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IP설정 문의

   조회 7642   추천 0    

가상화 게시판이 따로 있지만 거긴 아마 정보 올리는 곳인거 같아 Q&A에 질문올립니다.
호스트 관리용 NIC 랑 게스트용 NIC 를 따로 설정해 놓았는데
같은 스위치에 물려있습니다.
호스트 관리용 IP랑 Hyper-V용 IP랑 같은 대역으로 설정하면
이벤트에 "TCP 네트워크에 중복된 이름이 있습니다" 라고 계속 기록이 됩니다.
 
보통 IP설정을 어떻게 하나요?
 
현재는 이런형태로 되어있습니다.
 
1. 호스트관리용 NIC - 10.0.0.1
2. Hyper-V 용 NIC - 10.0.0.2
3. 게스트에서 사용하는 IP - 10.0.0.3 ~ .....
 
서버는 2012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AKs 2013-07
패스쓰루 해 버리시거나
NIC등록정보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네트웍 클라이언트와 파일및프린터공유를 꺼버리시면 됩니다.
물론 이렇게 하시면 파일공유(네트웍드라이브 연결 등)이 제한됩니다.
김윤술 2013-07
중복된 이름이지 IP가 아닙니다. 동일한 넷바이오스 이름의 호스트가 존재하니 그 이름을 바꾸어 주면 됩니다.
미디블루 2013-07
중복된 이름이 물리머신의 1번 nic 와 2번 nic 의 네트워크 대역이 같기 때문인데
nbtstat -n 해보면 물리머신의 이름이 두개가 등록이 된걸로 나오거든요.
보통 어떻게 하나요?
실제 2번 NIC가 Hyper-V 가상스위치로 쓰기위한 용도인데 IP부여가 의미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혹시나 해서2번 NIC의 IP를 전혀 상관없는 대역의 의미없는 IP로 변경을 해보았는데 서비스는 이상없이 잘 돌아가더라구요.
근데 작업관리자의 성능탭에서 이더넷 사용현황을 보면 가상스위치쪽 이더넷은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사용이 안되는거 같기도 하고요.
     
김윤술 2013-07
아 그럴수 있겠네요.
Hyper-V 용 NIC를 스위치 공유모드로 하지말고 전용 스위치로 바꾸어 주세요. 그러면 호스트와 격리된 NIC로 사용이 됩니다.
          
미디블루 2013-07
전용 스위치란게
가상 스위치 관리에서
연결형식 - 외부네트워크 항목에서 "관리 운영 체제에서 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 체크박스를 해제 하면 되는건가요?

말씀하신 대로 해제 해보았더니 잘 되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짱황 2013-07
컴퓨터 이름을 같이 하면 안됩니다.
김윤술 2013-07
http://whd.sooli.com:8888/guest/link/Hyper-V_LAN.jpg

설명 붙일려고 했는데 바로 해결이 되어부렀네요.
멀린 2013-07
Hyper-V용 NIC에 IP를 두신 이유가 있으신지요?
중복 이름 또한, 호스트 서버의 네임이 1번,2번 NIC를 통하여 같은 네트웍에 이중으로 뜨니 발생하는 문제이구요.
미디블루 2013-07
답변주신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테스트 환경에서는 NIC 하나만 가지고 하다가 실제 리얼에서 두개 이상을 가지고 하다보니 기본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발생한 현상이네요.

잘 배웠습니다. ^^


QnA
제목Page 3465/5728
2015-12   1781364   백메가
2014-05   5256395   정은준1
2022-10   2049   L2스위치
2011-10   11318   김율원
2014-02   12524   두리안
2022-10   2110   미수맨
2024-06   2392   녹색하늘
2018-10   3858   깡통이
2011-12   7305   가빠로구나
2011-12   5888   승후니도쿄
2021-03   2551   김승권
2015-07   10154   회원K
2019-12   3381   Frinc
2017-07   4430   늘파란
2012-01   6525   박현근
2024-07   1504   김황중
2012-01   14068   스카이닥
2015-07   3116   슬루프
2015-07   3982   김건우
2020-01   4034   김제연
2018-11   3480   비엘이브
2022-12   2030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