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437 |
0 |
2014-05
525743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249 |
25 |
2015-12
1782249
1 백메가
|
112917 |
E5-2670으로 4k영상작업 질문 (6) |
컴박 |
2018-08 |
4206 |
0 |
2018-08
4206
1 컴박
|
112916 |
이런 업체는 다 협약을 맺고 크롤링 하는 것일까요? (4) |
검은콩 |
2021-01 |
3459 |
0 |
2021-01
3459
1 검은콩
|
112915 |
SSD 500GB 급 추천해주세요 (4) |
Sunrise |
2015-04 |
4722 |
0 |
2015-04
4722
1 Sunrise
|
112914 |
esxi 6.5 사용중에 esxi가 마치 PC가 꺼진것처럼 웹접속, ssh 등 모든게 안됩니다...… (16) |
nad4 |
2019-10 |
3847 |
0 |
2019-10
3847
1 nad4
|
112913 |
갑자기 CPU 이용율에 이상 한 패턴의 사용량이 나타남니다 (6) |
무쏘뿔처럼 |
2022-08 |
1628 |
0 |
2022-08
1628
1 무쏘뿔처럼
|
112912 |
HP z620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2) |
형팀 |
2017-05 |
4095 |
0 |
2017-05
4095
1 형팀
|
112911 |
하드 구매하려는데 스펙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8) |
일론머스크 |
2016-06 |
4061 |
0 |
2016-06
4061
1 일론머스크
|
112910 |
자동급지 세단기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6) |
Twin |
2013-12 |
4909 |
0 |
2013-12
4909
1 Twin
|
112909 |
서비스에서 설정 |
뚜뚜김대원 |
2011-08 |
6240 |
0 |
2011-08
6240
1 뚜뚜김대원
|
112908 |
안녕하세요 서버 SR650에 대해 물어보고싶습니다 (5) |
적이 |
2018-09 |
4191 |
0 |
2018-09
4191
1 적이
|
112907 |
RJ45 만들때 꼭 표준을 따르는 이유가 있나요? (18) |
거니네 |
2014-01 |
8363 |
0 |
2014-01
8363
1 거니네
|
112906 |
인두기 이거 써도 될까요? hakko 936 카피라는데 성능이 같다고 그래서요 (5) |
늘파란 |
2016-06 |
6982 |
0 |
2016-06
6982
1 늘파란
|
112905 |
x9drh-7f 보드 그래픽카드 지원여부 (10) |
몰보노 |
2024-04 |
2651 |
0 |
2024-04
2651
1 몰보노
|
112904 |
영화 감상용으로 TV 혹은 모니터? (7) |
김효수 |
2018-09 |
4608 |
0 |
2018-09
4608
1 김효수
|
112903 |
SATA3 를 사용하게 되면 읽기 쓰기 속도가 얼마나 나오나요? (6) |
무아 |
2011-08 |
7888 |
0 |
2011-08
7888
1 무아
|
112902 |
Z820 팬속도가 틀린 이유 (1) |
미담 |
2015-05 |
3843 |
0 |
2015-05
3843
1 미담
|
112901 |
ASUS RT AC-87R 이 제품 공유기 괜찮은 건가요? (18) |
신은왜 |
2021-02 |
3180 |
0 |
2021-02
3180
1 신은왜
|
112900 |
유닉스 리눅스 서버운영시 업데이트에 게으른 이유가 뭔가요? (13) |
겨울나무 |
2015-05 |
6247 |
0 |
2015-05
6247
1 겨울나무
|
112899 |
노트북 부딩을 하는대 이상한 메세지가 뜨네요 고수님들 조언부탁해요 (7) |
적멸보궁 |
2016-07 |
4272 |
0 |
2016-07
4272
1 적멸보궁
|
112898 |
5.25 베이에 2.5인치 2개와 노트북ODD가 들어가는 제품이 있나요? (7) |
떠돌이늑대 |
2011-09 |
6960 |
0 |
2011-09
6960
1 떠돌이늑대
|
짧은 거리는 선배열만 같으면 큰 문제 없지만...
RJ45 제한 거리인 100m 정도로 한번 테스트 해 보시면 차이가 있지 않을 까요?
저도 테스트 진행은 해보지 않아서...
검은색선으로 8가닥 사용해서 만들수 있지만 끝과 끝을 찾을려면 해매겠죠 .... 테스터가없으면 뭐가 잘못됬는지도 모르겠지만....
색으로 어떤 신호인지 알수있잖아요 ? 작업효율을 높이하고 시각적으로도 불량여부를 알수 있으니까 표준 아닐까요 ?
나이가 들어서 기억력이 떨어지면 보고 와서도 어라.. 뭔 색순으로 되어 있었지? 하고 다시 가는 열받는 일이 없겠죠.
빨리 알아보게 한다는 것이죠.
케이블을 만들때 길이의 제한 등등은 신호의 손실과 관계가 됩니다.
언제나 대충 만들어 썼습니다.
간섭신호를 줄이기위해 TP(트위스트페어)를 사용하는데, 그중 RX/TX선을 1245에 배치하는 이유가 간섭신호가 가장적은배치이기 때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CAT5를 기준으로 등급을 정할때 케이블의 저항값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CAT5인증과 그 이상급 인증의 차이가 불과 10~20옴 차이라고합니다.
길이가 길어지면 저항은 늘어나게되고, 이는 곧 데이터 전송능력에서 차이가 발생할수있는 요인이 되므로,
가장 안정적인 작업방법을 표준으로 사용하는것이겠죠.
배열을 맞춰서 마음대로 사용한다고 통신이 안되지는 않겠지만, 그 거리가 늘어난다면 문제(성능저하 등)가 생길수있다고 봅니다.
표준을 따르지 안고 임의로 제작하여 특별한것 마냥 소비자를 우롱하고 판매하는 분도 간혹 있습니다.
자사 제품을 강제 사용하게끔 하는 상술.
벨런스드 모드로 신호를 전송할 때 두가닥을 꼬아서 신호를 보내면 외부 노이즈에 대하여 매우 강하게 됩니다.
표준을 따라 사용하면 각 페어는 + 쪽과 -쪽이 서로 잘 꼬이는 반면 순서만 맞게 사용한다면 괴랄하게 될 겁니다.
정 표준을 따르고 싶지 않다면 띠색과 그냥 색끼리 짝은 맞춰야 할 겁니다.
가장 단순한 예로
시리얼 통신할때 RS-232C도 있지만 (우리가 아는 COM1 COM2 포트 같은 것)
아주 먼거리 전송 및 1:N 전송으로 자주 사용하는 RS-485 통신 방법이 있습니다. 단 2가닥으로 Tx와 Rx 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 그 2가닥 (1페어)를 꼬아주지 않으면 통신이 안됩니다. 외부 전기장이나 자기장 노이즈로 다 들어갑니다.
횟수가 틀립니다
신호 타이밍 에 맞춰서 그렇게 제작된겁니다
표준아닌 마음대로 색상맞춰서 제작해도 동작은합니다 만
전송속도나 노이즈에 영향 받는것은 피할수 없습니다
표준은 설계자의 의도 이므로 따라야만 문제없이 사용가능합니다
이런 의구심이 공학을 발전시킴니다. 추천
모 업체 네트웍이 문제가 있어서 며칠을 고생했는데.. 결론은 568B 규격이 아니라, 막무가내 배선이더군요.
한번 해보시면 왜 568B로 규격을 맞춰서 해야하는지 뼈저리게 느낍니다.
케이블은 순서대로 양쪽에 찍어놨더라구요. 결국 표준을 지키지 않으면 장애가 발생합니다.
위에분들 말씀대로 케이블을 꼬아서 만들어놓은 이유가 전기적 간섭,저항때문에 데이터 에러가 발생할수있는것같습니다.
그래서 랜케이블을 타이로 묶을때 전기선과 같이 하지마라는 이유도 바로 전기적 신호 간섭때문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직접 테스트 해보면 바로 이해가실겁니다.
표준으로 찍으면 나중에라도 문제가 없죠.
표준으로 하면 그냥 선순서 잡아서 하면되는데..그게 반대편 선이 어느것인지부터 다시 확인을해야하는데
선 복잡한곳이면 시간을 많이 잡아먹기도 합니다.
아마도 대충 만들어 쓰다가 문제가 생긴 경험을 가진 분들이 많겠지만 그냥 보기에 좋으라고 만든 것이 아니라 공돌이 선배님들의 고난과 땀이 서려 있는 규격이랍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