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 (Wake-On-LAN)이 운영체제와 상관이 있나요?

   조회 9815   추천 0    

안녕하세요.
 
말로만 듣다가 실제로 한번도 써보지 않았던 기능이라 헤매고 있네요.
 
보통 마더보드의 바이오스에서 WOL 기능을 enable 시키고, 해당 컴퓨터로 매직패킷을 보내면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는 거 아닌가요?
 
어떤 OS가 설치되어 있던, 설사 HDD나 CPU가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전원은 켜지는게 맞지 않는지요?
 
아니면 WOL 기능이 안정적이지 않고 동작이 불안해서 안 켜지는 걸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한원준 2013-05
메직패킷은 로컬네트웍에서만입니다. wol은 하드웨어레벨이라 os 와 관련없지요. 그냥 전원켜는 겁니다.
박동선 2013-05
그렇군요...그럼되어야 할 것 같은데...

공유기를 통해서 WOL 기능을 시험하고 있는데,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 3대 중 되는게 한대도 없네요.
     
노리 2013-05
공유기의 wol의 기능을 쓰셔도 되고
단독 프로그램으로도 제어 가능합니다.

매직패킷으로 검색하세요.

되는게 하나도 없는건 컴터 셋팅이 잘못 된것으로 판단 됩니다.
노리 2013-05
로칼의 개념이 애매한데....
로칼이란 리얼ip도 포함됩니다.

공유기 사용중이신경우는
dmg혹은 포트 포워딩 활성화로
외부에서도 컴터 키실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 위에서 말씀해주신대로 메인보드에서 enable로 설정 해주셔야합니다.
     
ophtha 2013-05
공유기의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사용하시면 외부에서 보낸 매직 패킷을 통과시켜서 WOL을 사용하실 수 있으나 공유기 하단에 물린 모든 기기로 동시에 신호가 가게 되므로 모든 컴퓨터가 동시에 켜지게 됩니다. 물론 컴퓨터가 한대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문제가 없겠죠. iptime 같은 경우는 공유기 메뉴에 등록된 맥어드레스로 매직 패킷을 보내는 기능이 있으므로 특정 기기만 켜는게 가능하지만 미국에서 판매되는 넷기어 등의 공유기는 보안상 문제로 정식 펌웨어에는 WOL 기능이 탑재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DD-WRT 등의 핵펌을 사용해야만 WOL 기능이 가능해집니다.
          
노리 2013-05
super DMZ는 한대로만 가지 않나요?
저도 평상시 4대가 유선으로 물려있으나
이론과는 다르게 실제는 한대만 패킷이 가는지
다른컴은 켜지지 않더군요

이런게
이론과 실제의 차이 아닐까요?

하드웨어의 문외한이다보니
매번 편법으로만 문제점을 해결점을 드리는점 양해바랍니다.
               
ophtha 2013-05
DMZ라면 그럴 수도 있겠군요...
저는 보안 문제때문에 DMZ는 안쓰는지라 거기까지는 생각 못했네요.^^
ophtha 2013-05
인텔랜은 윈도우 운영체제상에서 WOL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말을 들은 것 같습니다.

최근에 나오는 HP웍 같은 경우에는 바이오스 설정을 만져주셔야 합니다.

전에 제가 올린 글을 링크해드립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_2011&wr_id=51957&sca=&sfl=wr_name%2C1&stx=%EC%9D%B4%EC%A2%85%ED%98%84&sop=and
     
노리 2013-05
전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완전 차단할경우 이런경우가 생기는듯 합니다.
즉... 시작누르고 컴터 종료버튼 누르면 그 담부터 wol기능 않먹힙니다.

완전차단 않하는 편법은...
셧다운 도스 명령어로 컴터 끄시면......
해결이 되긴 합니다.

말씀드린대로...
이건 편법이고..
인텔렌뿐만이 아닌 다른 렌들도 마찮가지라 판단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기능을 잡아주는것이 정석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딸기대장 2017-05
왠만하면 윈도우 내장 랜드라이버 보다는 해당 랜카드 메이커에서 배포하는 랜카드 드라이버가 WOL를 잘 지원해주는 것 같애요.
죽어도 안되면 메이커배포 랜카드 드라이버를 한번 사용해보세요.


QnA
제목Page 3514/5727
2015-12   1779938   백메가
2014-05   5255006   정은준1
2021-03   5011   집구석
2022-11   2090   오목눈이
2022-11   3128   화란
2019-12   3067   책갈량
2018-10   3919   전진
2024-07   2043   Sgtsteam
2015-07   3489   제라툴
2022-11   1867   새총
2015-07   5584   siteop
2021-03   3655   츄미아
2012-01   6284   윤치열
2022-11   6391   블랙
2015-07   4685   슬루프
2016-08   4135   AplPEC
2018-11   3321   엠브리오
2024-07   2315   소이치로
2012-01   6254   시나브로
2015-07   4494   정상백
2016-08   4759   하셀호프
2018-11   2893   컴맹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