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475 |
0 |
2014-05
513947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025 |
25 |
2015-12
1674025
1 백메가
|
42262 |
마이크로틱 스위치 인터넷 속도 원래 느린가요??ㅠ (21) |
leesh2143 |
2021-06 |
4461 |
0 |
2021-06
4461
1 leesh2143
|
42261 |
AMT(vPRO) 뷰어 관련 문의 드립니다. (3) |
세이용이 |
2015-08 |
4461 |
0 |
2015-08
4461
1 세이용이
|
42260 |
vm ware 에 가장 가벼운 운영체계는? (10) |
두부깜바 |
2018-02 |
4461 |
0 |
2018-02
4461
1 두부깜바
|
42259 |
저번에 g9 물건구매후 해외20% 캐쉬백 신청하는거 궁금한점이.. (6) |
구명서 |
2015-11 |
4461 |
0 |
2015-11
4461
1 구명서
|
42258 |
2핀 꽂는곳에 3핀꽂아도 될까요? (1) |
캡틴아메리카노 |
2015-04 |
4461 |
0 |
2015-04
4461
1 캡틴아메리카노
|
42257 |
HP D2600 인클로저 연결 문의 (1) |
어드민플레이 |
2016-04 |
4461 |
0 |
2016-04
4461
1 어드민플레이
|
42256 |
노트북이 말썽이네요. (8) |
차평석 |
2016-04 |
4461 |
0 |
2016-04
4461
1 차평석
|
42255 |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 모드" 해제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한쪽 화면… (2) |
범범이 |
2016-10 |
4461 |
0 |
2016-10
4461
1 범범이
|
42254 |
한 서버에 웹사이트 2개 돌릴 때, 하드 구성이.. (12) |
perls |
2016-08 |
4461 |
0 |
2016-08
4461
1 perls
|
42253 |
게임콘솔 무엇을 사야하는지요? (10) |
나파이강승훈 |
2016-10 |
4461 |
0 |
2016-10
4461
1 나파이강승훈
|
42252 |
한컴파일 및 알집 egg 파일 복구 업체 또는 프로그램 있나요 (12) |
니크네이므 |
2019-02 |
4460 |
0 |
2019-02
4460
1 니크네이므
|
42251 |
tesla M1060 활용에 대한 질문 (4) |
불타는SAM |
2014-01 |
4460 |
0 |
2014-01
4460
1 불타는SAM
|
42250 |
HP Gen8 서버의 내장레이드(1+0) 일반 하드 사용시 안정성 문의 (10) |
행복단지 |
2015-12 |
4460 |
0 |
2015-12
4460
1 행복단지
|
42249 |
특정 HDD 가 반복적으로 리빌딩 됩니다. (8) |
Leo |
2014-02 |
4460 |
0 |
2014-02
4460
1 Leo
|
42248 |
서버 이미지 뜨기 (3) |
나파이강승훈 |
2015-04 |
4460 |
1 |
2015-04
4460
1 나파이강승훈
|
42247 |
서버에 접속해보려는데 ip와 계정만 압니다. (7) |
겨울나무 |
2016-10 |
4460 |
0 |
2016-10
4460
1 겨울나무
|
42246 |
하드디스크 상태 문의 (3) |
삐돌이슬픔이 |
2016-10 |
4460 |
0 |
2016-10
4460
1 삐돌이슬픔이
|
42245 |
dell precision t5600 case 에 atx 보드를 장착 가능할까요? (4) |
ery |
2015-09 |
4460 |
0 |
2015-09
4460
1 ery
|
42244 |
하드 두개가 있는데요... (2) |
정희섭 |
2006-12 |
4460 |
26 |
2006-12
4460
1 정희섭
|
42243 |
이런것은 버리나요? (10) |
허인구마틴 |
2018-10 |
4460 |
0 |
2018-10
4460
1 허인구마틴
|
네트웍별로 mrtg를 설치하시면 간단히 확인될듯합니다.
하지만 여러대를 각각 셋팅할수도 있겠지만
의심가는 아이나
의심가는 그룹만 설정하셔서 점점 좁혀서 해당 장비를 찾는것도 무난할듯 하네요.
대부분 네트웍 문지 발생시
외부의 문제일수도 있지만
내부일 경우도 있으니 내부 바이러스 체크부터.....
저희는 URL로 보기만 하는터라 따로 작업을 할 순 없구요..
각서버별로 Microsoft Network Monitor 프로그램으로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SNMP프로그램 구동후 MRTG프로그램만 설치하면 되고요.
윈도는 PERL프로그램 추가설치해야하고요.
어렵진 안으니 도전을.....
잘 모르시면 MRTG로 검색해보시면 설치법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아니면 CBAND라도.......
현재 단일 서버당 누적 패킷량 비교해서 업로드보다 다운로드가 많은 서버들을
추려내고, 원인파악중에 있습니다.
최근에 내부에 트래픽 돌아서 네트워크 5분동안 마비된적이 있었는데 그게 4대의 PC에서 그리드 방식으로 업데이트가 돌아 뻗어버린 현상이였습니다.
그 현상을 TMG가 추적해서 잡아내고 차단해버리더군요.
그냥 서버에 접속해서 일일이 확인해 보심이 어떨런지요?
윈도우 서버는 원격데스크탑 접속해서 작업관리자나 Performance Monitor로 네트웍 트래픽 확인하면 될듯하고
리눅스는 dstat이나 nmon 같은 툴로 확인해 보시면 될듯합니다.
지속적인 상황이 아니라 간헐적인 상황이면 위의 툴에서 로그를 저장하도록 해서 나중에 확인해 보면 될테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