랙의 메인 스위치 교체를 하려고 하는데, 어느 스위치가 좋을까요?

회원K   
   조회 7033   추천 0    

랙의 메인 스위치를 1/100에서 1/1000으로 교체하려고 합니다.
어느 것이 좋을까요?
물론 manage 하지 않고 그냥 쓸 것이고, 최대 24포트 이상은 연결할 일은 없습니다.
 
1. 델 PC POWERCONNECT 5524/48 NETWORK SWITCH - 35.6만원
2. 델 POWERCONNECT 2808/16/24/48 NETWORK SWITCH - 31만원
3. 기타 (추천)
 
- to be continue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진규 2013-07
1, 2번 중에는 당근 1번 스위칭 패브릭이 3배 가까이 차이나고
PPS도 2배정도 성능이 좋습니다.
     
회원K 2013-07
그런가요?
네트웍장비의 경우 아무리 봐도 잘 모르겠더라구요.
1번 장비는 쓸일이 없다 생각하고 봄에 방출했는데. 다시 사야지 하겠네요.

그냥 power만 끼워서 써도 되겠죠? manage 기능은 안쓰고?
          
김진규 2013-07
VLAN 설정만 제대로 되어 있다면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추가적은 설정을 안하더라도
항상 설정에 접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두심이 좋을듯 합니다.
     
회원K 2013-07
추가로 하나 더 문의 드려도 될까요?
랙에서 SG 92-24 CISCO 스위치를 local lan 구성으로 쓰고 있습니다.
서버의 포트 1개는 외부망 스위치에 연결하고 1개는 내부망 스위치에 연결해서
서버간에 발생하는 트래픽이 외부로 나가지 않게 분리하고 있거든요.

델 5524를 내부망 스위치에 쓰고, SG 92-24를 외부망 스위치로 바꾸는 것은 어떤가요?
내부망의 트래픽은 외부망보다 높은 200-300mbps 정도 입니다.
김진규 2013-07
뭐 서버간 통신이 어떻게 되는지 몰라서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대역폭만의 문제라면 1번 48Port 장비에 Link Aggregation으로
2Gbps의 효과를 보심이 가장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물론 스위치 설정이 필요하겠네요)
     
회원K 2013-07
델 스위치를 설정하려고 하니,
RS-232C가 없어서 일단 못했었고 (물론 매뉴얼도 두터워서...)
VLAN이나 그런 것도 공부 안한지 오래되어서 다 잊어버린 관계로 하기도 싫어졌고...

VLAN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요?
그냥 IDC의 망에 연결해주는 단순 허브로만 사용할 예정인데...
          
박성만 2013-07
dell switch 들은 다 CLI 아니고 web based setting이 가능할텐데요

물론 초기화는 CLI로 하는 게 낫겠지만요

저도 5524 하나 살까 심각하게 고민했는데 강윤호님 말씀이 소음이 상당하다고 하셔서....
               
회원K 2013-07
저는 모두 IDC에 넣기 때문에 소음도는 전혀 신경을 안쓰는데,
처음 셋팅은 무조건 RS-232C 콘솔로 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후에 웹이구요.
그래서... 아무리 뒤져도 RS-232C가 없길래 포기했죠.
IDC에는 있을텐데... IP 붙여 달라고 해야 하나 고민되네요.
김진규 2013-07
VLAN 설정이 안되어 있다면 상관없습니다.
VLAN이 나누어져 있다면 문제가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또 Cisco SG 92-24은 업무적인쪽으로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활용하셔야하면 중요도가 낮은쪽에 쓰시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로 시스코 스위치는 숫자 4자리로 구성된 모델이 아니면 Linksys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존 시스코랑은 기술적으로는 상관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게다가 이제 벨킨에 팔아버렸네요
     
회원K 2013-07
그냥 단순한 목적으로 쓰는 스위치인데도 성능 차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것인가요?
아무리 숫자를 봐도 잘 모르겠기에 CISCO 이름이 있는 것을 샀거든요.
목적은 웹서버와 DB서버. 파일서버간의 내부 트래픽 통신 목적 입니다.
          
2013-07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런저런 설정 다 귀찮고 편하게 쓰고자하시면 원하시는대로 구성해 쓰셔도 된다는겁니다.
네트웍도 전기와 비슷한 부분이 있어서 서버관리자입장에서볼때 일단 통신만 되면 문제 없는것이지요.

그리고 스위치마다 성능차이가 있기는 한데요, 랜기술이 상향평준화되어서 성능편차가 덜해졌으니 웬만한 서비스운영환경에서 성능보다는 안정성과 관리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제품을 선택합니다.
그마저도 미션크리티컬한 상황이 아니라면 몇만원짜리 대만산이나 IPTIME스위치로도 실제 서비스에는 별 문제가 없으니 실무에 사용하는곳도 많습니다. 예전에 비하면 기가빗스위치들의 가격이 저렴해져서 적당한 가격대에서 웬만한 수준의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를 선택하게되는데 그런것들이 저렴한 스마트스위치나 관리형스위치들입니다.
관리형스위치가 필요한 이유는 잘 아시겠지만 다양한 관리기능인데요, 이런것들이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때는 별로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그런데 서비스에 무언가 문제가 발생했을때 그것이 서버 자체의 문제이거나 네트웍의 문제이거나 그 둘다의 문제라 할 때 매니지가능한 스위치의 경우 모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다못해 웹인터페이스만 제공하는 스마트스위치라도 있어야 포트네고, 포트미러링, 대역폭부족시에 티밍이라도 하지요.

관리자의 서비스운영철학과도 결부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어차피 중저가 제품을 사용하는데 기왕이면 매니지먼트 가능한 제품을 쓰는게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회원K 2013-07
감사합니다.
네트웍까지 하기에는 여력이 딸려서, L2 managed를 선택하지 않고 있습니다.
포트미러링이나 등등은 봤는데. 필요할 것 같은데 솔직히 엄두가 안나더라구요.
웹 가능한 것을 구매하면. 나중에 물어보고 필요한 것만 설정 잡아 두겠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네트웍 같은 것들은 내용이 머리 위로 지나갑니다.
김진규 2013-07
24포트 기가스위치의 경우 입출력 모두 합해도 48G밖에 안됩니다.
하지만 본문 1번 장비는 처리량이 128Gbps입니다.(48포트는 176G)
간단히 설명드리면 Linksys -> i3, Cisco -> E3 겠네요

스위치 장애의 90%이상이 파워(환경 및 노후화) or 온도(환경 및 Fan) 영향으로 생깁니다.
당연하겠지만 대게 가격에 비례해서 부품 수준이 정해집니다.

참고로 1U기준으로 시스코 스위치 모델은 3750, 3650, 2960 시리즈 입니다.
가장 싼 모델도 기가는 신품 기준으로 100만원 이하로 구하기 힘들겁니다.
     
회원K 2013-07
아. i3와 E3. 저는 E3를 항상 선택 합니다^^
박성만 2013-07
좋은 내용입니다 ^^

사실 1번 스위치는 24포트, 2번 스위치는 48포트라 고민을 저도 좀 하다가

요즘 집에서 쓰는 24포트 스위치가 모자라서 고민하다 48포트로 업글할까 합니다

1번 스위치가 성능도 좋고 한 단계 위 인걸로 보이는데

24포트인 점과 소음이 상당하다고 해서 제외했네요

좋은 정보 덩달아 감사합니다
회원K 2013-07
메인으로 쓰는 CISCO 스위치를 IDC에서 임차하기로 했습니다.
안정적이고 관리도 IDC에서 해주니까요.
내부용 스위치는 ...며칠 더 생각한 후에 교체를 결정 해야 할 것 같습니다.
VPN. 저도 쓰고 싶은 것인데... 할것은 있는데 엄두가 잘 안나서요.


QnA
제목Page 3472/5725
2014-05   5244858   정은준1
2015-12   1770230   백메가
2014-11   4493   액션빔
2018-04   4878   냐아아아암
2010-07   9348   김정중
2018-04   4955   으라차차차
2023-09   2365   용석
2014-12   10868   아름다운노을
2019-06   7514   무아
2023-09   1736   라마스
2010-07   9857   최승희
2014-12   4784   장동건2014
2013-07   6080   데톨
2018-04   4497   SnOw
2019-06   3002   Nikon
2020-08   3422   반성만
2010-08   7871   분당김동수
2023-09   3170   천외천oo노…
2013-07   7719   정은준1
2014-12   6893   레이저짱
2020-09   2278   정의석
2016-03   4060   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