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330 |
0 |
2014-05
5268330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365 |
25 |
2015-12
1793365
1 백메가
|
48715 |
비아나 트렌스메타 보드셋 구하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18) |
그모도 |
2020-04 |
2967 |
0 |
2020-04
2967
1 그모도
|
48714 |
3디 렌더링 암드인가 인텔인가 (5) |
로그아웃 |
2012-09 |
5654 |
0 |
2012-09
5654
1 로그아웃
|
48713 |
VMware 돌릴때 혹시 그래픽 카드 좋아야되나요? (11) |
topschool |
2015-10 |
5833 |
0 |
2015-10
5833
1 topschool
|
48712 |
HP ML350 Gen9 호환 메모리 질문 드립니다. (6) |
미친감자 |
2021-08 |
3584 |
0 |
2021-08
3584
1 미친감자
|
48711 |
[문의사항] BGM-6 라는 성장판 찍는 엑스레이(?) 연동관련.....문의 드립니다. (9) |
새총 |
2017-11 |
4213 |
0 |
2017-11
4213
1 새총
|
48710 |
워크스테이션 구축시 2 CPU 속도와 성능 |
박문형 |
2019-02 |
2520 |
0 |
2019-02
2520
1 박문형
|
48709 |
nero mediahome4 는 윈도우서버2008 r2 x64에 안깔리나요? (7) |
이종송1 |
2012-09 |
5818 |
0 |
2012-09
5818
1 이종송1
|
48708 |
알리에서 파는 다채널 PCIe SATA 확장 카드 쓸모있을까요? (9) |
VSPress |
2021-08 |
6945 |
0 |
2021-08
6945
1 VSPress
|
48707 |
lazy loading 하지 않는 방법 (3) |
매니아1 |
2023-03 |
2365 |
0 |
2023-03
2365
1 매니아1
|
48706 |
[질문] 고민거리 하나 여쭤봅니다. (유아 컴퓨터 사용) (8) |
일반유저 |
2012-09 |
5622 |
0 |
2012-09
5622
1 일반유저
|
48705 |
payfast290 랜섬웨어 걸렸습니다. (9) |
신우섭 |
2021-08 |
3606 |
0 |
2021-08
3606
1 신우섭
|
48704 |
요즘도 레노버 노트북이 키보드 키감이 제일 좋을까요? (9) |
미담 |
02-12 |
696 |
0 |
02-12
696
1 미담
|
48703 |
전자식 타임머 달린 일반 가정 방용 스위치? (12) |
유호준 |
2017-11 |
5302 |
0 |
2017-11
5302
1 유호준
|
48702 |
원화추정예수금? 이해를 잘모르겠네요. (6) |
뚜뚜김대원 |
02-16 |
789 |
0 |
02-16
789
1 뚜뚜김대원
|
48701 |
재활용에서 고장난 tv 가져왔는데 ad 보드 교체 문의 (2) |
겨울나무 |
2020-04 |
3574 |
0 |
2020-04
3574
1 겨울나무
|
48700 |
X79 Dual CPU 보드를 구했는데요. (6) |
써드닥 |
02-18 |
658 |
0 |
02-18
658
1 써드닥
|
48699 |
그래픽 카드 선택질문요 (4) |
미놀사랑 |
2014-07 |
5208 |
0 |
2014-07
5208
1 미놀사랑
|
48698 |
perc 700 레이드 카드를 쓰는데요. 7600 에서 배기와 흡기 여쭤봅니다. (2) |
거니스트 |
2020-04 |
2258 |
0 |
2020-04
2258
1 거니스트
|
48697 |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꼭 한 번 씩 죽네요. (4) |
김효수 |
2009-09 |
6588 |
0 |
2009-09
6588
1 김효수
|
48696 |
최대사용가능한 모니터 댓수는?? (6) |
라온제나 |
2014-07 |
4333 |
0 |
2014-07
4333
1 라온제나
|
다음 파티션만 생성 파일 폴더몇개 만들고 다시 포멧후 파티션 지우고 새로운 파티션 만들고 방출 하시면 될듯 합니다.
아니면 간단하게 파티션 날리고 파티션을 2개나3개로 다시만들고 파티션 다시 지우면 될듯 합니다.
이런걸 일컬어서 "참 쉽죠잉?" <- 이렇게 표현하더군요. ㅎㅎ
복구하시면 좋은거 있습니다...^^
팔지말고 파기하세요
하드의 가격보다
데이타의 가격이 적게 혹은 무시해도 되는 데이타라면
팔지 말고 아시는분이 하드 찾을때 지원해주는것도 하나의 방법이고요
보통 중고하드보면
나름 지운다고 하고 판것일텐데도
그안에 파티션 만들면
데이타들어 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저의경우는 말씀드린것처럼
os 하드는 대부분 지인컴 os 깔아 사용하고
영화등이 들어있는 데이타 하드만
중고거래 할뿐...
하드안에 인증서부터 각종 캐시파일 심지어 가족 사진들등...
중고하드 판매 하는 경우
생각해보고 팔아야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저는 하드 데이터 지우는 것은 제로섹터로 wipe 하는 것이면 큰 문제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shred는 리눅스 툴로써 하드 또는 지정하는 파일 자리에다가 랜덤빗을 overwrite하는데... 왜 3 pass 또는 10 pass 씩하는지 그게 이해가 안갑니다... 그리고 3 pass rewrite을 하고 나서 거기에다가 다시 제로빗을 쓰는경우가 많은데 한번만 overwrite 해도 다시 복구가 안되지 않나요?
이게 너무 궁금합니다...
한번만 쓰는것도 몇시간씩 걸리는데... 왜 이걸 10번씩 하고 거기다가 또 제로빗으로 미는지...
자성체 특성상 헤더에 전류가 지나가면 수학적인 원처럼 딱 1개 입자만 자성 방향이 입혀지는게 아니라 주변에도 입혀집니다.
즉, 그냥 1회 0이나 1로 덮어쓴건 플래터 꺼내서 복원 기계 사용해서 주변 자성체 특성을 읽어내면 데이터 복원이 가능합니다.
이걸 방지하기 위한 보안개념이 위와같은 방식이고, 저정도의 보안은 기업기밀이나 군사기밀쯤 되야 필요한거고 대부분 군사 기술이고 미 국방성 지침인거죠.
(정확히 기억안나는데 0으로 밀고 1로 밀고 랜덤 데이터로 몇번 밀고 다시 0으로 밀고 1로 밀고...)
제가 조만간 프로그램하나 써서 프리웨어로 올려야겠네요... ㅋㅋ
quick secure wipe 뭐 이런걸로...
하지만 절대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확신할순 없습니다. 흔히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불리우는 명정보에서는 아주 극한의 데이터도 복구를 해냅니다. 그래서 얼마전 민간인사찰(?) 사건에서는 아예 하드웨어적으로 디가우징을 해버렸죠?
정말 대단히 중요하고 유출되면 안되는 자료라면 김황중님의 말씀처럼 아예 하드웨어적으로 디가우징하고 헤드를 드릴로 뚫어 파기하는게 가장 확실합니다. 하지만.... 중고로 판매해야할 경우엔 하시는대로 하시면 대체적으로 안전할수는 있으나 절대적이진 않습니다.
복구하는 업체의 기술의 알고리즘을 알수는 없으나.... 실제론 우리가 생각하는것 이상으로 데이터복구 기술은 맘만 먹고 돈만 투자한다면 대단합니다.
실제로 고의적으로 파기할려고 지운 디스크를 상상하기 어려운 비용을 들여 복구한 케이스를 보았습니다.. 놀랍더군요
데이터 삭제,복구와 관련되는 일을 하고 있는데, 만일 기본적인 Wipe(Zero pill)를 한 우에 복구가 가능하다면 제 업무의 상당부분에 변화가 올 것이라서요..
물론 허벌 싸다면 gogo~
명정보쪽에 문의해 봐도 일반포맷을 했을경우에는 복구가 안된다고 했습니다.
'박찬민'님 말씀처럼 미세하게 남아있는 자력을 가지고 복원한다는것은,,, 가능은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안된다고 보는것 아닌가요? 다만, 예전에 논문 몇개가 자력이 남아있기 때문에 복원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라는 내용이 있어서 정보기관에서는 좀 더 복잡하게 wipe를 하는 것일 거고요..
그리고 디가우져의 경우 이것(미세한 자력을 이용한 방법)마져도 거의 불가능하다고 하더군요.