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158 |
25 |
2015-12
179215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220 |
0 |
2014-05
5267220
1 정은준1
|
48357 |
이천이나 여주 근처에 겨울용 워터파크 같은 곳 있나요? (3) |
무아 |
2015-11 |
4822 |
0 |
2015-11
4822
1 무아
|
48356 |
ARC 1220 경고음...? (9) |
motion |
2012-11 |
7331 |
0 |
2012-11
7331
1 motion
|
48355 |
3ware RMA 네번째 질문및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8) |
미수맨 |
2009-10 |
7603 |
0 |
2009-10
7603
1 미수맨
|
48354 |
웹서버를 여러개 운영할 때 포워딩은 어떻게 할까요? (2) (8) |
하늘하늘 |
2015-12 |
6891 |
0 |
2015-12
6891
1 하늘하늘
|
48353 |
ctrl+alt+del 누르면 위에 메뉴가 않보이네요 .. (2) |
psj1050 |
2009-10 |
6273 |
0 |
2009-10
6273
1 psj1050
|
48352 |
ServeRAID M1015 SAS/SATA Controlle 문의 입니다 (2) |
지루무료식상 |
2012-12 |
6505 |
0 |
2012-12
6505
1 지루무료식상
|
48351 |
파일서버 접근 로그 기록 및 열람 가능한 솔루션 추천할 만한게 있을까요 ? (13) |
moby |
2020-05 |
5072 |
0 |
2020-05
5072
1 moby
|
48350 |
우레탄바퀴..(가구등에 들어가는) 대량 구매할곳이 없을까요? (4) |
푸릉이 |
2009-11 |
7623 |
0 |
2009-11
7623
1 푸릉이
|
48349 |
IBM Blade의 Cisco SW에 대한 질문... (11) |
송지만 |
2016-11 |
7790 |
0 |
2016-11
7790
1 송지만
|
48348 |
VPN Kill Switch 을 방화벽으로 구축하는데... (1) |
Sakura24 |
04-20 |
398 |
0 |
04-20
398
1 Sakura24
|
48347 |
알리프로모션을 보고 다이슨배터리를 사려는데.. (10) |
2CPU2 |
2020-05 |
3022 |
0 |
2020-05
3022
1 2CPU2
|
48346 |
델 T5610에 E5-2620을 끼워도 동작할까요? (4) |
회원K |
2014-08 |
3944 |
0 |
2014-08
3944
1 회원K
|
48345 |
PC청소용 컴프레셔의 압력은 어느 정도이어야 합니까? (6) |
이천풍 |
2015-12 |
19751 |
0 |
2015-12
19751
1 이천풍
|
48344 |
슈마] X9DA7, WIN10 사용중 화면 먹톡 현상 (7) |
tams |
2023-05 |
2045 |
0 |
2023-05
2045
1 tams
|
48343 |
IBM 3650, 3550M4 서버 문의 (1) |
배고프시죠 |
2015-12 |
4025 |
0 |
2015-12
4025
1 배고프시죠
|
48342 |
VMware에서 HDD용량을 줄이는건 불가능한가요? (7) |
앵앵앵 |
2013-01 |
52236 |
0 |
2013-01
52236
1 앵앵앵
|
48341 |
시놀로지 메세지 문의드립니다. (6) |
명랑 |
2021-10 |
2036 |
0 |
2021-10
2036
1 명랑
|
48340 |
실력있는 PC 조립회사 추천부탁드립니다! (15) |
나메스네 |
2016-12 |
5231 |
0 |
2016-12
5231
1 나메스네
|
48339 |
마이크로소프트 리모트 데스크톱 IOS앱 질문입니다 (4) |
조재형3 |
2020-06 |
3675 |
0 |
2020-06
3675
1 조재형3
|
48338 |
핫스왑 베이 안정성이 (11) |
기묘한생활 |
2021-11 |
5253 |
0 |
2021-11
5253
1 기묘한생활
|
케이스바이케이스이기 때문에며, 실측후 사이징 해야 됩니다.
허름한 컴퓨터라도 하나 테스트머신으로 놓고 테스트 한 다음, 그 결과를 보고 사이징 하시는게 옳습니다.
disk access의 속도를 확실하게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고, CPU 부하고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동접 2만이라면, nginx에 무엇을 해도 기본적으로 DB서버와 웹서버를 분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웹서버단에서 가상화를 해서, 웹서버를 복수의 서버팜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구요.
이때... DB서버는 더 높은 CPU, 다 강력한 ssd를 쓰고, 웹서버단은 그 것보다 조금 낮게 하면 됩니다.
E3급이라면 메모리 4-8G를 기준으로 서버 1개를 가상화 하면 되고 32G램이라면 4-5개 정도인데
램이 많이 들어갈 수 있는 5500 계열을 쓰는 것이 가성비는 더 나을 수 있습니다.
DB는 고속처리를 원하시면 클러스터링을 하지말고 single db로 대응하시고,
만일을 위해서 slave replication만 하시면 됩니다.
아파치 2.4.x 버젼이면 그렇게 nginx와 차이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머리 아프게 nginx 안씁니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더 붙이면 동접 2만이면 text 베이스라고 해도 트래픽이
300mbps에서 1Gbps 가쁜하게 나옵니다.
회선비만 월 500만원 이상을 각오해야 하고 조금 더 나오면 월 천만원인데
E3 같은 저가형 서버로 가야하는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회선비를 월 천만원 쓰면서, 서버를 100-200 정도 쓴다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가상화는 CPU파워가 남아도는 상황에서 이것저것 하려고 하니까 하는거지 풀로드 걸어도 모자랄 상황에서의 해답은 아닙니다. (다른 이유는..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CPU를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대 만들어서 분산해야 하는 경우에도 좋은 해결 방법입니다.)
지금 황창석님의 상황에서는
1. 대충 PC하나에 DB와 웹을 얹어서 돌려보고
2. 사이징을 적절히 하는데.. 디비서버는 내가 할 수 있는 최상의 제품으로 구매하고
3. 웹서버는 저렴하게 구성해서 늘려나가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이때 효과적인 웹서버의 부하분산을 위한 방법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L4를 사용하는것도 나쁜 방법은 아니지만, 게이트웨어(?) 목적의 서버를 하나 두고 최초의 접속은 모두 그 서버가 받은 뒤 부하가 적은 서버로 사용자를 보내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 입니다.
특히 DNS라운드로빈을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서버로 몰리는 경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Where 조건절의 유형별로 Select Query의 I/O Load가 얼마나 걸리는지 실행계획 돌려보시고,
PK아닌 Column으로 join이나 where절 사용이 빈번하면 실행계획에 따라 적절한 인덱스 생성해주시고,
거래처리 목적의 단일 테이블이 대형인 경우, Insert와 가장 빈번한 유형의 Select에 적절하게 Partitioning 하시고,
Where 조건절 사용 목적이 Group by인 경우 table lock이 빈번한 것으로 파악되면, trigger를 걸어 다른 테이블에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를 집계하는 등 별도 가공 테이블을 select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그리고, maria db는 mysql 에서 파생되기는 하였으나, 아직 oracle이나 ms-sql/mysql 처럼 대용량 transaction 처리에 대한 충분한 가용성이 입증된 DBMS는 아닙니다.
가정용 회선이라도 지속적으로 100mbps 이상의 upload가 발생하면 차단될 수 있습니다.
가정용 회선의 의미는 통상적인 개인사용을 하라는 것이지, 집에서 서버를 돌리라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서버 구성보다 회선료 문제네요.
1차로는 블랙 리스트 처리후
순단현상을 일으키는 업체도 종종 있습니다.
블랙리스트에 올른 1유저를 유지하느니
차라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해서 이를 차단 하는게 답일 테닌까요.
가정용 회선은 기업용 회선이 아닙니다.
다 용도에 맞는 금액이 있는 이유기도 하죠.
사람들은 보통 이점을 망각합니다.
씬건 싼 이유가 있고
비싼건 비싼 이유가 있다는 것을......
ps.
참고로 딴 얘기긴 한데 요즘 kt가 가정용 회선도 기가라인 시작했다죠?
idc아직도 기가 회선 사용하는 사용잔 거의 없는데
뭔가 뒷 속내가 있는 상품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아직 지원하는 곳이 적어서 문제고 한 가격하고 일반 공유기가 못버팁니다.
반면 WAS나 DB는 아시다시피 일정한 패턴으로 운영되니 쉽게 검출됩니다.
이런 얘기가 있더군요.
ssd를 쓸꺼냐 sas 15k를 쓸것이냐의 고민인데요.
속도라면 당연히 ssd가 더 빠르겠지만
사용 용도로 볼때
slc만이 답이나 가격적인 면에서.....
약간은 속도가 느리더라도
장기적인 유지비를 따진다면 sas가 답일듯...
물론 속도를 따진다면 ssd
하지만 ssd도 안정성을 위해 레이들 걸어버리면
컨트롤러가 아직 ssd용은 없죠?
이런 결과라면...
잘 생각하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data 영역부터 모든 하드를 ssd로 갈까 하다가
아직도 고민만 하고 있네요....
안정성이냐 속도냐..
하지만 작은 파일이 많이 생성 삭제 될꺼라면 아직 ssd는 답이 아닌듯 합니다.
https://coderwall.com/p/__z9ia
(서브넷 구성 안하는 경우는 모르겠습니다.. 보통 서버 돌리게 되면 서브넷 구성이 필수불가결해서..)
U+ 오피스넷이 그런점에서는 좀 합리적이고 아주 저렴합니다.
내가 접속했던 회사 사이트까지 스패밍 처리를 해버리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