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도메인 연결 방식에 따른 파일 복사 속도

행아범   
   조회 4429   추천 0    

구글링 하다가 이상한걸 봤는데요.

smb or nfs 연결시에 도메인으로 연결하냐 IP로 연결하냐에 따라서 파일 복사 속도가 차이가 나네요?

이건 저도 경험해본거라 확실한 해결 방법을 알고 싶어요.

이정도 설명만으로도 답이 나올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ovelyJubbly 2013-11
DNS 서버 응답을 기다려야 하니 초기 응답 속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어짜피 전송할땐 해당 아이피로 연결되니 전송 속도는 차이가 없는 게 정상일듯 합니다.

방금 집에 있는 파일서버에서 테스트할때는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배준석 2013-11
차이가 나는게 정상이고 파일 숫자가 늘 수록 딜레이로 인한 속도차가 더 크죠.
라킷로더같은것으로 일부 줄일 수는 있지만 잃는거 없이 근본적으로 차이를 없애는건 불가능합니다.
왜냐면 설정에 따라 어떻게든 끌어올린다 해도 역으로 예를들어 서버가 stateless신호를 받아야하는 일반적인 환경이면 두마리 토끼를 다 잡지는 못합니다. 아울러 그 둘의 속도가 같은 경우가 있다면 dns가 빨라서 같은게 아니라
반대로 호스트 설정이나 ip바인딩같은 설정이 제대로 안되서 ip단이 느려져서 같아진겁니다. 그것 외에는 그 둘의 속도가 같을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없습니다.
warpy 2013-11
경험상, 큰 파일은 별 상관없지만, 자잘한 파일들일 경우는 파일 몇개 불러오고 DNS 쿼리 한번 때려주고 ... (이건 DNS 서버쪽과 클라이언트쪽 설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튜닝만 잘 하면 별 문제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만, 거꾸로 생각하면 극악의 경우는 DNS 쿼리에 응답하느라 날 샐 수도 있을 겁니다.)  이러기 때문에 시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 제 경우는 보통 파일 서버쪽은 ip address 로 연결하거나 hosts 파일에 적어둡니다.


QnA
제목Page 3359/5723
2015-12   1758955   백메가
2014-05   5232251   정은준1
2022-04   2674   머라카는데
2023-12   1841   스무프
2020-10   4707   화란
2011-01   10046   뚜뚜김대원
2016-04   4699   가마기
2015-02   13485   성민박
2018-06   5298   2CPU최주희
2022-05   1780   정의석
2013-10   6893   장동건2014
2017-03   3335   lamanus
2024-01   2336   전일장
2013-10   15298   LEE원석
2018-06   5237   건약
2011-02   6515   김민수
2018-06   4475   전설속의미…
2020-11   12005   audacity
2022-05   1265   미수맨
2011-03   7588   여주이상돈
2016-04   5147   차넷컴퓨터
2016-04   5368   별이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