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의 GC 기능이 있으면 trim을 안해도 되나요?

회원K   
   조회 17845   추천 0    

아시겠지만 SSD를 리눅스 서버에 넣고, raid 1 잡아버리면 trim하기 아주 난감해서

속도저하를 각오하고 그냥 쓰고 있습니다.


이번에 정비중인 장비에 512G SSD를 넣으려고 보고 있는데

삼성 840에는 trim이외에 GC기능이 있더라구요.

http://www.enuri.com/p/8727694

GC(자동 하드정리): Garbage Collection 지원


GC가 되는 하드의 경우 trim을 ssd에서 하기 때문에, 안해줘도 되는 것이 맞나요?

- to be continue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ovelyJubbly 2014-01
GC랑 Trim은 좀 다른 기능입니다.

Trim은 아주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GC도 역시 플레시롬 특성 때문에 있는 기능인데 데이터를 SSD는 데이터를 지울때 하드 처럼
특정 섹터 특정 트렉별로 지울수 있는 게 아니라 블럭 단위로 지워야 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한블럭이 수십개의 셀로 구성된 SSD일 경우 셀중 일정 부분만 지워 지게 되면
남은 데이터 때문에 그 블럭은 지울수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더 쓸수 없고 공간이 엄청 낭비 되게 됩니다.

이것 때문에 만약 일부만 지워 지는 경우 남은 데이터를 빈 블럭으로 복사하고 해당 블럭을 통체로
지우는게 GC입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SSD 펌웨어에서 한단계 더 발전해서 이게 동일한 셀에 계속 데이터가 기록 되는 것도
방지해서 SSD의 수명 연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딱 잘라서 이야기 하긴 힘들지만 Trim은 속도 향상을 위해 있고 GC는 용량 낭비랑 수명 향상(최근 펌웨어)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면 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회원K 2014-01
trim = 속도. 레이드 환경에서 trim을 하려니 너무 힘들어서요...
어딘가의 글을 보니 trim을 안해도 속도가 70% 이하로는 안내려간다고 하더라구요.
          
LovelyJubbly 2014-01
썩어도 준치라고 최근 나오는 SSD들은
트림이 안되어서 속도가 좀 느려져도 15k SAS HDD 보다는 빠른 것 같습니다.
               
회원K 2014-01
삼성 840프로와 도시바 Q프로. 어느 것이 더 무난할까요?
Q프로가 요즘 공격적인 것 같은데 일본에서의 반응은 어떤가요?
                    
LovelyJubbly 2014-01
일본에서 도시바가 SSD 시장 최고 입니다.
삼성이 두번째
A-Data가 3번째 입니다.

삼성은 일본에서 가끔씩 미친듯한 가격에 SSD 풉니다..
얼마전까지 EVO 250기가 짜리 12~13만원(1만2천엔)에 살수 있었습니다.
                         
회원K 2014-01
250기가를 12만원. 미친 가격이네요.
역수제품도 20은 훨씬 넘는 것 같은데, 10만원 부근이 되면 좀 풀어주세요.
                         
LovelyJubbly 2014-01
또 싸게 풀리면 파는 곳에 한번 딜 해보겠습니다.


QnA
제목Page 3306/5730
2015-12   1791967   백메가
2014-05   5267048   정은준1
2011-08   11752   이창준
2015-05   4380   공돌이
2017-06   3952   장동건2014
2021-02   4109   alpha099
2014-01   10514   송진홍
2015-05   3870   삐돌이슬픔이
2016-06   4395   geniefix
2016-06   4646   Astarot
2022-09   1938   죠슈아
2011-09   8996   wo9abak1
2016-07   4269   양양2
2011-09   5519   지름팬더
2011-10   6123   아름다운노을
2018-10   14161   으라차차차
2024-06   2021   sbg2005
2014-02   3919   무아
2021-03   3200   rollover
2018-10   4342   초호기
2014-02   5559  
2015-06   3368   윈도우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