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port -> IP:port 로 변환시켜주는 장비나 있을까요?

   조회 4465   추천 0    

특정 프로그램(이하 A)을 도입하려고 하는데 좀 골치아프네요.

이 A 프로그램이 도메인이 있어야 하고, 포트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에서도 해당 도메인/포트로만 접속을 해야 하구요.
더 정확히 말씀드리면, 외부에서 특정 포트로 값을 요청하면 이 A 프로그램들이 각각 자신의 도메인과 포트를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주는데, 제가 만드는 프로그램에서 그 부분을 건드릴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해당 A 프로그램은 KT UCloudBiz Server 에 설치되어 있어서 실제IP 개에 포트로 구분해서 들어가야 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고정된 포트를 쓰는 저 프로그램이 동시 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 또다른 방법으로 KT UCloud 에 A 프로그램 수 만큼 IP 을 신청하는 방법이 있는데, 한 두대 쓸 제품이 아니라서 그것도 난감합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내부에 한 장비(이하 B)를 둬서 외부에서 한 포트로 여러 도메인이 KT UCloudBiz 의 B 장비로 몰려서 접속한 뒤 그 장비가 도메인 별로 IP 을 쪼개서 여러 A 서버로 분산되서 접속하는 경로를 통과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웃긴게, A 프로그램은 서로간에 계속적인 통신을 하며(클러스터링 기능 내장) 이 때에도 도메인 명으로만 통신을 하기 때문에 내부의 A 프로그램들도 B 장비를 거쳐서 A 프로그램의 도메인을 통해 A 장비의 내부 IP 을 받아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때 실제 IP 을 받아가면 제대로 통신이 안되더군요.

말 그대로 목적지 Domain 정보를 IP 정보로 변경해줘야 하는데(포트는 고정이라 변조를 안해도 되지 않을까요?) L7(HAProxy 같은 소프트웨어 포함) 같은 것이 이런 작업을 해줄 수 있는 것인가요? 그리고, 출발지 IP 대역에 따라 다른 설정에 의한 목적지 정보 변조도 가능할까요? 아니면 다른 장비로라도 가능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피투성 2014-01
HAProxy는 Load Balancer임으로 원하시는 목적에는 부합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하시는 장비가 Gateway역할을 하면서 Source/Destination NAT 기능을 지원하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이정도는 L3 스위치로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지역적으로 A 장비들이 해당 L3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A장비들은 사설 IP,
L3에서 공인 IP를 받아 사설 IP로 변경해 주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NAT 기능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AKs 2014-01
IP공유기. 포트포워딩.


QnA
제목Page 3313/5727
2014-05   5253513   정은준1
2015-12   1778481   백메가
2019-05   3457   나파이강승훈
2016-02   3954   윈도우10
2013-05   14312   tualatin
2014-11   4125   BDGG
2019-05   3772   구차니
2022-01   2244   을지문덕
2010-05   9317   백승철
2013-05   5942   읍내노는오빠
2016-02   4242   악마라네
2023-08   2669   오나
2013-06   8669   무아
2013-06   11090   우앙뿌앙
2014-11   4077   하늘하늘
2017-01   4337   PCMaster
2014-11   3447   하상욱
2017-01   3962   LINKINPARK
2019-05   3485   황진우
2018-04   5945   김건우
2018-04   3941   epowergate
2019-05   2679   비엘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