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1999 |
25 |
2015-12
177199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6708 |
0 |
2014-05
5246708
1 정은준1
|
26502 |
고기 구워먹기에 좋은 불판 소개좀 부탁합니다. (5) |
승후니도쿄 |
2010-08 |
9963 |
0 |
2010-08
9963
1 승후니도쿄
|
26501 |
원격제어 프로그램중 Radmin 3.5 아직도 괜찮나요? (3) |
다온 |
2016-03 |
11042 |
0 |
2016-03
11042
1 다온
|
26500 |
AMI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는 방법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10) |
페넘9500아… |
2019-06 |
10567 |
0 |
2019-06
10567
1 페넘9500아…
|
26499 |
메인보드에 쿨링팬 연결할 곳이 부족한데요 (5) |
스님9 |
2020-08 |
5707 |
0 |
2020-08
5707
1 스님9
|
26498 |
알보컴 베어본 소유권 이전하신분? (7) |
깜박깜박가 |
2016-03 |
3845 |
0 |
2016-03
3845
1 깜박깜박가
|
26497 |
혹시 iot받으신분 있으신가요? dawon irbd #2 (4) |
user |
2020-09 |
3723 |
0 |
2020-09
3723
1 user
|
26496 |
컴퓨터 조립에 관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2) |
자산관리 |
2010-08 |
7613 |
0 |
2010-08
7613
1 자산관리
|
26495 |
엑셀과 관련한 무식한 질문을... (3) |
오성기 |
2014-12 |
4780 |
0 |
2014-12
4780
1 오성기
|
26494 |
고물상에서 5000원주고 i5 760 컴퓨터를 주워 왓습니다. cpu 보조전원핀 질문 (27) |
SnOw |
2018-04 |
16241 |
0 |
2018-04
16241
1 SnOw
|
26493 |
IT 엔지니어 계신가요? 진로 고민이 있습니다.(서버, 클라우드, 네트워크 엔지니어) (13) |
다리미 |
2023-10 |
5502 |
0 |
2023-10
5502
1 다리미
|
26492 |
hdmi연결이 이상합니다... (3) |
AplPEC |
2017-02 |
4548 |
1 |
2017-02
4548
1 AplPEC
|
26491 |
SAS/SATA 안정성 비교? (8) |
하셀호프 |
2019-06 |
4467 |
0 |
2019-06
4467
1 하셀호프
|
26490 |
Dell Perc 6/i & 6/e 질문드립니다... (1) |
인천I베리 |
2010-08 |
9784 |
0 |
2010-08
9784
1 인천I베리
|
26489 |
디스크 마이그레이션 툴 부탁드립니다. (8) |
슬루프 |
2016-03 |
4190 |
0 |
2016-03
4190
1 슬루프
|
26488 |
LTE라우터 / LTE 동글에 관한 질문 (6) |
김제연 |
2020-09 |
3586 |
0 |
2020-09
3586
1 김제연
|
26487 |
랜선의 품질을 체크할수 있는 가성비 제품은 어떤게 있을까요? (16) |
노가리강추 |
2022-03 |
2855 |
0 |
2022-03
2855
1 노가리강추
|
26486 |
UPS추천. (4) |
GPGPU |
2020-09 |
2957 |
0 |
2020-09
2957
1 GPGPU
|
26485 |
또질문... |
윤호용 |
2004-05 |
8022 |
42 |
2004-05
8022
1 윤호용
|
26484 |
ftp폴더 관련 질문입니다. (1) |
윤성원 |
2004-06 |
7576 |
31 |
2004-06
7576
1 윤성원
|
26483 |
디비서버로 사용할 하드웨어 문의드려요 (5) |
날개승호 |
2010-10 |
8315 |
0 |
2010-10
8315
1 날개승호
|
데이타가 움직이는 경로를 보시면 아실겁니다
하드에 빨리저장이 되는것도 중요 하지만 데이터가
메모리를 거쳐 cpu로 갑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부분이 메모리가 느리다는 것입니다
이부분을 해결되는부분이 cpu의 케쉬메모리 입니다
케쉬메모리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데이타병목현상을 해소
해줍니다
결국cpu가 빨라도 케쉬메모리가 작으면 빨라질수가 없을 겁니다
Cpu에 케쉬가 많은경우 압축시 영향을 미칠수 이겠죠
압축 대상 파일의 개수, 압축율, 전체 파일 크기 등에 따라 상황은 얼마든 변할 수 있다봅니다.
또한 CPU나 디스크도 기본적으로 얼마마한 서버 스펙이냐에 따라서,
영향이 있을수도 또, 영향이 전혀없을수도 있겠죠.
뭐..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case by case 라고..
작은 파일의 갯수가 많을수록 하드빨 .......
큰파일 갯수가 적을수록 CPU빨 ......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어떤 압축프로그램을 사용하느냐의 선택 .....
http://www.bodnara.co.kr/bbs/article.html?D=7&cate=10&d_category=14&num=98799
상용 파일 압축 로직들은 대부분, 성능을 위해 대량의 버퍼를 잡습니다.
메모리가 부족하면 버퍼를 작게 잡게되고, 버퍼가 작으면 디스크 접근을 자주하게 됩니다.
속도 위주의 로직들은 메모리 복사보다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압축이 더 빠릅니다.
이 경우 cpu도 중요하지만 메모리 대역도 중요하고 결정적으로 짧은 시간에 압축이 끝나기 때문에
디스크 성능이 전체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효율 위주의 로직들은 연산량이 많습니다.
대부분 디스크 IO는 압축이 끝나길 기다립니다.
허나 요새 몇몇 프로그램들은 파일 단위로 코어 수만큼 동시에 압축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이동범님 말씀처럼, 코어수가 많은 CPU에서 작은 크기의 파일이 많으면 디스크 IO에서 일정 병목이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압축 프로그램들 다수가, 기본 설정 상태에서는 보통 CPU 성능에 더 많이 영향 받습니다.
아주 전송률 떨어지는 구형 디스크가 아니라면 말이죠.
디스크 단편화가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작은 파일들이 어느 정도 있다고 해도 읽기는 랜덤억세스가 많더라도
쓰기는 시퀀셜 억세스가 주가 되니까요(여러 파일을 하나로 묶으니까).
내 사양에서 압축 속도를 높이기 위해 어떤 컴포넌트에 투자하는게 나을지는...
메모리가 넉넉하다면 램디스크 일정 잡고 샘플 파일들 추출해서 디스크에 두고 한것과 시간 비교를 해보시면 됩니다.
차이가 크다면 디스크에 투자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