase
|
43651 |
시놀로지 나스에서 직링크 가능할까요? (7) |
니포 |
2022-11 |
2248 |
0 |
2022-11
2248
1 니포
|
43650 |
How to Find the Mac Address of computer (4) |
13579 |
2014-02 |
4753 |
0 |
2014-02
4753
1 13579
|
43649 |
microserver gen8 최신 바이오스 있으시면 부탁 드립니다...^^ (3) |
anh |
2016-07 |
4185 |
0 |
2016-07
4185
1 anh
|
43648 |
리눅스 퍼미션 문의드립니다. (5) |
임종열 |
2014-02 |
6446 |
0 |
2014-02
6446
1 임종열
|
43647 |
[ 듀얼 모니터 암 추천 ] 부탁 드립니다. (3) |
전설속의미… |
2015-06 |
7943 |
0 |
2015-06
7943
1 전설속의미…
|
43646 |
도와주세요 선생님들 (8) |
호롱로 |
2019-12 |
3448 |
0 |
2019-12
3448
1 호롱로
|
43645 |
AI 소프트웨어 언느정도 까지 왔나요? (3) |
불멸의샌디… |
2024-06 |
1865 |
0 |
2024-06
1865
1 불멸의샌디…
|
43644 |
HP T630 Thin Client 윈도우10 Iot 비밀번호 (12) |
DAP박인호 |
2022-11 |
2409 |
0 |
2022-11
2409
1 DAP박인호
|
43643 |
와이파이 방해하는 장비도 있나요? (17) |
인생여전 |
2014-02 |
59392 |
0 |
2014-02
59392
1 인생여전
|
43642 |
요즘도 구형 프린터케이블, 외장 스카시케이블 등...쓰시는분 계시나요? (2) |
김건우 |
2016-07 |
3467 |
0 |
2016-07
3467
1 김건우
|
43641 |
저번에 분양 받은 ASUS C3V 보드 질문입니다. (3) |
방o효o문 |
2011-12 |
6079 |
0 |
2011-12
6079
1 방o효o문
|
43640 |
외장하드 안전 제거(분리) 시 질문입니다.. (2개 묶임 현상) (7) |
회원 |
2022-11 |
1738 |
0 |
2022-11
1738
1 회원
|
말씀하신대로 가격이 너무 고가입니다.
급하게 진행하는 것이라면 정부 보조금을 한번 알아보세요.
ESCO 자금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저리 융자)
LED는 직류로 켜야해서 컨버터가 들어가는데 이게 수명이 짧은 저가제품이 많습니다.
LED자체는 반영구적인데 이게 잘 고장나죠..
개인적으로 LED 조명은 비춥니다..
Light Diffusion Plate(광확산판) 을 채용하는 것이
조명등으로는 나아 보입니다.(면광원)
저는 PL등 기구에 LED바와 SMPS 아답터를 이용해 자작했는데
색온도가 너무 높아 LED바 교체시 황색과 좀 섞을려고 하는데
수명이 길어 아직 먼 미래일이 될 것 같습니다.
(좀더 정확히 얘기하면 LED가 허용하는 전류의 90%이상의 전류로 켜는 것과 50%전류로 2개를 켜는 것과 비교하면)
두번째 방법이 더 효율적이고 열도 적게 납니다.
자료 예를 들면
http://www.wayjun.com/Datasheet/Led/3W%20High%20Power%20LED.pdf
스팩시트에서 Forword Current에 따른 밝기 그래프가 있을 겁니다.
그래프가 처음에는 선형으로 증가하다가 점점 기울기가 완만해집니다.
LED를 한계상황까지 끌여올려 쓴다면 밝게는 할 수있지만 전류손실(전부 열로 바뀌겠죠)도 커지고 수명도 짧아집니다.
보통 LED등의 경우 까보면 안에 LED 숫자가 몇개 안됩니다.
제대로 열손실도 줄이고 눈부심도 없앨려면 LED 많이 박고 LED에 전류를 적게 흘려주는게 좋은데
LED가격이 제조업체 입장에서 대량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보면 그렇게 비싸지도 않을텐데... 그 가격보다 유통마진으로 남겨먹는 것이 더 많을텐데...
LED 제품로 교체 하였습니다.
1.열은 조금 있는 편이지만 높진 않습니다. 하루종일 켜도 따따 미지근 합니다. 백열구나 형광등에 비하면 없다고
보셔도 무방한 편입니다.
2. 넓게 퍼지는 제품이 따로 있습니다. 예를 들면
http://ec2.images-amazon.com/images/I/51MqELajgcL.jpg
이런 제품이 있습니다.
3. 컨버터 내장된 제품으로 하시면 문제 없을 듯 합니다.
4.연색성이 LED가 다른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월등히 좋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수명도 다른 것에 비해 오래 가고 휘도도 높습니다.
5. 전기세 같은 밝기로 다른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서 비교도 안될 정도로 적게 먹습니다.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제가 1~2년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1. 직진성이 강해서 직접 보면 너무 눈부십니다.
2. 용도에 따라 크기랑 모양이 다른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냥 저렴한 것 구입하면 대부분 전구 아래만 엄청 밝습니다. 넓은 장소는 퍼지는 모양을 사용해야 합니다.
3. 초기 투자비가 비쌉니다. 보통 전구한개 8~9천원 하는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생각할때 초기 투자비가 좀 들지만 전구 많거나 오래 키는 곳이면 1년 이내에 본전 뽑는다 생각합니다.
이전 최고 사양 제품이 100 lpw 입니다. (XM-L)
만약 제조 업체가 XM-L 같은 최고급 칩을 써서 만들고 AC2DC 회로도 95% 이상의 고효율로 사용 했다면 전기세 절감 정도의 효과는 있겠습니다만, 제조 업체가 최고급 라인 LED 를 수입해서 사용 했다면, 가격이 엄청 뛸겁니다.
고만고만한 가격대를 본다면, 결국 중국 내지는 국산의 저~중 효율 LED를 썼다는 이야기 밖에 안되죠.
게다가 문제는, 기존 막대형 형광등이 100 lpw 기록한지가 오래라는 점 입니다.
전기 요금 절감의 목적으로 형광등을 교체하는건 아직 시기상조 입니다.
아 거기다가... 백색 LED 들은 청색 LED 에 인광물질 씌운거라죠....
그래서 효율 좋은건 쿨화이트 계열이고 자연광에 가까워지면 효율은 더 떨어집니다.
에너지 효율은 여기 보시면 아시겠지만 LED의 효율이 결코 형광등에 비해 낮지 않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Luminous_efficacy
직관형 형광등은 효율이 높은 편이지만 그외 제품들은 요즘 많이 나오는 8~9달러 led에 비해 떨어 집니다.
그리고 형광등의 큰 문제가 초기 전원 인가시 전력소모가 극심합니다.
직관형 형광등이라도 효율이 저가형(만원 근처) LED랑 비슷할 뿐이지 높진 않습니다.
물론 형광등이라도 비싼 제품 중에서는 고효율 제품이 있습니다만 그 가격에서는 LED대비 가격대 성능비가
절대 떨어진다 생각합니다.
국내에서 판매중인 LED들이 중소기업 육성정책 이런 것때문에 대기업 제품이 없어 살만한 제품이 좀 없는 것
같습니다만...(해외에 판매 되는 삼성 제품 중에는 괜찮은 것 많습니다.)
찾아 보시면 괜찮은 제품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일본쪽 보시면 요즘 저가형(만원 이하) 제품들도 대부분 최소 75ml/w는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저가형도 80ml 이상 제품들이 많습니다. 파나소니 800엔(약 9000원)짜리 제품은 80ml/w 이상입니다.
중가형 2만원 정도의 제품들은 90~100ml/w되는 것 같습니다.
국내에서도 서울 반도체 제품이랑 삼성LED 제품은 괜찮은 제품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거실 같이 한번 켜면 오래사용 하는 곳에 달린 직관형 형광등을 무조건 교체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화장실같이 자주 껐다 켰다하는 곳이면 무조건 LED로 교체할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외에도 아이들 방등과 같이 공부할때 켜고 밥먹으러 올때 끄고 텔레비 보러올때 끄고해서 2~3시간 마다
껐다 켰다 하는 곳도 LED로 교체할 충분할 이유가 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