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on 5300 시리즈 메모리 fmdimm만 지원 되나요?

   조회 6294   추천 0    

IBM Z-pro 9228 2년간 쓰다가...
드디어 VRM, IBM정품 CPU쿨링셋, 코어 X5355 2개를 주문하였습니다.
업글에 거진 26만원돈이 들었지만, 여전히 서버가 신뢰도가 높아서 강행했습니다.
CPU공부하다가 5300 제온시리즈는 fmdimm이여야 한다는 문구를 발견했습니다.
 
기본적으로 9228에 들어있는것은 그냥 ECC로 알고 있는데요. 제가 지식이 없어서 그러는데요.
ECC와 fmdimm과는 다른 것같은 문구를 또 발견해서그러는데요...
 
Q1. 서버에 이런 일반 메모리와 다른점은 데이터를 디버깅하고 오류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어 오류의 확율을 줄일수 있는 기능으로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일반인이 이 기능에 무슨 혜택을 가질 수 있나요? 버그리포트를 받나요? 아니면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쓰면 watch dog처럼 오류를 잡는 것일까요?  기능이 궁금합니다.
 
Q2. ECC와 fmdimm은 서로 다른 것인가요? 무슨 차이이죠?
 
Q3. [주요질문] X5355로 업글해도 기존 ECC메모리로 작동을 할까요? 아니면 메모리 fbdimm용으로 따로 교체해야할까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노리 2013-06
기존 서버의cpu와 램이 무엇이였는지도 궁금하네여.

일반적으로
1.다른분께 패스

2.5300대 즉.. 5000 부터 5400까지는 일반적으로 모두 f램 사용됩니다.
  즉.. 5300r과 5300f의 모듈 차이로 보심 될듯하네요.

3. 5355도 물론 5300f 램은 사용되나 5300r램이 사용되는지는 모르겠네요.

참고로 모듈ㅇ도 hp는 주로 2Rx4나 8이 사용되나
Ibm은 주로 1Rx4가 주로 쓰이더라고요.

램의 경우 같은 5300f라도 이 모듈의 혼용은 가급적 호환성 문제로 피하시기 바라며
기존 패트의 모듈번호의 제품을 사용하면 좋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하드웨어의 램뱅크에대해서는 잘 모르겠으나
이런 뱅크 문제로 인해 동작 않되는 경우도 있더군요
     
김수환무 2013-06
김황중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모두 f램 사용한다는 말에 안심이 됬습니다.
그런데 R은... R은 무엇이죠???
배창언 2013-06
fb dimm/FB메모리/Fully_Buffered_DIMM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인 램은 언버퍼드메모리입니다.
언버퍼드메모리는 칩셋이나 CPU에 내장된 메모리컨트롤러가 메모리칩을 제어한다면

FB메모리는 AMB가 존재하는데
CPU나 칩셋의 메모리컨트롤러는 AMB랑 통신하고 AMB가 메모리칩을 제어하는 구조라
지연시간은 늘어날수도 있지만 고용량확보나 다채널을 통한 대역폭확보에 유리합니다.

자세한건 FB메모리로 검색만해도 많이 나옵니다.

참고로 ECC램은 여기에 추가로 ECC기능이 추가된것으로
언버퍼드메모리에도 ECC기능이 붙을수도 있고(흔히 부르는 ECC램)
버퍼드메모리에도 ECC기능이 붙을수도 있습니다.(ECC/FB램)
버퍼드메모리인데 NON-ECC메모리는 못봤네요.

X5355는 771기반 시스템인데 메모리컨트롤러가 메인보드칩셋에 있으며 싱글소켓을 제외하고는 전량 FB메모리전용이라 보시면됩니다.

ECC기능이 있으면
하드웨어차원에서 에러정정기능이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으로 매우 낮은확율로 칩내부나 칩외부통신간에 에러로 0과 1이 뒤바뀔수가 있는데(둘중 하나만 표현해서 웬만해서는 안나지만 매우낮은확율로)
일반시스템이아닌 24시간 가동하는 시스템일수록 1년단위로 보면 무시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ECC기능이 필요한데 램에 적용될경우
1비트ECC기능이 있으면 1비트에 대해서 에러검출이 가능하고(하드웨어적으로 다시 작업하면 됩니다.)
2비트ECC기능이 있으면 1비트에 대해서 에러정정 2비트 에러에대해서 에러검출이 가능합니다.

일반PC라면 소프트웨어레벨에서 검출/정정/재작업하는 수준으로 충분하다고 보시면됩니다.
     
김수환무 2013-06
배창언님 멋진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결론은 제 메모리도 FB였다는 것을 알수 있어 한숨 놓을 수 있었네요.
ECC는 기능이라는 것 그리고 FB는 방식이라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제온은 기본적으로 FB이군요. 근래에는 메모리 관장하는것이 코어에 있겠죠?
하지만 위 시리즈는 보드 칲셋에 있었구요...
감사합니다.
     
엘피 2013-06
제가 이전에 사용하던 슈마 X7DCA-L 모델의 경우 771소켓 듀얼 보드임에도 불구하고 FB-DIMM이 아닌 6소켓 DDR2 ECC/Reg 메모리 지원 모델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메모리 컨트롤러가 CPU에 탑재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칩셋에서 제어하는 부분이라 그랬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당시 국내에서 DDR2 ECC/Reg메모리 구하기가 쉽지않았던 것이 문제였죠. AMD서버를 많이 사용하지 않다보니 말이죠.
박문형 2013-06
FBDIMM에도 ECC칩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습니다만

국내 돌아댕기는 FBDIMM은 거의 모두 FBDIMM-ECC라고 보시면 됩니다.

뜯어서 한쪽 면램이 홀수이면 ECC메모리입니다.

보통은 시스템 정보 프로그램으로 확인합니다.


QnA
제목Page 3498/5731
2015-12   1793495   백메가
2014-05   5268460   정은준1
2024-04   1367   미담
2018-09   5184   민사장
2013-12   5648   김두홍
2019-11   3441   문재연
2022-08   2983   미수맨
2011-08   6762   뚜뚜김대원
2021-02   4791   VSPress
2014-01   6148   예상아빠
2022-09   3040   딥러딥러닝
2021-02   2320   AMD빌런
2011-09   5835   허대웅
2018-09   4547   팬교
2011-09   5891   힘내자
2014-01   5458   잇힝잇힝
2018-09   3528   Nikon
2011-09   7649   승후니니
2014-01   9657   보슬비내리…
2021-02   2295   김우진
2015-05   5352   QS왕통키손…
2011-10   6277   차평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