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합금 관련하여....막연한 질문 한가지 드립니다~

   조회 10722   추천 0    

안녕하세요 억군입니다. 

좀 특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합금인데요~ 열 전도율을 극한까지 끌어올린게 핵심적인 기능입니다. 
성분은 구리에 금과 은이 많이 들어가 있고 몇몇 희금속이 들어가 있는걸로  기억하구요~ 
민감한 센서의 방열용 히트싱크로도 사용하고 열관리에 민감한 재료의 성형 목적의 금형으로도 쓰이거나
이러저러 해서 열관리 하는 목적으로 쓰이구요, 상온에 가만히 두면 재료의 표면에 이슬이 맺힙니다.  
대충 상품명이 "히트 뮈시기 0" 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말이죠~ 구글신께 빌어봐도 보이질 않으니...  

혹시 아시는분 있으실까요?



신경쇠약 터프가이!!!!!!!!!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warpy 2013-07
펠티어 소자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요 ? 맞나요 ? 상품명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백남억 2013-07
펠티어가 아니라서요.... ^^;;;;;;
     
백남억 2013-07
펠티어가 아닙니다..... (눈물 흘리는 이모티콘)
그냥 금속 합금물이에요.....
윤준형 2013-07
글세요. 상온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이슬점 이하로 온도가 떨어진 경우는 아직까지 관측되어진바 없습니다.

아마도 열전자를 이동시키는 외력이 작용되었을겁니다.
warpy 2013-07
금속끼리 아무리 합금을 만들고 뭘 하고 해봐야 .. 금속중에서 열전도율이 가장 높은 은 > 구리 > ... 보다 열전도율을 높일 수 없습니다
열전도율은 아주 간단하게 물질 두개의 량과 열전도율로 결정되거든요.
예를 들어서 열전도율 10 짜리 1 kg 과 6 짜리 1 kg 을 섞어서 합금을 만들면 8 짜리 2 kg 이 나옵니다.

구리나 은이 열전도율이 높지만, 정작 히트 씽크로는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너무나도 무르기' 떄문입니다. 그 형태를 잘 유지하기 힘들거든요. 그래서 구리는 열이 많이 나는 곳에서 코어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알미늄합금이나 니켈 파이프 등으로 연결하는 거죠.

열전도율이 금속보다 높은 건 다이아몬드와 일부 몇몇 세라믹 정도죠...
백남억 2013-07
@all! : 아무래도 재료의 표면에 "수분의 응결이 있다" 라는걸 잘못 알고 있었던듯 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한원준 2013-07
http://prod.danawa.com/info/?pcode=628783&cate1=0&cate2=0&cate3=0&cate4=0

그냥 막 던져봅니다. 혹시나해서...

헌데 사용한 경험으로는 상온에서 방열면적이 넓거나 액티브한 방법으로 냉각하지 않으면 별 효용이 없더군요.


QnA
제목Page 3465/5725
2015-12   1768451   백메가
2014-05   5243129   정은준1
2014-04   3334   가빠로구나
2015-09   6607   2CPU2
2009-02   5623   머라카는데
2019-01   2740   김건우
2012-05   6171   머라카는데
2023-02   2162   개미늘보
2009-03   6207   권용1
2014-05   3647   정희섭
2020-03   2873   캡틴아메리카노
2014-05   6653   bigmaster
2024-11   1651   안형곤
2019-01   4810   컴박
2021-07   2734   Astarot
2024-11   1121   군인1
2019-01   4130   comduck
2014-05   4189   가빠로구나
2017-10   3926   으라차차차
2021-07   4728   김민수2
2017-10   8645   jake
2021-07   2196   2cpum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