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6708 |
0 |
2014-05
524670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1997 |
25 |
2015-12
1771997
1 백메가
|
47542 |
바이오스 업데이트 중에 이런 문구가 나옵니다. 분명히 맞는 바이오스 업데이트 인데… (2) |
신은왜 |
2016-10 |
4866 |
0 |
2016-10
4866
1 신은왜
|
47541 |
HP-840i 쓰기속도. (1) |
오성기 |
2007-02 |
4866 |
11 |
2007-02
4866
1 오성기
|
47540 |
PC3(L) 12800R 메모리 사려는데 저 전압이 좋은가요 일반 전압이 좋은가요? (5) |
민사장 |
2019-09 |
4866 |
0 |
2019-09
4866
1 민사장
|
47539 |
저렴하게 쇼핑몰 만들방법이 있을까요. (2) |
이성효 |
2006-06 |
4866 |
10 |
2006-06
4866
1 이성효
|
47538 |
t7910 프론트 오디오케이블 핀 규격문의?.. (2) |
권용1 |
2016-09 |
4866 |
0 |
2016-09
4866
1 권용1
|
47537 |
인텔 S3000 시리즈 (1) |
조중연 |
2007-03 |
4865 |
4 |
2007-03
4865
1 조중연
|
47536 |
HP P410 사용하시는 분들께 조언부탁드립니다. (1) |
알파맨 |
2012-06 |
4865 |
0 |
2012-06
4865
1 알파맨
|
47535 |
CCTV설치한 가게에 초파리가 수천마리 들어 옵니다. (5) |
으라차차차 |
2018-06 |
4865 |
0 |
2018-06
4865
1 으라차차차
|
47534 |
프록시서버 단점 / 세션 (9) |
나는관제 |
2019-08 |
4865 |
0 |
2019-08
4865
1 나는관제
|
47533 |
서버 NIC관련 문의입니다. (6) |
이페메라 |
2020-12 |
4865 |
0 |
2020-12
4865
1 이페메라
|
47532 |
vSphere USB 부팅 및 iso 설치 관련 질문드립니다. (1) |
크리스월 |
2015-09 |
4865 |
0 |
2015-09
4865
1 크리스월
|
47531 |
메모리 혼용 (ECC 의 경우) (10) |
송상병 |
2016-01 |
4865 |
0 |
2016-01
4865
1 송상병
|
47530 |
콘트롤러 많이 파는 곳 추천바랍니다 (10) |
김대성 |
2007-08 |
4865 |
3 |
2007-08
4865
1 김대성
|
47529 |
Vray용 랜더머신을 구성할려고 합니다. (3) |
박종국 |
2006-11 |
4865 |
15 |
2006-11
4865
1 박종국
|
47528 |
이베이의 피드백 서비스는 우리네 정서랑 좀 안맞는거 같아요... (7) |
정은준1 |
2014-07 |
4865 |
0 |
2014-07
4865
1 정은준1
|
47527 |
aix 6.1 이미지(iso) 다운받는곳 아시는분 .. (5) |
gowork |
2019-07 |
4865 |
0 |
2019-07
4865
1 gowork
|
47526 |
X9SCA-F 보드 부팅이 불가합니다. (7) |
CPDLC |
2012-02 |
4865 |
0 |
2012-02
4865
1 CPDLC
|
47525 |
ecc 램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2) |
이재건 |
2007-08 |
4864 |
41 |
2007-08
4864
1 이재건
|
47524 |
vmware, virtual pc 실용성이 있나요? (7) |
서정욱 |
2008-11 |
4864 |
5 |
2008-11
4864
1 서정욱
|
47523 |
Thinkpad e540 cpu 교체 문의드립니다. (2) |
봄들판에서다 |
2017-10 |
4864 |
0 |
2017-10
4864
1 봄들판에서다
|
요즘 개발툴들이 좋아서 문제가 생길 것 같은 경우 컴파일이 아에 되지 않거나 문제가 있다고 나오지만
특정상황(버그)인 경우 오류가 발생 하고 일반 적인 경우에는 커널단까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없으니
그냥 디버그 창 띄우고 말겠지만 가끔 드라이버 같은 것 건들이거나 커널단을 건들이거나 등등의 경우
그냥 메모리는 블루스크린 띄우고 죽습니다만 ECC 일 경우 싱글 비트 혹은 멀티 비트 오류 정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류라고 메세지 띄우거나 오류난 프로그램 종료 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개발자가 아니거나 완전히 검증된 프로그램만 사용하는 경우 ECC 같은 것 없어도 크게 무방합니다만
개발자의 경우나 공개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프로그램 돌려야 하면 있는 게 좋습니다.
음 죽는 경우도 없지만 싱글 쓰레드로 뭐 거의 완전 단순 코딩이라;;
살짝 안 써도 될듯하네요. 자바 자체가 문제라면 써야 되겠지만요.
제가 짜 놓고도 진짜 단순하거든요 ㅎ
운영체제나 기타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문제도 있지만 하드웨어 드라이버나
기타 하드웨어 오류에 따른 보정을 주 목적으로 합니다.
그래도 또 오류가 발생하면 또 보정을 계속 합니다.
이런 증상이 계속 발생하면 하드웨어쪽에 문제가 발생 했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있기 때문에 있어서 나쁠 건 없습니다.
다만 돈이 좀 더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만 업무용이면 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정상적인 환경에서 현대 dram의 싱글비트 오류 빈도는 칩당 백만초~천만초 당 1회 정도입니다(용량이나 공정, 칩의 질, 동작 속도 등에 따라 다릅니다).
보통 DIMM이 8~32chip 정도를 사용하고 시스템에 2 DIMM이 장착되어 있다고하면 오류가 얼마나 발생할지 대략 가늠이 되실겁니다.
멀티비트 오류는 싱글비트 오류의 확률을 곱하면 대충 맞습니다. 멀티비트 오류 확율은 저보다 상당히 낮죠.
싱글비트 오류는 패러티로 수정되므로 실제 ECC가 필요한 것은 더블비트 이상의 오류이구요.
데스크탑 환경에서는 메모리 사용량(물리적으로 장착된 메모리 수)이 적어 오류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기에 ECC 적용을 안한 것이고...
서버의 경우는 고용량 요구가 많고 칩수가 많아지다보니 오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고가용 서버의 경우 ECC를 권하는 이유는 이것이구요.
ECC 정정 동작하면 시스템 로그에 남습니다. 윈도우 같은 경우 하드웨어 이벤트로 기록되구요.
일반 시스템에서는 생각보다 보기 쉽지 않습니다.
칩 사다가 3자가 제조한 모듈(옛날에 얘기되던 B자)을 쓴다거나 부품이나 환경이 열악하거나 한게 아니라면요.
edac는 소프트웨어로 구현가능하긴 하지만(일부 중요한 소프트웨어에서는 코드 자체에 검출루틴을 넣기도 합니다)
소프트웨어를 단순하게 짠다고 오류가 적거나 안나거나 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빈도와 돌아가는 코드(소프트웨어)와는 별 상관 없습니다.
참, 램도 동용량 동성능이라면 기술이나 공정이 무르익은 놈 사는게 이런 면에서는 유리합니다.
(더 자세한건 전문가께서...)
페리티 채크에서 에러가 나면 보정을 하여 돌아갑니다.
가격은 저렴하지만서도 이유가다있엇군요
그냥 ecc만 있는줄 알았어요 예전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