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화일을 빨리복사방법 혹은 폴더포함된 폴더이하의 화일을 하나의화일로 (비압축) 합쳐서 한개의 화일화방법?

김건우   
   조회 14299   추천 0    

빠른복사프로그램 써봐도 한오백년 걸리는 거 같구요..(테라카피, 익스트림카피, 터보카피... 거의 다써봤어요)
 
복사중 오류도 나요..화일상 이상없는거 같은데..왜 프로그램상에선 경로를 못찾는다느니, 복사실패리스트에 계속 뜨는건지...
 
 
그리고 한개화일을 쭉...복사, 전송하는거는 그런데로 빨라서 봐줄만한데
 
도저히 일반적인 형태의 화일 및 폴더를 복사하려니 못기다리겠어요.
 
하나의 화일로 압축안하고 합쳐버린 후 복사후 원복하려는데...방법이 있을까요?
 
 
- 안전복사
 
- 후딱복사
 
이렇게 해야하는데... 도움주세에ㅛ...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윤술 2013-05
대용량 파일이 아니고 다량의 작은 사이즈의 파일 문제 아닌가요?
용량큰거는 바로 바로 복사가 될텐데요...
트루이미지 같은걸 이용하거나 윈도우 백업 기능을 이용하거나 해야될듯 싶어요.
     
김건우 2013-05
네..다량의 작은사이즈 혹은...디브이디 정도용량의 동영상, 혹은 폴더내 화일들입니다...
둥파 2013-05
윈도우용 rsync 를 쓰면 되지 않을런지?
GUI에 연연하지 않으신다면 괜찮을 듯 합니다.

참고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esus1114&logNo=50109354385
박문형 2013-05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 붙이면 마더보드에서 보다 2-4배 빨리 하드대 하드 카피가 가능합니다만
데이터 들은 하드를 레이드 카드에 붙이다가 날려 먹는 경우도 있기에 추천은 안합니다.
레이드 카드에서 하드 건강상태도 SMART로 채크 가능합니다.
김윤술 2013-05
이런 상황은 아무리 디스크 캐쉬가 많다고 한들 거의 속도는 비슷합니다. 용량이 큰 사이즈는 금방 복사가 되지만 작은 단위는 오래걸릴수밖에 없어요.
카피 걸어놓았다가 나중에 다시 변경된 파일 카피하는 순으로 해야될거 같아요.
데이터 이전이 느린 이유는 작은단위 사이즈 파일때문이지 용량 때문이 아닙니다. 어느정도 용량은 이정도 시간이 걸릴것이다?라고 예상하지만 변수가 작은 단위 파일들이 많다면 그 시간은 예측할수 없습니다.
이해하면 2013-05
제가 작은 파일 단위로 수십만개 짜리도 해봤는데요..
그냥 복사하는게 제일 빠른방법입니다 ^^

대용량 파일 하나는 물론 속도 빠르죠.
하지만 그걸 압축하는 시간 복사하는 시간 다시 압축 푸는 시간 이걸 다 합치면 그냥 복사하는 시간과 비슷합니다.

만약 다른 컴으로 이동시키는 거라면..
한쪽에는 FTP서버 한쪽에는 FTP 클라이언트 설치 해서 한번에 전송하는 파일갯수를 10개로 지정해서 보내본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오류는 확답 못드리겠어요 ^^

큰 파일 하나 만드신다면 그냥 7zip에 무압축 옵션으로 만드시면 가능하리라 생각 됩니다 ^^
AKs 2013-05
하나로 만들었다 푸는건 역시 tar 이지요..
근데 어차피 읽어들이고 쓰는 시간이 있으므로 그냥 fastCopy하는게 가장 빠릅니다.
김건우 2013-05
으으으으으음..... 무압축 묶음 및 훼스트카피해보겠습니다.
chis 2013-05
이건 딱히 방법이 없는거 아닌가요??? 시간이 답일거라고 봅니다...특히 용량작은 파일들이 많다면...
김동범 2013-05
tar로 한다하더래도....... 아카이빙(묶음이라고 표현해야하려나요)했다 풀었다하는 시간은 꽤나 걸립니다.

제가 게임설치 파일 옮기려고 한 60기가 정도 이동해본 적 있는데 제 경우에는...

일단 옮겨야될 파일들을 폴더 단위로 분류. (묶거나 압축하거나 하지 않고 되도록 폴더로 분류)

A폴더는 USB 메모리로 이동해서 카피 B폴더는 USB 외장하드디스크로 이동해서 카피 C 폴더는 네트워크로 전송 이런식으로 무한반복했습니다. 확실히 덜 걸리더군요.

여러매체를 동시에 이용해서 이동한다면 확실히 빠르게 옮길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의 안전성을 보장하려면 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DVD 하나 정도면 5기가일텐데 그냥 네트워크로 복사걸어놓고 밥먹고 오는게 제일 편하고 좋은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일이 자주 있다면 기가네트워크를 만들거나 하는게 제일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QnA
제목Page 3502/5729
2015-12   1789911   백메가
2014-05   5264899   정은준1
2015-10   5647   서울사람
2017-11   3822   혼자가는길
2020-03   3632   봉래
2015-10   3705   나파이강승훈
2014-06   5922   오잉
2020-03   4423   행복찾기
2009-07   7269   IRIX6530
01-21   736   션한맥주
2014-06   42427   하정구
2023-03   2260   죠슈아
2012-09   8624   박성만
2023-03   2169   pumkin
2009-07   7487   임진욱
2014-07   41483   천외천oo노…
2020-04   3416   일삼제로
2015-11   5383   김건우
2019-02   4053   더블킥
2017-11   4818   마통
2020-04   3964   keros
2009-08   6657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