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9669 |
0 |
2014-05
524966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4955 |
25 |
2015-12
1774955
1 백메가
|
48702 |
리눅스 방화벽 zone 설정 (4) |
새내기 |
2024-12 |
847 |
0 |
2024-12
847
1 새내기
|
48701 |
mac, 프린트 공유, 인증보류, 해결책 있을까요? (5) |
블루영상 |
2024-12 |
1301 |
0 |
2024-12
1301
1 블루영상
|
48700 |
RAID 컨트롤러 국내에서 사세요? 해외직구 하세요?(가격 층면) (6) |
마시스 |
2014-06 |
5400 |
0 |
2014-06
5400
1 마시스
|
48699 |
[수배] Male SATA 7-Pin DATA to Female SATA 7-Pin Cable (2) |
레인보우7 |
2009-05 |
8130 |
0 |
2009-05
8130
1 레인보우7
|
48698 |
AMD 노트북 어떤 제조사를 선호하시나요? (13) |
HEUo김용민 |
2024-12 |
1140 |
0 |
2024-12
1140
1 HEUo김용민
|
48697 |
덴탈마스크 쓰는 방향? (6) |
김준유 |
2020-03 |
4110 |
0 |
2020-03
4110
1 김준유
|
48696 |
SFF-8643-SFF-8612 (11) |
미담 |
2023-03 |
2434 |
0 |
2023-03
2434
1 미담
|
48695 |
P106 그래픽카드가 5장 있는데 이걸로 ai 영상이나 zip 압축 같은걸 빠르게 해제할수… (9) |
승리의샌디… |
01-08 |
877 |
0 |
01-08
877
1 승리의샌디…
|
48694 |
지난번에 올렸던 메인보드 구석탱이 휘어진것 사진 올립니다....좀 봐주세요... (5) |
FreeBSD |
2015-10 |
3809 |
0 |
2015-10
3809
1 FreeBSD
|
48693 |
바이오스 초기화 클리어 점퍼 이용 시 전원플러그 연결된 상태(=컴퓨터는 꺼진 상태)… (7) |
다온 |
2023-03 |
3342 |
0 |
2023-03
3342
1 다온
|
48692 |
서버 워크스테이션용 보드는 사운드칩셋이 원래 없나봐요..그래픽카드도 꼽기가 어렵고 (2) |
크라우저 |
2014-06 |
4327 |
0 |
2014-06
4327
1 크라우저
|
48691 |
비아나 트렌스메타 보드셋 구하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18) |
그모도 |
2020-04 |
2951 |
0 |
2020-04
2951
1 그모도
|
48690 |
3디 렌더링 암드인가 인텔인가 (5) |
로그아웃 |
2012-09 |
5635 |
0 |
2012-09
5635
1 로그아웃
|
48689 |
VMware 돌릴때 혹시 그래픽 카드 좋아야되나요? (11) |
topschool |
2015-10 |
5813 |
0 |
2015-10
5813
1 topschool
|
48688 |
HP ML350 Gen9 호환 메모리 질문 드립니다. (6) |
미친감자 |
2021-08 |
3520 |
0 |
2021-08
3520
1 미친감자
|
48687 |
[문의사항] BGM-6 라는 성장판 찍는 엑스레이(?) 연동관련.....문의 드립니다. (9) |
새총 |
2017-11 |
4197 |
0 |
2017-11
4197
1 새총
|
48686 |
워크스테이션 구축시 2 CPU 속도와 성능 |
박문형 |
2019-02 |
2490 |
0 |
2019-02
2490
1 박문형
|
48685 |
nero mediahome4 는 윈도우서버2008 r2 x64에 안깔리나요? (7) |
이종송1 |
2012-09 |
5803 |
0 |
2012-09
5803
1 이종송1
|
48684 |
알리에서 파는 다채널 PCIe SATA 확장 카드 쓸모있을까요? (9) |
VSPress |
2021-08 |
6842 |
0 |
2021-08
6842
1 VSPress
|
48683 |
lazy loading 하지 않는 방법 (3) |
매니아1 |
2023-03 |
2290 |
0 |
2023-03
2290
1 매니아1
|
병목의 영향을 그대로 받구요. 오히려 병목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죠......
빽은 케시에서 한번 데이터가 거쳤다 나갑니다. NOR연산도 내부 케시상에서 이뤄지니
병목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성능적으도 훨 나은 결과를 보여주죠.
대신 밧데리든 sc든 없으면 예기치 못한 정전으로 데이터 날릴 수 있다는 정도?
쓰루도 마찬가지긴 합니다.
즉 데이터가 들어온 순서대로 나가게 됩니다.
Write-back은 캐쉬 콘트롤러가 요청한 데이터 먼저 보냅니다.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있어도 요청이 없으면 캐쉬에 머물게 되고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라도
요청이 있으면 먼저 나갑니다.
보통 Wrie-Back 이 더 나은 성능을 보여 줍니다.
기본 사항만 언급해보면
Write-through:
캐시에 기록하면서 매체에도 기록합니다.
매체에 기록이 끝나야 io가 종료됩니다.
단적으로 보면 쓰기시에 성능 잇점이 없어보이죠. 읽기는 캐시에서 읽으니 빨라집니다.
Write-back:
캐시에만 기록하고 무결성 문제가 발생하거나 알고리즘에 의해 후에 매체에 기록합니다.
캐시에만 기록하면 io가 종료됩니다. 쓰기시에 Write-through보다 빠르겠죠.
매체에 기록 전(dirty status라 합니다)에 전원이 나가거나 하면 데이터 날아가겠죠.
그래서 백업 배터리 내놔라고 경고 띄웁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 정도만 알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