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 와.. Xenserver 에 대한 질문입니다..

   조회 11620   추천 0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눈팅으로 정보만 얻다가.. 가입해서.. 처음으로 질문글 올려봅니다..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꾸뻑...

구형 컴퓨터 한대를 간단한 NAS + 챠트프로그램 서버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작업을 꾸리고 있습니다...

일단 컴퓨터 사양은

M/B : 바이오스타 MCP6P - M2
CPU : AMD 윈저 4200
RAM : 4G(내장에 32M 만 할당합니다..)
디스크는 1T 있는것과 몇가지 쓸 계획입니다..

차트 프로그램 서버는... AMD 3000+(아마 서러브레드? 정도) + 1G 램 정도의 윈도우XP 로 원할하게 돌아갑니다..

NAS 서버는.. 동시접속 최대 3명. 보통은 저혼자 사용 합니다만.. 토렌트나.. 외부접속도 사용할 계획이라..
FreeNAS 나 Xpenology 사용을 해보려 합니다...

가능하다면 XP 가상머신 하나 더 정도.. 생각하고 있구요..


처음에는 윈도우 2008 에 Hyper-v 로 올려봤습니다만... 
제가 셋팅을 잘못 한건지... 가상OS 와 다른 PC간의 네트웍 속도가 제대로 나와주지를 않았습니다..
그리고 윈도 2008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AMD-V 가상화가 비지원으로 나오더군요..분명 보드에서 Enable 해줬고..
CPU 도 당연히 지원하는데도 불구하고...

반쯤 포기하고 있던 중 Esxi 정보를 접하고... 설치를 시도했으나...
첫시도는 랜카드 때문에 실패했습니다...내장도.. PCI 기가빗 이더넷도..모두 리얼텍 칩셋이라...
중국에서 브로드컴 기가빗 이더넷을 공수해 와서 다시 설치 시도했으나..
메모리 부족 에러 + 가상화 미지원 경고.... 를 뱉으며 설치가 안되네요..
메모리는 2G 이상이라 들었는데.. 왜 4G(물론 그래픽 쉐어 32M ..가..) 에서 부족 메시지를 날리는 지 모르겠습니다..
가상화 미지원은... 워닝 이라.. 진행이 될것 같은데.. 메모리 부족이 문제인것 같네요...


다음 시도는 Xenserver 설치였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8G 메모리에 설치를 성공했으나..
Xpenology 는 올릴 방법이 마땅치 않아 보이더군요.. 스토리지 추가도.. 콘솔을 이용해야하는... 적응하기 힘든 상황이구요..



질문 정리를 하겠습니다..

1. Esxi 5.5 가.. 4G 메모리에서 메모리 부족으로 튕기는 이유가 뭘까요..?

2. Xenserver 에서는.. Xpenology 나 FreeNAS 같이.. 젠에 미리 설정되어있지 않은 OS 는 올릴 수가 없는건가요?

3. XP 1 + Xpenology + (XP 1) 정도의 용도로.. 위의 시스템 정도면 무리가 없을까요?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꾸뻑..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빠시온 2013-11
1. ESXi 5.5 부터는 램 4GB이상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래픽 쉐어 32MB때문에 4GB 미만라고 잡히는거죠.

2. ....이건 잘 모르겠지만 ESXi에서는 다 되는편입니다..

3. 램 최소 6기가 이상 쓰셔야되고요..근데 램이 아깝네요 그정도 시스템에서만 쓸꺼면.

제가 권장하는 것은 ESXi 5.1을 설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ESXi 5.1의 경우는 리얼텍 꽃게 칩셋도 대부분 잡히는 편입니다.
ESXi 5.5에서는 꽃게 칩셋 드라이버를 빼버려서 설치가 안됩니다.
ESXi 5.1에서는 램 4GB 지금 가진신걸로 설치 잘 됩니다.
     
정재훈79 2013-11
5.5 부터는... 4G 이상이군요..ㅠ,.ㅠ..

5.1로 다시 시도해 봐야겠습니다.. 리얼텍도 잡힌다면...ㅠ,.ㅠ.. 브로드컴도 삽질이었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2. ESXi 와 다를 바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콘솔창 제공하고, 가상 장치들에 이미지 넣어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단, VT-x/AMD-V 없으면 윈도우즈 계열은 설치 불가능합니다...만 지원하겠죠?
3. 가상 윈도우즈에 최소 램 4기가씩 배정은 해주시라고 권하고 싶네요. 그런 면에서 ESXi 5.1 을 권하고 싶습니다.
     
정재훈79 2013-11
답변 감사합니다.. 5.1로 한번 다시 시도해봐야겠네요..^^;
Xen 못지않게 Esxi 도 공부해야 할게 많은가 보군요..^^; 후우.. 서버의 세계란 쉽지 않네요..^^;
저도 ESXi 5.5에서 생성시키는 VM의 경우
 Windows Server 2012 R2의 2세대 Hyper-v 와같이
IDE하드쪽으로 가상하드의 마운팅이 않되어 고민중입니다.

더구나 ESXi의 경우
하드를 VM에 바로 붙이는 hard pass through가
2012와 같이 GUI로 직관적인 설정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콘솔로 일일히 명령어 타이핑하여 실제하드를 가상하드파일인 .VMDK로 연결시켜서 VM설정에서 이 VMDK를 끌어오는형태라

기존의 운영하던 Xpenology 데이터가 모두 실제하드로 연결되어있어 PCI pass through기능을 포기하고 다시 Windows Server 2012 R2로 복구할지 고민중입니다
     
정재훈79 2013-11
ESXI 도 쉬운건 아니군요... 으악~ 고민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박성만 2013-11
일단 2008 말고 2012에서 hyper-v 한 번 써보세요

제일 간단하고 만족스러울 겁니다

2008 R2 hyper V는 그냥 쓰레기 입니다
     
정재훈79 2013-11
2008 이 많이 안좋은가 보군요.. 2012.. 사양이 될지는 모르겠으나.. ESXI 실패하면.. 시도해봐야겠습니다..
hyper-v 자체는 직관적이라..어려움은 없을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요즘 도전중인
Openelec를 올려서 NVS300으로 화면출력,
리눅스기반 TV스트리밍서버에 TV 수신카드의 신호인식을 위해
PCI Pass Through가 지원하는 ESXi 5.5와 XenServer 6.2를 설치했는데...

역시 윈도우가 기본적으로 CLI기반이 아닌 모든 설정이 GUI기반이라
운영 및 하드웨어 상태를 확인할 때 더 편하더군요.


QnA
제목Page 3359/5725
2014-05   5243991   정은준1
2015-12   1769379   백메가
2013-11   8287   두리안
2013-11   27795   둥지장호준
2013-11   7994   파리대왕
2013-11   7533   김건우
2013-11   7214   Bearth
2013-11   7083   미수맨
2013-11   6811   소천백향
2013-11   6572   itisid
2013-11   7287   SERiOS
2013-11   5824   김상민
2013-11   5695   엄청난x
2013-11   6822   한혜성
2013-11   5385   송현우
2013-11   5644  
2013-11   5877   프리즘볼
2013-11   5228   허영진
2013-11   5539   TimeMaster
2013-11   5080   TimeMaster
2013-11   7102   황금3D
2013-11   5470   불무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