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1136 |
0 |
2014-05
523113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7861 |
25 |
2015-12
1757861
1 백메가
|
41974 |
안녕하세요 마지막으로 오라클 방화벽 질문입니다... (2) |
질문학생 |
2017-01 |
4540 |
0 |
2017-01
4540
1 질문학생
|
41973 |
[ 맥북프로 DOCK ] 4K 지원 (6) |
전설속의미… |
2018-10 |
4540 |
0 |
2018-10
4540
1 전설속의미…
|
41972 |
Z820 보드가 V2 지원, V1 지원 보드가 따로 있나요? (5) |
강물처럼 |
2016-10 |
4540 |
0 |
2016-10
4540
1 강물처럼
|
41971 |
델 optiplex 9020 에 i5 4690cpu 호환문제 (1) |
쌍cpu |
2015-09 |
4540 |
0 |
2015-09
4540
1 쌍cpu
|
41970 |
사진이나 기타 중요한 동영상들 어떻게 보관하고 백업 하시는지요. (10) |
으라차차차 |
2018-05 |
4540 |
0 |
2018-05
4540
1 으라차차차
|
41969 |
KT 인터넷 PC 수량 제한에 관해서 질문이 있어요. (25) |
audacity |
2023-06 |
4540 |
0 |
2023-06
4540
1 audacity
|
41968 |
회사 네트워크 문의드립니다. - 공유기.. (8) |
테러리스트 |
2016-11 |
4540 |
0 |
2016-11
4540
1 테러리스트
|
41967 |
제 선택이 옳은걸까요? (6) |
BDGG |
2014-09 |
4540 |
0 |
2014-09
4540
1 BDGG
|
41966 |
인텔보드 as 문제 (6) |
손갑빈 |
2016-05 |
4540 |
0 |
2016-05
4540
1 손갑빈
|
41965 |
아이폰4s 배터리 교체할 사설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이동범 |
2015-04 |
4540 |
0 |
2015-04
4540
1 이동범
|
41964 |
제 피씨에서 와이어샤크로 패킷을 떠봤는데요. (1) |
2FluF |
2017-02 |
4540 |
0 |
2017-02
4540
1 2FluF
|
41963 |
메인보드 추천해주세요 (2cpu) (2) |
Dishy |
2016-09 |
4540 |
0 |
2016-09
4540
1 Dishy
|
41962 |
구형 775보드의 cpu팬 에러가 왜 뜨나요? (4) |
신은왜 |
2017-08 |
4540 |
0 |
2017-08
4540
1 신은왜
|
41961 |
결제 에러, 이거 뭐가 잘못된건지? (6) |
엠브리오 |
2016-04 |
4540 |
0 |
2016-04
4540
1 엠브리오
|
41960 |
옵테252에서업글한다면 (4) |
김한결 |
2007-06 |
4540 |
10 |
2007-06
4540
1 김한결
|
41959 |
KVM과 시리얼 (9) |
행복을찾아서 |
2016-03 |
4540 |
0 |
2016-03
4540
1 행복을찾아서
|
41958 |
왜 2.5"는 2TB 하드가 외장으로만 나올까요? (6) |
VSPress |
2015-04 |
4539 |
0 |
2015-04
4539
1 VSPress
|
41957 |
Tesla GPU 거래 가능한 곳... (6) |
SeaOtter |
2014-10 |
4539 |
0 |
2014-10
4539
1 SeaOtter
|
41956 |
해결 : Gen8, P420에서 raid 설정이 안 됩니다. (8) |
Mark |
2018-05 |
4539 |
0 |
2018-05
4539
1 Mark
|
41955 |
저가형 저용량 ssd 2개 사서 raid 0 하려합니다. ssd에 스펙상 기능많아봐야 별차이 … (22) |
김건우 |
2018-02 |
4539 |
0 |
2018-02
4539
1 김건우
|
네트웍별로 mrtg를 설치하시면 간단히 확인될듯합니다.
하지만 여러대를 각각 셋팅할수도 있겠지만
의심가는 아이나
의심가는 그룹만 설정하셔서 점점 좁혀서 해당 장비를 찾는것도 무난할듯 하네요.
대부분 네트웍 문지 발생시
외부의 문제일수도 있지만
내부일 경우도 있으니 내부 바이러스 체크부터.....
저희는 URL로 보기만 하는터라 따로 작업을 할 순 없구요..
각서버별로 Microsoft Network Monitor 프로그램으로 한번.. 해보려고 합니다.
SNMP프로그램 구동후 MRTG프로그램만 설치하면 되고요.
윈도는 PERL프로그램 추가설치해야하고요.
어렵진 안으니 도전을.....
잘 모르시면 MRTG로 검색해보시면 설치법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아니면 CBAND라도.......
현재 단일 서버당 누적 패킷량 비교해서 업로드보다 다운로드가 많은 서버들을
추려내고, 원인파악중에 있습니다.
최근에 내부에 트래픽 돌아서 네트워크 5분동안 마비된적이 있었는데 그게 4대의 PC에서 그리드 방식으로 업데이트가 돌아 뻗어버린 현상이였습니다.
그 현상을 TMG가 추적해서 잡아내고 차단해버리더군요.
그냥 서버에 접속해서 일일이 확인해 보심이 어떨런지요?
윈도우 서버는 원격데스크탑 접속해서 작업관리자나 Performance Monitor로 네트웍 트래픽 확인하면 될듯하고
리눅스는 dstat이나 nmon 같은 툴로 확인해 보시면 될듯합니다.
지속적인 상황이 아니라 간헐적인 상황이면 위의 툴에서 로그를 저장하도록 해서 나중에 확인해 보면 될테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