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1049 |
0 |
2014-05
525104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6128 |
25 |
2015-12
1776128
1 백메가
|
48328 |
아파트 인터넷(KT) 에 대해.. (13) |
2CPU최주희 |
2014-01 |
12164 |
0 |
2014-01
12164
1 2CPU최주희
|
48327 |
첨부 자료 보세요. (3) |
멋쟁이오빠 |
2014-01 |
4151 |
0 |
2014-01
4151
1 멋쟁이오빠
|
48326 |
나사처럼 돌리는 케이블 조인트를 찾습니다. (2) |
오준호5 |
2014-01 |
4699 |
0 |
2014-01
4699
1 오준호5
|
48325 |
vmware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2) |
sensekuh |
2014-01 |
3580 |
0 |
2014-01
3580
1 sensekuh
|
48324 |
공유기와 스위칭 허브를 공유기 한대에서 해결할수는 없나요? (11) |
병맛폰 |
2014-01 |
7083 |
0 |
2014-01
7083
1 병맛폰
|
48323 |
KT 쿡허브가 그런 기능이 있습니다. (5) |
멋쟁이오빠 |
2014-01 |
6156 |
0 |
2014-01
6156
1 멋쟁이오빠
|
48322 |
RCA to 컴포넌트로 변환하려면 젠더로는 불가능한가요??? (6) |
병맛폰 |
2014-01 |
16527 |
0 |
2014-01
16527
1 병맛폰
|
48321 |
1366 듀얼보드 ecc 메모리 관련 질문 드립니다! (10) |
Nicoffeine |
2014-01 |
4829 |
0 |
2014-01
4829
1 Nicoffeine
|
48320 |
연주회나 합창,악기, 녹음할만한 휴대용 기기가 있을지요? (8) |
박중석 |
2014-01 |
5899 |
0 |
2014-01
5899
1 박중석
|
48319 |
S5500HCV 메뉴얼 읽던중 질문이있습니다.. (1) |
길가던뉴비 |
2014-01 |
3415 |
0 |
2014-01
3415
1 길가던뉴비
|
48318 |
USB 3.0 허브 4포트 제품 추전부탁합니다. (2) |
왕용필 |
2014-01 |
4113 |
0 |
2014-01
4113
1 왕용필
|
48317 |
콘덴서 - 극이 이게 맞는지요? (3) |
김용운 |
2014-01 |
4828 |
0 |
2014-01
4828
1 김용운
|
48316 |
이 소자는 무엇일까요 (5) |
AKA지니 |
2014-01 |
4041 |
0 |
2014-01
4041
1 AKA지니
|
48315 |
E5 제온 2가지의 체감 성능을 좀 여쭈겠습니다. (9) |
방o효o문 |
2014-01 |
5508 |
0 |
2014-01
5508
1 방o효o문
|
48314 |
세대내 접지 관련하여... (4) |
윈도우10 |
2014-01 |
5664 |
0 |
2014-01
5664
1 윈도우10
|
48313 |
방수 도료나 본드 같은 것이 있는지요? (8) |
미수맨 |
2014-01 |
13025 |
0 |
2014-01
13025
1 미수맨
|
48312 |
mini dp에 듀얼링크 dvi 모니터를 쓰려면 (4) |
방o효o문 |
2014-01 |
4687 |
0 |
2014-01
4687
1 방o효o문
|
48311 |
Intel AMT(vPro) IDE-R 사용 문의 드립니다. (2) |
송진홍 |
2014-01 |
5099 |
0 |
2014-01
5099
1 송진홍
|
48310 |
ATI FirePro 2270 가 2560지원하나요? (3) |
이정근 |
2014-01 |
4697 |
0 |
2014-01
4697
1 이정근
|
48309 |
raid 0관련 몇가지 질문드려요 (9) |
Nicoffeine |
2014-01 |
4972 |
0 |
2014-01
4972
1 Nicoffeine
|
짧은 거리는 선배열만 같으면 큰 문제 없지만...
RJ45 제한 거리인 100m 정도로 한번 테스트 해 보시면 차이가 있지 않을 까요?
저도 테스트 진행은 해보지 않아서...
검은색선으로 8가닥 사용해서 만들수 있지만 끝과 끝을 찾을려면 해매겠죠 .... 테스터가없으면 뭐가 잘못됬는지도 모르겠지만....
색으로 어떤 신호인지 알수있잖아요 ? 작업효율을 높이하고 시각적으로도 불량여부를 알수 있으니까 표준 아닐까요 ?
나이가 들어서 기억력이 떨어지면 보고 와서도 어라.. 뭔 색순으로 되어 있었지? 하고 다시 가는 열받는 일이 없겠죠.
빨리 알아보게 한다는 것이죠.
케이블을 만들때 길이의 제한 등등은 신호의 손실과 관계가 됩니다.
언제나 대충 만들어 썼습니다.
간섭신호를 줄이기위해 TP(트위스트페어)를 사용하는데, 그중 RX/TX선을 1245에 배치하는 이유가 간섭신호가 가장적은배치이기 때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CAT5를 기준으로 등급을 정할때 케이블의 저항값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CAT5인증과 그 이상급 인증의 차이가 불과 10~20옴 차이라고합니다.
길이가 길어지면 저항은 늘어나게되고, 이는 곧 데이터 전송능력에서 차이가 발생할수있는 요인이 되므로,
가장 안정적인 작업방법을 표준으로 사용하는것이겠죠.
배열을 맞춰서 마음대로 사용한다고 통신이 안되지는 않겠지만, 그 거리가 늘어난다면 문제(성능저하 등)가 생길수있다고 봅니다.
표준을 따르지 안고 임의로 제작하여 특별한것 마냥 소비자를 우롱하고 판매하는 분도 간혹 있습니다.
자사 제품을 강제 사용하게끔 하는 상술.
벨런스드 모드로 신호를 전송할 때 두가닥을 꼬아서 신호를 보내면 외부 노이즈에 대하여 매우 강하게 됩니다.
표준을 따라 사용하면 각 페어는 + 쪽과 -쪽이 서로 잘 꼬이는 반면 순서만 맞게 사용한다면 괴랄하게 될 겁니다.
정 표준을 따르고 싶지 않다면 띠색과 그냥 색끼리 짝은 맞춰야 할 겁니다.
가장 단순한 예로
시리얼 통신할때 RS-232C도 있지만 (우리가 아는 COM1 COM2 포트 같은 것)
아주 먼거리 전송 및 1:N 전송으로 자주 사용하는 RS-485 통신 방법이 있습니다. 단 2가닥으로 Tx와 Rx 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 그 2가닥 (1페어)를 꼬아주지 않으면 통신이 안됩니다. 외부 전기장이나 자기장 노이즈로 다 들어갑니다.
횟수가 틀립니다
신호 타이밍 에 맞춰서 그렇게 제작된겁니다
표준아닌 마음대로 색상맞춰서 제작해도 동작은합니다 만
전송속도나 노이즈에 영향 받는것은 피할수 없습니다
표준은 설계자의 의도 이므로 따라야만 문제없이 사용가능합니다
이런 의구심이 공학을 발전시킴니다. 추천
모 업체 네트웍이 문제가 있어서 며칠을 고생했는데.. 결론은 568B 규격이 아니라, 막무가내 배선이더군요.
한번 해보시면 왜 568B로 규격을 맞춰서 해야하는지 뼈저리게 느낍니다.
케이블은 순서대로 양쪽에 찍어놨더라구요. 결국 표준을 지키지 않으면 장애가 발생합니다.
위에분들 말씀대로 케이블을 꼬아서 만들어놓은 이유가 전기적 간섭,저항때문에 데이터 에러가 발생할수있는것같습니다.
그래서 랜케이블을 타이로 묶을때 전기선과 같이 하지마라는 이유도 바로 전기적 신호 간섭때문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직접 테스트 해보면 바로 이해가실겁니다.
표준으로 찍으면 나중에라도 문제가 없죠.
표준으로 하면 그냥 선순서 잡아서 하면되는데..그게 반대편 선이 어느것인지부터 다시 확인을해야하는데
선 복잡한곳이면 시간을 많이 잡아먹기도 합니다.
아마도 대충 만들어 쓰다가 문제가 생긴 경험을 가진 분들이 많겠지만 그냥 보기에 좋으라고 만든 것이 아니라 공돌이 선배님들의 고난과 땀이 서려 있는 규격이랍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