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764 |
0 |
2014-05
524076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6252 |
25 |
2015-12
1766252
1 백메가
|
46345 |
TX100에 해놀로지 올렸는데 포트포워딩에서 멘붕왔습니다. (8) |
luciddream |
2013-10 |
12432 |
0 |
2013-10
12432
1 luciddream
|
46344 |
콘덴서 측정기 좀봐주셨음합니다. (11) |
장동건2014 |
2013-10 |
11102 |
0 |
2013-10
11102
1 장동건2014
|
46343 |
서버 2012 R2에서 윈도우7설치 (5) |
투헤드 |
2013-10 |
12433 |
0 |
2013-10
12433
1 투헤드
|
46342 |
TX100 랜카드 드라이버 (4) |
멋쟁이 |
2013-10 |
10823 |
0 |
2013-10
10823
1 멋쟁이
|
46341 |
메모리bios상 인식문제 |
김승훈 |
2013-10 |
11926 |
0 |
2013-10
11926
1 김승훈
|
46340 |
TX100 구성품 질문 (5) |
나우마크 |
2013-10 |
8341 |
0 |
2013-10
8341
1 나우마크
|
46339 |
랩탑(2.5인치) 하드를 raid 로 쓰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4) |
luckyoo |
2013-10 |
8621 |
0 |
2013-10
8621
1 luckyoo
|
46338 |
cd영역 잘 되는 usb메모리 추천 (5) |
씨형 |
2013-10 |
14248 |
0 |
2013-10
14248
1 씨형
|
46337 |
네트워크 구성 문의드립니다. (3) |
황혼을향해 |
2013-10 |
13337 |
0 |
2013-10
13337
1 황혼을향해
|
46336 |
HP P400(512MB)과 3Ware 9650SE(256MB) 중 RAID 구성시 유리한 카드는? (3) |
그리폰0 |
2013-10 |
14258 |
0 |
2013-10
14258
1 그리폰0
|
46335 |
컴퓨터가 얼거나 부팅이 되지 않는 현상 무엇이 문제일까요? (8) |
viper9 |
2013-10 |
14102 |
0 |
2013-10
14102
1 viper9
|
46334 |
그래픽카드 온도가 이상합니다. (7) |
이유종 |
2013-10 |
14349 |
0 |
2013-10
14349
1 이유종
|
46333 |
일부러 블루스크린 뜨게하는 법(안전한 방법) (5) |
goodsense |
2013-10 |
30131 |
0 |
2013-10
30131
1 goodsense
|
46332 |
슈퍼마이크로 케이스 질문입니다 (8) |
이태준 |
2013-10 |
13524 |
0 |
2013-10
13524
1 이태준
|
46331 |
ESXi에서 블루스크린 (4) |
user |
2013-10 |
12478 |
0 |
2013-10
12478
1 user
|
46330 |
케이블TV 화질문제 (6) |
차평석 |
2013-10 |
16806 |
0 |
2013-10
16806
1 차평석
|
46329 |
DD-WRT 비밀 번호 문의 드립니다. (2) |
박철 |
2013-10 |
14248 |
0 |
2013-10
14248
1 박철
|
46328 |
우분투 설치후 에러 메시지 문의 (4) |
metaljw |
2013-10 |
13314 |
0 |
2013-10
13314
1 metaljw
|
46327 |
기가바이트 H87M-D3H AMT 드라이버 (2) |
씨형 |
2013-10 |
16384 |
0 |
2013-10
16384
1 씨형
|
46326 |
요즘 Msata 있는 메인보드가 끌립니다. (4) |
윈도우10 |
2013-10 |
11162 |
0 |
2013-10
11162
1 윈도우10
|
문제는 그렇게 테스트 할려면 트래픽 비용이 많이 들것으로 보입니다.
평균 1분(SSD) 평균 3분(HDD Raid)는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특히 멋도 모르고 보안 업데이트 받고 리붓 시키면 HDD 일 경우 운나쁘면
10~15분까지도 걸리는데 SSD일 경우 하드일때보다 걸리는 시간이 1/3이하로 줄어 듭니다.
저 이유 하나만으로도 저는 OS는 용도로는 절대로 SSD가 필요 했던 것 같습니다.
부팅시 1/3의 속도 감소는 저도 알고는 있었지만
서버의 특성상 365일 가급작 재부팅이 없이 도는 애다보니
이 경운 배제 하였네요
단지... 이유없는 서버 재부팅이 무서울 따름입니다.
재부팅시 멀정하던 애도 죽는 경우를 경험한적이 있는지라....
단순히 SSD 끼운 것으로는 성능 체감 안됩니다.
SSD를 쓰더라도 mysql의 db와 log 영역을 다른 disk로 분산하고
apache 등의 설정을 새로 잡아야 합니다 (사이트마다 서버마다 다를 겁니다)
그게 안되면 체감이 거의 안되요.
개인적으로는 ssd 아주 만족 합니다.
db 서버에서는 sas raid 1보다 2-5배 성능이 나옵니다.
IBM x3550 m3에 ssd raid 10 잡고, m5015에 fastpath 가능하게 해서 성능을 2-3배 높여서 잘 씁니다.
성능이 느려져서 새로 살까 했던 그런 생각은 없어지고 앞으로 3-5년은 끄떡 없을 것 같습니다.
DB 서버의 성능향상에 대해 SSD는 HDD와 비교하여 큰 차이점은 없다..
DB 테이블들의 full scan이 수시로 일어나는 MySQL의 경우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특히 MyISAM을 쓴다면 뼈저리게 체감할 수준 입니다.
일전에 제가 본 투고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다만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 이에 관련하여 실험한 문서를 발견했습니다. 성능 차가 분명히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http://www.cubrid.com/zbxe/?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l=70989&sid=5530462aea8cd372814bb35d5760fc8f
그맘 때는 SSD와 SAS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았을 때이고 요즘은 SSD와 SAS의 성능차이가 현저 합니다.
SSD도 뭘 쓰는가에 따라서 성능의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서버용이라면 삼성 840 프로급 이상을 쓰거나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raid 1 잡거나 해야 합니다.
성능차이가 그냥은 잘 안보이고 db scan이 발생하는 검색에서 아주 큽니다.
검색을 하면 죽어버리던 mysql 서버가 쌩쌩하게 됩니다.
그리고 기업용 SSD 안쓰려고 합니다.
상용 SSD에 비해서 SLC라는 것만 다를 뿐 성능차이 크지 않은데 가격이 몇배거든요.
세상이 참 빠르게 바뀐 것 같습니다.
백업만 완벽하다면 tlc로도 문제는 없겠지만
대부분 관리자들은 책임질만한 상황 만드는걸 싫어하죠
slc로 넣어둬야 차후에 문제 생겨도 면피가 가능하니까요
mlc 수명 다하면 더좋은 mlc로 교체하는 것이 좋을것 같네요.
싼 맛에 넣은 일반 SSD들이 서버의 엄청난 IO를 감당하지 못한 것이죠.
그래서 저도 작년까지는 SSD 안썼는데 (일반은 문제가 될 것 같고 기업용은 비싸서...)
삼성 840이 나오면서 MLC의 내구성이나 안정도 속도가 기업용 SSD의 70% 수준이 됬고
그래서 지금은 DB 영역 등에 SSD를 넣고 있습니다.
아는 사이트의 서버들중
부하가 많이 걸린 서버의 경우 삼성 830이 1년도 안되서 고장이 났고
아주 심한 곳은 6개월마다 SSD를 갈아야 했는데
840부터는 그런 일이 없습니다.
세월이 참 많이 좋아지면서 비싼 SLC는 의미없다에 한표 입니다.
SSD의 write 성능을 보시면 참 많이 달라졌구나 느끼실거에요.
read의 경우에는 벤치용 버프가 좀 많아서...
db부하 많은데나 쫌 티가나지
일반적인곳은 차이잠이 거의 없으며
이런경우 ssd의 수명이 매우 단축될수 있다라는 결론인듯하네요.
역시 서버에서의 ssd는 아직인듯 싶네요.
믈론 말쌈처럼 slc를 사용하면 되지만 가격적인 문제로 그럴바엔 차라리... 레이드를 좀더 강하게......
주옥같은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SSD도 840 이후에는 수명 문제도 없습니다.
쓰면 됩니다.
SSD 수명이 오래 못 갔던 곳의 경우 하루 페이지뷰가 500만 동시접속자가 몇천이 넘는 서버에요.
그런 서버를 운용하려면 1대 트래픽이 50mbps-100mbps 나옵니다.
인텔 520이나 삼성 840 프로를 쓰면 와~~~하고 체감이 느껴지는데
그냥은 잘 모르고 DB 영역에서만 느껴질 겁니다.
부하가 작은 경우 많은 파일들이 raid에 캐쉬 되어 있어서 티가 안나요.
당연히 I/O 쪽만 3배 차이이므로, 전체 성능 차이는 그만큼 나지 않습니다.
다음부터는 그걸로 구매해야겠어요
서버에서는 그게 사실 가장 중요합니다.
840으로 가면서 poc가 크게 개선 되었고 30나노대의 nand로 가면서 수명과 성능에 큰 개선이 있었던거 같아요.
동접 2천 걸리는 사이트의 db에 830 걸었더니 1년 가니 죽더라구요.
그런데 ssd는 죽는다는게 데이터가 날아가는게 아니라 쓰기가 안된다는 것 입니다.
그래서 새로운ssd 끼워서 데이터 copy 하면 됩니다.
델의 기업용 SSD 장터에 나온 것을 살까 840프로를 살까 고민하다가 840 프로로 선택한 것이
성능이나 수명은 30% 떨어지지만 가격이 워낙 저렴해서이고
3년후에는 어차피 더 좋은 넘이 나올거라 생각하기에 돈 아끼는게 나은거라 봤습니다.
2년후에는 SSD의 컨트롤러도 쿼드코어가 되지 않을까요 ^^
삼성전자가 요즘 돈 긁는 이유가 SSD 때문입니다.
컨트롤러부터 모두 다 만들어서 엄청나게 팔고 있고 인텔 빼고는 마땅한 경쟁자도 없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