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318 |
0 |
2014-05
526731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277 |
25 |
2015-12
1792277
1 백메가
|
44539 |
usb메모리만 꽂으면 이런 창이뜹니다. (3) |
장동건2014 |
2009-08 |
6658 |
0 |
2009-08
6658
1 장동건2014
|
44538 |
서피스 프로10 |
미담 |
02-18 |
466 |
0 |
02-18
466
1 미담
|
44537 |
부팅시 모니터가 중간에 꺼져버리는 현상 (5) |
신왕자 |
2009-08 |
7170 |
0 |
2009-08
7170
1 신왕자
|
44536 |
윈도에서 기존에 네트워크카드정보는 어떻게 삭제하나요? (8) |
김상일 |
2014-07 |
4840 |
0 |
2014-07
4840
1 김상일
|
44535 |
4k? 4000k? (9) |
witbox |
2016-10 |
8228 |
0 |
2016-10
8228
1 witbox
|
44534 |
비추는 어디갔나요 ? (7) |
삐돌이슬픔이 |
2019-02 |
2319 |
0 |
2019-02
2319
1 삐돌이슬픔이
|
44533 |
인텔 w2600cr2 워크스테이션 마더보드 (2) |
앤드유저 |
2016-10 |
4196 |
0 |
2016-10
4196
1 앤드유저
|
44532 |
제목이 어중간합니다.(ESXi 관련) (4) |
나라사랑 |
2017-12 |
5203 |
0 |
2017-12
5203
1 나라사랑
|
44531 |
NVLink 관련 문의드립니다 (2) |
NUXE |
2023-04 |
2119 |
0 |
2023-04
2119
1 NUXE
|
44530 |
Windows defender의 성능 (6) |
차평석 |
2015-11 |
8603 |
0 |
2015-11
8603
1 차평석
|
44529 |
X10DRL-i 메인보드 (6) |
젠서버 |
2023-04 |
3511 |
0 |
2023-04
3511
1 젠서버
|
44528 |
인터넷 속도가 너무 느리네요 (10) |
KurTurCho |
2020-04 |
3097 |
0 |
2020-04
3097
1 KurTurCho
|
44527 |
내일 강원도 속초갈일이 있는데요? (6) |
윤치열 |
2012-11 |
5436 |
0 |
2012-11
5436
1 윤치열
|
44526 |
[ VMware ] 맥에서 PowerCLI를 사용이 가능한지요 ? (4) |
전설속의미… |
2016-11 |
4831 |
0 |
2016-11
4831
1 전설속의미…
|
44525 |
ML110 G7 모니터 해상도 및 윈도우7 드라이버 관련 문의 (4) |
회로쟁이 |
2015-11 |
4821 |
0 |
2015-11
4821
1 회로쟁이
|
44524 |
[문의] 간단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10) |
김민성 |
2016-11 |
5218 |
0 |
2016-11
5218
1 김민성
|
44523 |
ESXi 5.1 에 XPENology 설치시에 (18) |
테돌아이 |
2014-08 |
5220 |
0 |
2014-08
5220
1 테돌아이
|
44522 |
m-atx 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로그아웃 |
2012-12 |
4909 |
0 |
2012-12
4909
1 로그아웃
|
44521 |
이것은 어떤 으미인가요? (4) |
테돌아이 |
2014-08 |
15299 |
0 |
2014-08
15299
1 테돌아이
|
44520 |
비디오 카드 비교 질문 드립니다 (7) |
전진 |
2021-09 |
2297 |
0 |
2021-09
2297
1 전진
|
랙에 들어가게끔 프레임만 절곡해서 택배로 받으면 되는거고.
멀티 레일로 설계되어 있어서 실제 12V 출력은 그보다 적을 겁니다.
그리고 파워를 단순히 병렬 연결하면...
역류가 생겨 여기에 다이오드까지 박아야 된다고 듣었습니다...
때문에 보통 SMPS로 고용량으로 만들 때
저전압으로 직렬연결로 제작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노트북 한대가 문제가 생겨도 다른 노트북은 잘 돌아가 주어야 합니다.
역시 가격측면에서는 일반 아답터가 훨신 저렴하죠.
http://www.interpark.com/product/MallDisplay.do?_method=detail&sc.shopNo=0000100000&firpg=01&sc.prdNo=294320408&sc.dispNo=016001&sc.dispNo=016001
여튼 필요하신 제품을 구매하시기 전에 차라리 의뢰를 하시는 것은 어떤지요?
열이 발생하는 많큼 다 날아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평균적으로 여러개 다는 것 보다 하나만 설치 하는 게 열도 덜나고 전기도 덜 먹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 CCTV 컨넥트 작업때문에 12v 컨넥트 여러개 달수 있는 SMPS 몇개 제작해 본적 있는데 돈만 지불하면
껍데기는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해 줬습니다만 가격이 좀 비쌌습니다.
노트북 아답터 하나가 80W라는 것은 충전과 동시에 최대부하가 걸려도 80w를 넘지는 않을것이고,
충전은 항상 이루어지는것이 아니고, CPU와 HDD가 동시에 풀로드가 걸리는 경우도 항상은 아닐겁니다.
더구나 집합형 컴퓨터라면 노트북의 LCD도 켜놓지 않아도 될 것이고요..
그러면 20대라고 해봐야 평균적으로는 1KW정도뿐이 안될겁니다.
그러니 전기세보다는 초기투자비용을 고려하시는것이 좋겠네요.
김용민님이 알려주신 저런장비의 경우 관리는 편하겠지만, 비용이 꽤 비싸네요..
저도 며칠전 친구네집 CCTV 설치하느라 0.5A 아답터 8개가 필요한 상황이었는데,, 2A짜리 2개랑 1대4젠더 2개로 해결했네요. 0.5A짜리가 8000원이었는데 2A짜리도 12000원이더라고요. 1대4케이블도 1~2천원정도 밖에 안했고요.
그러니 적당히 절충해서 80W짜리 아답터를 사용하던 노트북이라면 200~300W짜리에다가 3~4대정도를 물리는게 가격적으로 저렴해 보이네요..
이런 제품이 있습니다.
참고해보새요.
왜냐면 전압 변동율이나 리플 전압 등이 피씨 규격에 맞지 않아서 피씨가 갑자기 리부팅되거나 블루스크린을 종종 보실수 있습니다.
저는 전기공학을 전공했는데요
전에 제가 만들어 본 전원이 일반 출력 좋은 파워에 12v를 나눠서 dc/dc로 빼서 여러 pc를 구동하게 만들었습니다
이와 유사한 것이 예전에 그린 피씨라고 피씨방에서 랙에 컴박아넣고 dc로 구현하는 것이 있었는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이런 것이 가능하구요 단순히 12v전원을 분기 시키는 것으로 해결이 안됩니다.
왜냐면 전압 강하나 리플 전압이라는 것이 있어서 전원부에 상당한 무리를 주어서 고장을 일으킵니다.
또 빈번히 파워가 죽거나 다른 클라이언트에 전원 영향을 주어서 다운 시킵니다.
해결 방법이 없지는 않습니다만... 아답타를 20개 사용하는 좀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야 더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자게에 몇번 올렷던 내용인데요. Intel Next Unit of Computing 이란 저전력 모델을 24대 집적해서 3U정도 공간으로 만들려는 것입니다. 그렇다 보니 필요한게 장착용 핫스왑 백패널과 전용 파워서플라이 전용 랙 및 24대를 커버할 기가비트 스위치가 한세트가 됩니다.lan,전원 을 통합 연결할 백패널 등pcb 파트는 경험많은 동창 녀석이 맡기로 했고 샤시는 기성품을 변형할지 제작을 할지 아직 스펙이 정확하지 않아 고민중이고.. 결국 미리 준비해볼 부분이 파워부분이라 고려중입니다.
대상으로 생각하는 장비는 i5에 램 16기가 ssd 32~64기가 정도구요.. 동일 시리즈의 i3 제품의 경우 피크 소비전력이 30와트를 안넘습니다. 그래서 맥스 50와트 보고 24대 면 맥스를 1.2키로와트로 보면 충분할거라 지레짐작 하는 정도구요..
모두 풀로드는 아닌것을 감안해서 24+1포트 스위치까지 동일 파워에서 해결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중입니다.
외부에서 보이는 포트는 통합 전원선 2개(리던던트일 경우) 와 광이나 이더넷포트 한개, status led 정도만 보이게 할 생각입니다. 물론 김대원님이나 정의석 님의 의견처럼..150와트인 정품 벽돌 파워서플라이 24개를 후면에 실장해서 단순 연결하는것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케이블 가공만 잘하면 더 저렴해질수도 있으니까요. 다만 풀랙에 240대가 들어가면 단순계산으로도 최대 50와트*240대면 12kw로 IDC의 통상 허용 최대치인 15 암페어보다 3.5배이상 높아져서 전원부분에 대한 추가비용은 부담할수도 있겠지만 워낙 와트당 프로세싱 파워가 좋고 공간 집약적인지라...단순히 얼마전 HP에서 발표한 아톰베이스 보다는 효율이 높을거라 기대합니다.
다만 아답타는 24시간 돌아가게 설계한 것이 아닙니다.
문제가 많이 생깁니다.(경험상)
아답타 기준으로 경험상 볼때 쿨링은 필수입니다.(아답타 수명이 일반 파워만큼 길어집니다)
통합전원 기준으로 보면 제작으로 가야는데 공간은 많이 줄어들고 수명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답타는 24시간 돌리면 잘 죽습니다)
제작 기준은 두 가지 정도 생각이 됩니다.
하나는 1~1.5kw 정도 일반 파워에 12v 출력 모듈만 제작 하는 것입니다.
단순 하우징이 아니고 콘덴서 등을 달아서 개별 전원이 들어가도 다른 부하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합니다.
또 하나는 전원 자체를 완전히 새로 제작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비용이 많이 들어서 비추입니다.
되도록 일반파워+모듈 제작으로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다행인 것이 ssd를 사용하시고 상당히 저전력 모델이라서 큰 전압 변동이 안생길 것 같습니다.
(하드가 들어가면 기동 전류가 3배 정도 증가해서 전원에 무리가 많이 생깁니다)
ps) 12v 출력선은 24개면 모두 동일한 길이를 하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전압이 다르게 나오는 라인이 생겨서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