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몇가지 궁금한 점들이 생겨 질문을 올리고자 합니다. ^^
지난 번과 중복되는 질문이 있을 수도 있는데
너그럽게 한번만 양해 부탁드립니다.
1. 771 소켓 제온 775 보드 사용편.
1-1. 771 소켓 제온 L5420 을 이배희여사님을 통해 2개를 구입했습니다.
테스트로 써보고 몇개를 더 구입하고자 합니다만..
파일서버로 사용할 녀석이라 3TB 이상의 하드들이 많이 달렸으면 좋겠는데..
(보드 내장 레이드 기능도 사용할 수 있으면 더 좋습니다! 레이드 5가 되는 보드도 있던데 3TB 지원유무를 모르겠네요.)
혹 이런걸 지원하는 775 보드가 있을까요?
(이 세대 제품들이 3TB HDD 에 대한 지원이 어렵네요ㅠ)
(조준배님의 wx6400 을 사고 싶었는데, 구글링하니 2TB까지만 지원하는 것 같아가지고 ㅠ)
1-2. 아니면 3TB 이상의 하드를 지원하는 저렴한 사타 확장 카드나 레이드 카드가 있는지..
2. 디스크리스 시스템을 구축할 때 DHCP 서버도 구성하던데, 이러면 공유기의 DHCP 서버와 충돌이 일어나는거 아닌가요?
3. 호스트OS 에서 티밍으로 1+1 Gbps 대역폭을 구성해놓으면, 게스트OS에서도 자동으로 이 대역폭을 사용가능한가요? 아니면 따로 작업을 해줘야하는지..
(게스트에서 2개의 핵놀러지 와 1개의 윈도우를 돌리고 싶습니다.[버추얼박스를 이용해 돌리는 중])
(아직 티밍가능한 스위치와 랜카드가 없어 실제 구성을 못해봐 상상으로만 드리는 질문 ㄷㄷ)
4. 가상화.
4-1. 데스크탑 가상화 클라우드 구성시 라이센스 비용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한가요?
예:) 클라이언트를 저사양 PC(공용)로 사용한다 했을 때, 가상화 툴은 공개용 버추얼박스, 클라이언트에서는 팀뷰어로..
다른 자리나 외부에서 사용시에도 팀뷰어에 로그인해서 사용하면 언제나 자기 것으로 사용가능 할 것 같은데..
(팀뷰어는 동영상 등은 지원이 안되는 것 같던데, 이걸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 가상화인 느낌이 아니라 그냥 전체화면으로 내 PC를 쓰는 느낌.)
4-1-1. 이베희여사님을 보다보니 PANO LOGIC 이라는 제로클라이언트를 보았습니다.
이녀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솔루션을 이용해 가능한 것인지, 다른 오픈소스에서도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녀석이 다른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면 굳이 4-1에서 일반PC를 이용해 전기를 낭비할 필요가 없어지니까요..)
4-2. 원본이미지가 30GB 인 윈도우VM을 똑같이 여러개 만들어 사용할 경우,
모든 이미지마다 30GB의 용량을 가지는지.. 아니면 30GB 에서 이후 변경되는 부분들만 각각의 이미지에 기록되는건지?
(*디스크리스 방식은 BTRFS 로 하면 저리 되는 것 같던데..)
4-3. 게스트OS 사용시 호스트에서 보면 VDI 파일로만 있는데, 게스트OS에서 저장한 파일들이 호스트에서도 바로 보이게 할 수 없나요?
(버추얼박스에서 데이터 설정 시 VDI 로 안하고 하드디스크나 특정폴더로 그냥 연결할 수 있는지.. 여러게스트의 파일들을 호스트에서 그냥 관리하고 싶어서요.)
5. 와이파이를 여러개 사용할 경우, 위치를 이동하면 접속이 끊기면서 다른 기기로 새로 접속되는거죠? 와이브로처럼 쭈욱 이어서는 사용이 안되겠죠?
(DHCP 기능끄고 AP모드로만 사용시)
## 가상화 혹은 디스크리스를 하려는 이유는 모든 데이터를 중앙으로 집중시키고 싶어서입니다.
## 제로클라이언트가 가능하다면 가족들의 PC를 모두 치우고 가상화로 돌려버릴려고 합니다. 어차피 간단한 오피스 및 동영상, 인터넷 이니까.. 가벼운 홈서버 한대가 다 처리가능할 것 같아서..
---------------
별거 아닌데 쓰다보니 한시간이 훨씬 훌쩍 넘었네요.
(잠잘 시간이 지나다보니 생각이 안나네요 더 물어볼게 많았는데..)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좋은 꿈 꾸시길 바랍니다.
언제나 늘 행복하세요.
답변 다시는 분들도 생각해 주시길...
1. 데스크탑 보드의 내장 레이드 안쓰시는게 좋습니다. 장터에서 거래되는 대부분의 SAS/SATA 카드들 2TB이상 지원됩니다.
2. 사용하시는 공유기에 따라 조절 가능합니다. 그리고 디스크리스 시스템을 위한 서버 구성환경과 공유기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보입니다.
4. 가상화가 목적인지 디스크리스가 목적인지 제로클라이언트가 목적인지 구분이 잘 안되는 질문이네요. 데이터를 한데 모으는 것과 모든 리소스를 한데 모으는 것은 다른 이야기입니다.
5. 와이파이 핸드오버 기술은 상용화된지 아직 얼마 안됩니다. KT나 SKT에서 적용한지 2년쯤 되었고요. 가정처럼 좁은 환경에서 이런 구성을 하시면 죄없는 휴대기기들 배터리만 엄청나게 떨어질겁니다. 공유기를 가정하신것 같은데, 공유기는 본질적으로 AP와 목적이 다른 기기입니다.
지금 올린 질문이 한 시스템의 그것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냥그냥 막 생각나는대로 질문을 해 본 것이라..
별개의 것이라 생각해주시면.. 쿨럭..
넓은 공간은 그냥 커버리지 빵빵한 아수스 에이씨 써야겠네요
고맙습니다
그냥 싼 PC 여러대 쓰는 것이 더 좋고 자료의 집중이 필요하면 NAS나 xenology 같은 것을 쓰셔야 하구요.
별로라는 말을 듣고
그럼 집에서라도 써보지~ 싶었는데 이것도 영 별로였군요.
집에서 하는게 고작 인터넷/동영상(드라마) 뭐 요런 것 밖에 없어서
아깝기도 했는데
핵놀러지를 열심히 돌려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